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웹진들은 아무리 엉망인 게임이라도
게임 나쁘지 않다고 해보라고 쉽게 말할수 있는게
지들 돈 주고 게임 안사니까 가능한 소리
소비자인 게이머들 입장에서는 가격 안 따질 수 없는 노릇인데
게임 가격 8만원 우습게 넘어가고 10만원 보고 있는 요즘
게임웹진과 소비자들 간의 괴리감은 점점 더 커짐
게임웹진들은 아무리 엉망인 게임이라도
게임 나쁘지 않다고 해보라고 쉽게 말할수 있는게
지들 돈 주고 게임 안사니까 가능한 소리
소비자인 게이머들 입장에서는 가격 안 따질 수 없는 노릇인데
게임 가격 8만원 우습게 넘어가고 10만원 보고 있는 요즘
게임웹진과 소비자들 간의 괴리감은 점점 더 커짐
2만원 실크송으로 난리가 나는거보면 그 이유만은 아님
까고 말하면 게임사와 웹진이 과거보다 더 밀착된 관계라는거지.
수익구조를 위해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할 수 밖에 없음.
막말로 웹진에게 수익을 주는것도 유저가 아닌 광고주니까
게임패스로 하는거랑 88000원주고 하는거랑 평가가 다를수밖에 없을것같긴 함.
2만원 실크송으로 난리가 나는거보면 그 이유만은 아님
리뷰 쓰면 게임 가격만큼 월급에서 까고 리뷰 조횟수만큼 도로 채워주는 식으로 하면 해결될거 같음
그럼 일부러 자극적인 헛소리 하는 기사 쓰는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힘들듯
좀 별로인방법인데 잘해봐야 본전인데 블랙기업되는거아닌가
체감가가 지금보다 비싼 ps2이전 세대엔 괴리감 더 따졌을건가...
가격은 별 상관도 없어
사실 요즘은 검증된 구작들도 많아서 구태여 최신겜에 목맬 필요도 없고
까고 말하면 게임사와 웹진이 과거보다 더 밀착된 관계라는거지.
수익구조를 위해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할 수 밖에 없음.
막말로 웹진에게 수익을 주는것도 유저가 아닌 광고주니까
게임패스로 하는거랑 88000원주고 하는거랑 평가가 다를수밖에 없을것같긴 함.
영화평론가들도 그렇고 직업적으로 계속 보거나 플레이하다보니 대중적인 관점과 괴리되어 가는 느낌
평론가 입장에서는 안정된 맛집같은 게임은 낮게 줄수밖에 없음
영화평론가도 팝콘영화 킬링타임 영화는 평가 낮은거처럼
근데 pc가산점은 ㅈ같은게 맞음
가격을 빼놓고봐도 그냥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하자가 차고넘치는걸 가지고 고평가하는걸 보면 그냥 어느새부턴가 뽀찌먹고사는게 일상되어있는거같
콩코드에 저런 평가 내리거나, 라오어2에 미친듯이 옹호를 하거나
실크송 가격에 발작하는 거 보면 단순 돈때문에 엮인 것 만은 아니긴 할거임. 사상적으로도 묶여있다고 보는게 맞음
그게 더 역겨운거고
애초에 자기들 먹고 살 건수를 게임업계에서 특혜로 받아와서 평가하는거기 때문에 어지간히 주관이 강하거나 다들 한입으로 말하는거 아니면 나쁘게 말 안하지 ㅋㅋㅋ 업계유착.
"너 우리 사정 안봐주고 매섭게 말하니까 평가하라고 안보내줄거임 ㅅㄱ"가 없던 일도 아니라 ㅋㅋㅋㅋㅋ
솔직히 33원정대도 그렇고 실크송도 그렇고 서양게임사 보너스 인디제작 보너스가 있는게 분명함
개인적으론 메타점수나 웹진점수는 라오어2사태랑 P거짓 점수 낮게 줬을때부터 별로 신뢰하지 않았네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