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인터뷰
안노:
『티가』 마지막 회에서는, ‘누구나 빛이 될 수 있다’는 걸 구체적으로 보여준 셈이죠. 그래서 그들은 받아들인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왜냐하면 빛이 될 수 있는 건 재능 있는 사람뿐이니까요.
그래서 마지막에 ‘너와 너 모두가 울트라맨이다’라는 건, J리그를 응원하는 팬들이 선수의 골을 보고 느끼는 마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그곳에 동화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만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거예요.”
카와사키(감독):
“『티가』가 처음부터 이런 방향성을 가지고 제작되었다면, 마지막 회도 전혀 어색하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죠. 더군다나 제가 담당한 부분에서는 그런 마음조차 전혀 없었고, 갑자기 그런 결말이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안노:
“저는 그게 『울트라맨』을 만들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야 울트라맨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울트라맨과 동화되는 거죠. 결과적으로 『티가』 마지막 회에서는, 그들이 스스로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어떤 힘도 없다는 것이 암시됩니다.”
그렇죠. 혹은 스스로 울트라맨이 되고 싶어 하는 거예요.
즉, ‘내게 빛의 광선이 있다면…’ 같은 느낌이죠. 저도 그런 마음을 가져본 적이 있지만, 지금은 그걸 정말 싫어합니다.
왜냐하면 낙선하면, 탈락 그룹이라는 낙인이 찍히니까요.
그래서 그런 사람들은 절대『에반게리온』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에반게리온』은 바로 그 부분을 부정하는 작품이니까요.
특촬 팬들이 『에반게리온』을 히스테리컬하게 비판하는 이유가 아마 바로 여기에 있을 겁니다.”
카와사키:
제 느낌에는, 『에바』 팬과 『티가』 팬은 구조상 많이 대립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나요?
안노:
그런 구도일 겁니다. 적어도 『티가』 마지막 회를 좋아하는 사람은 『에바』를 좋게 보지 않겠죠.
제가 『티가』에서 동의할 수 있는 것은 결국 카와사키 씨가 담당한 에피소드뿐입니다. 그래서 제게 『티가』란 곧 카와사키 씨와 같아요.
카와사키:
그건 좀 지나친 말씀 아니에요? 하세가와 케이이치 군은 『티가』 마지막 회를 정말 좋아하지만, 한편으로는 『에반게리온』의 열성 팬이기도 하거든요.
안노:
정말 독특한 사람이네요.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티가』와 『에바』가 인정하는 점은 사실 같아요.
단지 두 작품이 답하는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티가』는 꿈 속으로 도피하려는 것이고, 『에바』는 현실로 돌아가려는 것이죠.
이 때문에 저는 꿈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속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티가』 마지막 회를 본 아이들에게는, 기대에 차서 말하고 싶어질 테니까요.
게다가 『티가&다이나: 빛의 별의 전사들』에서 “그렇구나, 그건 꿈이 아니야”라고 하는데, 이 한마디가 『티가』 마지막 회를 완전히 부정하는 겁니다.
저는 그걸 조금 용서할 수 없는 기분이에요.
카와사키:
그건 제작진이 이미 『티가』 마지막 회를 잊어버린 것 아닐까요.
안노:
그런 것 같네요.
참고로 안노가 안 좋아했다는 그 티가 최종화는
전세계 아이들의 빛이 하나로 모여 최종보스를 물리쳤던 글리터 티가
안노상 또 삐뚤어진 생각으로 남들 디스하네
99년이면 최고로 뒤틀려 있을 때네
안노 원하는데로 만들면 방송사에 클레임 들어온다고ㅋㅋㅋ
워게임 오메가몬도 존나 싫겠네? ㅋㅋㅋㅋ
안노상 또 삐뚤어진 생각으로 남들 디스하네
그런줄도 모르고...우리는... 으허하핳
워게임 오메가몬도 존나 싫겠네? ㅋㅋㅋㅋ
쇼와특유의 인간비판이 없어서 그런가?
잘 모르겠네
99년이면 최고로 뒤틀려 있을 때네
안노 원하는데로 만들면 방송사에 클레임 들어온다고ㅋㅋㅋ
일단 확정적으로 한번 죽이고 시작할듯 ㅋㅋ
정신병자새끼
근본적인 부분에서 "어린이를 위한 특촬"이라는 걸 완전부정하고싶은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