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현재 우리가 먹는 김치는 궁중에서 먹던 김치가 전파된 것이다. 궁중에서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배추 속을 버무린 화려하고 고급스런 김치가 민간으로 전파된 것이다. 1924년 조선일보를 보면 김치로는 대궐 안 김치가 으뜸이고 궐내에 출입하는 여러 대관의 것이 다음인데, 민유식, 윤덕영, 박영효 대감 집 김치가 맛이 좋다고 했다.
배추는 개량전까진 서민이 접하기 힘든 고급야채였음
항상 감사하십시오 작은 김치들아
-중략-
현재 우리가 먹는 김치는 궁중에서 먹던 김치가 전파된 것이다. 궁중에서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배추 속을 버무린 화려하고 고급스런 김치가 민간으로 전파된 것이다. 1924년 조선일보를 보면 김치로는 대궐 안 김치가 으뜸이고 궐내에 출입하는 여러 대관의 것이 다음인데, 민유식, 윤덕영, 박영효 대감 집 김치가 맛이 좋다고 했다.
배추는 개량전까진 서민이 접하기 힘든 고급야채였음
항상 감사하십시오 작은 김치들아
더 크게! 더 풍만하게! 더 푸짐하게!
식용식물들 품종개량 과정을 보면 대마인은 명함도 못 내밈
배추도 그렇고 지금 한국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고추도 처음 등장은 조선 임진년시기라지만 실제로 고춧가루가 온 가정에 보급된건 생각 이상으로 얼마 안 되었음
배추도 그렇고 지금 한국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고추도 처음 등장은 조선 임진년시기라지만 실제로 고춧가루가 온 가정에 보급된건 생각 이상으로 얼마 안 되었음
더 크게! 더 풍만하게! 더 푸짐하게!
식용식물들 품종개량 과정을 보면 대마인은 명함도 못 내밈
아니 하필 다 좋은데 왜 비유가 대마인이냐곸ㅋㅋㅋ
편하게 먹는 배추김치. 품종개량은 하셨는지?
거유익선이란 것 처럼 늘 키워왔구나
상시 김치가 구비되어 있지않는 난 김치맨 탈락이야....
일반사람에겐 그냥 씨없는 수박정도로만 널리 알려지셨지만
학계에선 종의 합성 논문으로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일부 수정? 반영?을 하게 한 엄청난 쾌거를 올리셨다 들었고
우리 식생활에선 배추김치의 은혜로움을 주시고
일본화투를 기반으로 고스톱을 만들어서 일상과 명절의
여가생활까지도 기쁨을 주신 엄청난 분이시라지
고스톱도 도입하신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