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105448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1.png


브루노 사마르티노 


1935년생으로 이탈리아 왕국 시절 태생임


시대를 감안하자면 어린 시절 부터 고통스러운 삶을 보냈고 어머니도 총에 맞는 등 고생 많이 함


저 시절에 고생한 사람들이 이탈리아 사람들만은 아니었지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고통의 세월을 보냈다 함


이 사람 아빠가 미국에 가서 일을 하다가 1950년에 초청 이민 제도를 통해 가족들도 같이 간 거야


이주지가 피츠버그 였는데 브루노 사마르티노 영어도 못 하고 이탈리아는 전형적인 가톨릭 문화권인데


미국 피츠버그는 그렇지가 못 하지 거기다 이탈리아 사람들이 미국 사회에서 백인으로 인정받은 게 1970년대 가서나라고 함


이탈리아 사람들이 원조 마늘냄새격 이었다고 함 학생 시절에 끌려가서 개 쳐맞기 일쑤였다고 하지


이탈리아 이주민들이 마피아 문제 때문에 인식이 안 좋기도 했구;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2.jpg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3.jpg


소년은 살아남기 위해서 레슬링 부에 입부해서 단련을 할 수밖에 없었음


그리고 20대 접어들어서는 3대 500을 넘게 치면서 소문난 괴력사로서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함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4.png


향후 그는 빈스 맥맨 시니어(전 WWE 회장 빈스 맥맨의 아버지)의 눈에 띄어서 프로레슬 업계에 몸담게 되었고 


대형 스타로 발돋움 하게 되었지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5.jpg


스타가 되어 당당히 거리를 거니는 브루노 삼마르티노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6.jpg


어릴 때는 그저 먼 꿈 같았던 고급 정장들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7.jpg


이탈리아계들의 자존심이자 영웅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8.jpg


이탈리아계들 끼리 모여서 식사를 하면 대부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왠지...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9.jpg


가는 곳 마다 사람들이 알아보고 사인해 달라 악수해 달라 요구에 시달리는 브루노 삼마르티노


일일이 다 해주고 그랬다 함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10.jpg


매치에 입장하는 이탈리아산 종마 인간 발전소 브루노 삼마르티노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11.jpg


필살기인 베어 허그 이 기술은 현재의 후배들도 사용 되어지는 전통의 기술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12.jpg


콜로세움의 민족 답게 브루노를 응원하며 상대를 찢어죽이라는 이태리계 할머니;


차별의 고통을 힘으로 승화 시킬 수밖에 없었던 인물_13.jpg


그렇게 영웅에서 신화가 된 브루노 삼마르티노


유게이들은 브루노 삼마르티노의 전설을 아능가



댓글
  • 方外士 2025/11/07 16:50

    하이보리아의 창시자께서도
    비슷한 이유로 신체를 단련하셨다지..

  • 5853126번 죄수 2025/11/07 16:49

    맥마흔 시니어가 큰 일 했네.

    (rQn9xh)

  • 方外士 2025/11/07 16:50

    하이보리아의 창시자께서도
    비슷한 이유로 신체를 단련하셨다지..

    (rQn9xh)

  • 말카장 2025/11/07 16:53

    하지만 내면은 여전히 섬세해서 그만...

    (rQn9xh)

(rQn9x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