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루노 사마르티노
1935년생으로 이탈리아 왕국 시절 태생임
시대를 감안하자면 어린 시절 부터 고통스러운 삶을 보냈고 어머니도 총에 맞는 등 고생 많이 함
저 시절에 고생한 사람들이 이탈리아 사람들만은 아니었지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고통의 세월을 보냈다 함
이 사람 아빠가 미국에 가서 일을 하다가 1950년에 초청 이민 제도를 통해 가족들도 같이 간 거야
이주지가 피츠버그 였는데 브루노 사마르티노 영어도 못 하고 이탈리아는 전형적인 가톨릭 문화권인데
미국 피츠버그는 그렇지가 못 하지 거기다 이탈리아 사람들이 미국 사회에서 백인으로 인정받은 게 1970년대 가서나라고 함
이탈리아 사람들이 원조 마늘냄새격 이었다고 함 학생 시절에 끌려가서 개 쳐맞기 일쑤였다고 하지
이탈리아 이주민들이 마피아 문제 때문에 인식이 안 좋기도 했구;


소년은 살아남기 위해서 레슬링 부에 입부해서 단련을 할 수밖에 없었음
그리고 20대 접어들어서는 3대 500을 넘게 치면서 소문난 괴력사로서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함

향후 그는 빈스 맥맨 시니어(전 WWE 회장 빈스 맥맨의 아버지)의 눈에 띄어서 프로레슬 업계에 몸담게 되었고
대형 스타로 발돋움 하게 되었지

스타가 되어 당당히 거리를 거니는 브루노 삼마르티노

어릴 때는 그저 먼 꿈 같았던 고급 정장들

이탈리아계들의 자존심이자 영웅

이탈리아계들 끼리 모여서 식사를 하면 대부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왠지...

가는 곳 마다 사람들이 알아보고 사인해 달라 악수해 달라 요구에 시달리는 브루노 삼마르티노
일일이 다 해주고 그랬다 함

매치에 입장하는 이탈리아산 종마 인간 발전소 브루노 삼마르티노

필살기인 베어 허그 이 기술은 현재의 후배들도 사용 되어지는 전통의 기술

콜로세움의 민족 답게 브루노를 응원하며 상대를 찢어죽이라는 이태리계 할머니;

그렇게 영웅에서 신화가 된 브루노 삼마르티노
유게이들은 브루노 삼마르티노의 전설을 아능가
하이보리아의 창시자께서도
비슷한 이유로 신체를 단련하셨다지..
맥마흔 시니어가 큰 일 했네.
하이보리아의 창시자께서도
비슷한 이유로 신체를 단련하셨다지..
하지만 내면은 여전히 섬세해서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