
1. 고대엔 인쇄기술이 없었다
2. 그래서 책을 소장하려면 존나 비싼 인건비를 들여 필경사들을 고용해 하나하나 수기로 배껴야 했다.
종이나 파피루스, 잉크? 당연히 존나게 비싸다. 당연히 책을 소유하는 사람들은 엥간하면 귀족 이상이다.
대중적인 유통? 꿈깨라 책은 람보르기니따위 보다 더 귀중한 사치품이고, 귀족들끼리 고오급진 선물을 할때나 오고간다.
3. 근데 그렇게 비싼 돈들여서 그냥 아무책이나 막 배낄거임?
4. 누구나 탐내는 고전 베스트셀러 소장 가즈아ㅏㅏㅏㅏㅏㅏㅏㅏ
5. 결국 보편적으로 인기있는 일리아드나 오디세이 같은 책들만 충분히 판본들이 많이 생긴다
6. 현대 역사학자들이 미치고 환장하는 그리스 철학자 A의 저서? 응 아무도 판본 안만들어~
7. 이렇게 사람들이 읽는 책만 판본이 많이 만들어지는 덕분에 꾸준히 살아남고,
엥간한 책들은 그냥 화재 한방(대화재일 필요도 없다. 그냥 소소한 가정집 화재도 충분하다)
심지어 이사 한번 가면 판본이 세상에서 전멸하는 사태가 지속된다.
그래서 달달 외웠다던데 물론 아무리 외워도 자료 소실은 필연적
ㄴ이것봐라 누가 당연이라고 쓰는 걸 내가 당근이라고 바꿨다
이제 1000년후의 고고학자들은 당근의 의미를 찾아 데이터 세계를 헤매겠지
당근
반대로 지금은 온갖 똥 데이터들이 저장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심지어 오리지널도 아니고 카피.
현대 데이터들이 흔적도 없이 전멸하는 과정
성경 필사의 역사를 보면 가족오락관이 따로없지 ㅋㅋㅋㅋ
그런거 알아내려고 온갖 교차검증과 최첨단 기술이 동원되는게 일상임
필사할때 내용 바꾸는 인간도 있나?
당근
ㄴ이것봐라 누가 당연이라고 쓰는 걸 내가 당근이라고 바꿨다
이제 1000년후의 고고학자들은 당근의 의미를 찾아 데이터 세계를 헤매겠지
그런거 알아내려고 온갖 교차검증과 최첨단 기술이 동원되는게 일상임
성경 필사의 역사를 보면 가족오락관이 따로없지 ㅋㅋㅋㅋ
그래서 달달 외웠다던데 물론 아무리 외워도 자료 소실은 필연적
불에 안타게 점토판에 세기자.
화강암에 새기면 몇천년 간다고 그러던데
쨍그랑
그래도 그렇게 많이 만들어진 덕분에 지금까지 살아 남을 수 있었던것ㅇㅣ기도 하지 ㅎㅎ.
다품종 소량생산이었으면 전멸이나 다름없었을지도..
반대로 지금은 온갖 똥 데이터들이 저장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심지어 오리지널도 아니고 카피.
알렉산드리아 시간여행 복원. 빨리 .
지금 로스트 미디어도 마찬가지 아니야? 클래식에 유명한 것들은 아직도 판본이 만들어지고ㅎㅎㅎ 어중간하게 유명한 것들은 사라짐.
와, 분서갱유
현대 데이터들이 흔적도 없이 전멸하는 과정
ide타입이젠 보드에 꽂히지도 않는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대화제 :ㅎㅎ ㅈㅅ ㅋㅋ
제가 갖고있는 클라나드 코믹스를 소중히 여겨야겠네요
여기서 판본도 없는 고대 철학자 A는 어떻게 현대까지 전해졌나에 관한 토론
심한 주장중에 하나가 중국 고대문헌들은 5호16국 시대에 다 사라지고 지금 우리가보는 문헌들은 이후에 쓰인 위작들이라는 주장도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