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63974

50-300 vs 50-400 질문입니다.

■ 만약 50-400 화질이 더 좋다면
무게, 가격, 출시일에서 단점이 있지만 100mm 더 당길 수 있는 50-400을 선택.
■ 50-300 화질이 더 좋다면 50-300을 선택.
■ 만약 두 렌즈 화질 차이가 거의 없다, 미미하다라면 화각을 우선으로 50-400을 선택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궁금한 점은,
1. a7c2(3천만 화소) 바디에서 50-300 vs 50-400의 "화질 차이"가 있다면 어느 렌즈의 화질이 더 좋다고 할 수 있을까요?
2. a7c2 바디의 "선명한 이미지줌" 기능을 이용하여 50-300은 최대 450mm로, 50-400에서는 최대 600mm까지 표현 가능하다는게 맞을까요? 선명한 이미지줌은 단순 크롭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풀프레임 기준 16mm - 400mm의 화각대를 썼습니다.
망원을 찍는 경우, 바디에 세로그립 달고, 망원줌렌즈를 물려서 2kg이상을 들고 다녔기 때문에
a7c2 + 50-400의 1,669g에 대한 무게 부담이 지금 당장은 심하지는 않습니다만
저도 나이가 더 들고 앞으로 최소한 10년 이상은 써야해서 전체 무게를 어느 정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바디는 a7c2로 정했고, 광각과 표준 영역 줌렌즈는 탐론 17-50mm f4.0으로 정했고,
현재 망원 영역 줌렌즈로 탐론 50-300mm vs 50-400mm 둘 중에 고민중입니다.
현재 50-400mm으로 마음이 많이 기울고 있습니다만,
50-400에 비하여 최신 렌즈인 50-300mm의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특징들이 마음에 걸려서 50-400으로 확정하는데 주저함이 있는 상황입니다.

① 무게, 가격, 출시일
: 50-300(665g)은 50-400(1,155g)에 비하여 무게가 훨씬 가볍고, 가격이 50-60만원 더 저렴하고, 2년 더 최근에 출시된 렌즈라는 점에서 50-400을 선택하는데 걸립니다.

② 구간별 조리개값
: 최신 기종인 50-300이 50-400보다 구간별로 조금 더 밝은 조리개값을 유지해줍니다.

탐론망원조리개값변화.png

댓글
  • dm 2025/10/24 21:08

    무게만 보시면.될거 같은데...
    화각 대체되는 다른 회사 렌즈들이 없어서...

    (dcwHUF)

  • bcts19 2025/10/24 23:52

    예 감사합니다. 50-400보다 50-300쪽으로 기울어지네요^^

    (dcwHUF)

  • 진재 2025/10/25 07:50

    제가 50-400 쓰다가 50-300으로 갈아탔는데요. 무게 차이도 확연하지만 부피 차이도 큽니다.
    50-400은 후즈 정방향으로 하고 마운트한 상태로 웬만한 가방에 뉘인 상태로 넣기 힘듭니다. 50-300은 아무 데나 잘 들어갑니다.

    (dcwHUF)

(dcwHU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