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초로 근대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에
입학한 장봉환이라는 인물의 일화
정말로 영어 공부 빡시게 하는 사람은
하루에 200개가 별거 아닌걸로 생각하지만
그냥 눈으로 보고 읽을수 잇는거랑
작문할 수 있을 정도로 철자까지 외우는건 별개
사서오경을 토씨 하나 안틀리고 외워야 하는 선비들 입장에선
영어 공부가 아주 쉬웠을듯
물론 저어는 중3~고1 수준에서 못벗어나는 빡대가리입니다
조선 최초로 근대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에
입학한 장봉환이라는 인물의 일화
정말로 영어 공부 빡시게 하는 사람은
하루에 200개가 별거 아닌걸로 생각하지만
그냥 눈으로 보고 읽을수 잇는거랑
작문할 수 있을 정도로 철자까지 외우는건 별개
사서오경을 토씨 하나 안틀리고 외워야 하는 선비들 입장에선
영어 공부가 아주 쉬웠을듯
물론 저어는 중3~고1 수준에서 못벗어나는 빡대가리입니다
과거급제할 정도의 인재라면
한 5~6년 영어 공부하면 원어민 수준으로 하지 않을까
시대나 국가는 달라도 어디에나 재능있는 사람은 있음
아프리카 최빈국에서도 노벨상 탈만한 재능있는 사람은 있겠지만
청나라 과거급제자 출신인 이홍장은 나이 40넘어서 영어배워선 1년만에 마스터 했다고 함
한국의 주입식 교육은 500년 전통이라구
배운적이 없을뿐이지 머리좋은게 어디가는건 아니니깐..
이홍장은 통역사 없이 비스마르크와 영어로 대화했을 정도의 실력을 지녔다고 함
한국의 주입식 교육은 500년 전통이라구
시대나 국가는 달라도 어디에나 재능있는 사람은 있음
아프리카 최빈국에서도 노벨상 탈만한 재능있는 사람은 있겠지만
과거급제할 정도의 인재라면
한 5~6년 영어 공부하면 원어민 수준으로 하지 않을까
청나라 과거급제자 출신인 이홍장은 나이 40넘어서 영어배워선 1년만에 마스터 했다고 함
이홍장은 통역사 없이 비스마르크와 영어로 대화했을 정도의 실력을 지녔다고 함
배운적이 없을뿐이지 머리좋은게 어디가는건 아니니깐..
최초의 근대 교육 기관이라 함은 인재 중 인재를 들여보냈을 텐데, 과연 입학은 석전으로 딴 것이 아니로구나
역관을 낮게 봐서 그렇지 배우는게 직업인 선비들 입장에선 마음만 먹으면 금방 익히지 않을까?
기초중의 기초인 천자문을 뗐다고 하는데
말그대로 천자를 모두 다 외워야 되는게 기초였고
사서 삼경을 외워도
안되는 사람은 안되는게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