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감독은 현재 한국 영화계의 위기를 직접 목격하고 있다고 말한다.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 관객 수는 4,070만 명으로, 전년 동기 6,290만 명에서 크게 감소했으며,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2004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1억 명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형 국내 블록버스터의 부재, 스트리밍 플랫폼과의 경쟁 심화, 소비자들의 지출 축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이던 극장 시장 중 하나가 붕괴 위기에 처해 있다.
부산국제영화제 인터뷰에서 박찬욱 감독은 이렇게 말했다.
“이건 영화의 위기라기보다는 극장의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극장의 위기는 곧 영화의 위기이기도 합니다.
관객이 모두 함께 표준화된 기술을 갖춘 거대한 스크린 앞에 앉아서 어둡고 밀폐된 공간에서 마치 잠겨 있듯이 영화를 보는 것.
나갈 수도 없고, 멈출 수도 없으며, 외부의 어떤 유혹이나 방해에서도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몰입하는 것.
저는 이러한 경험 말고는 영화를 상상할 수 없습니다.”
감독은 이번 신작이 “극장을 떠난 관객들이 다시 극장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작은 계기라도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감독님... 감독님이 노력하셔도 티켓값이 개ㅈ같이 비싸요...
감독님... 감독님이 노력하셔도 티켓값이 개ㅈ같이 비싸요...
표값이 만원이 넘으니
그렇다고 우리임금이 표값 만원정도야 하면서 임금이 올라가는것도 아니고
임금은 제자리인데 자꾸 이런곳에서 가격이 오르니
어떤걸 포기해야되니까 ...
OTT랑 극장까지 가서 봐줄만한 작품이 근래 손에 꼽았다는게 1,2위를 다투는 문제같고.
윗댓들마냥 티켓값도 어느정도 영향은 있을듯.
OTT, 작품, 티켓값이 연동해서 문제가 되고 있는거 같지만.
한국인이 영화를 좋아해서 영화를 많이 본 게 아니라 그냥 티켓이 가장 가성비 좋아서 많이 본 거라고 확인된 것 같음
티켓값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가장 지분이 크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