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은 2007~8년 식량위기를 보았음
이유는 국제적인 식량가격 상승 때문이었음
사실 원인 자체가 국제적인 식량난이라서 필리핀 말고 다른 개도국도 어려움을 겪었지만
필리핀은 식량수출국이었다가 수입국이된 대표 케이스였기에 식량자급률의 중요성 사례로 필리핀의 사례가 유명해짐
하지만 이상한게 식량자급률은 한국이 훨씬 낮았음
근대 한국은 왜 식량위기를 겪지 않은 것인가?
그건 경제력 차이임
당시 한국과 필리핀의 국가 경제력 차이는 5배였음
하지만 같은 양의 식량을 수입하는데 드는 비용은 같음
오히려 필리핀은 인구가 한국의 2배라서 2배의 식량을 수입해야함(물론 필리핀의 자급률이 좀 더 높기 때문에 그 정도는 아님)
따라서 똑같이 식량가격이 2배 상승해도 한국은 별 타격이 없었지만 필리핀은 국가 비상사태가 된 거임
결국 식량안보에서 자급률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경제력이 중요함
졸라 다른게 우린 쌀이라는 주식곡물 자급율은 충분하고
나머지가 낮은거고
졔들은 쌀을 개조진게 큰거임
구조가 다른데 뭔소리하는지
이거 하루 몇번 본거같은데
틀린 말이야? 아니면 작성자가 문제야? 비추랑 분리수거 왜케 많아?
이거 하루 몇번 본거같은데
오래된 쌀개방 반대 논리가
우리가 쌀개방하고 자급율이 낮아지면
외국에서 쌀값을 올려 무기로 쓸 수 있다가 가장 컸는데
이제 우리도 경제력이 올라가니 대체재도 많고
우리도 무기로 쓸 수 있는 게 많아졌지
애초에 역사상 특정 국가각 식량자급률이 낮다는 이유로 국제적으로 단합해서 가격을 올리는 일은 없었음
애초에 그런 짓하다간 신용을 잃어버릴텐데 그야말로 소탐대실이지
게다가 식량 생산국이 몆개고 식량 생산 농가가 수천개인데 개들이 단합을 한다고?
곡물 메이커 어쩌구 이야기하겠지만
개들 점유율이 80% 이러는게 국제 식량무역 이야기지
개들이 전세계 식량의 80%를 생산하는게 아니리
개들이 단합해도 그냥 직거래하면 될 뿐
8090년도에 나온 논리니 무시해도 돼 ㅇㅇ
고작 한국 등쳐 먹겠다고 그런 리스크를 감수하는게 있을 수 없는 일이지
졸라 다른게 우린 쌀이라는 주식곡물 자급율은 충분하고
나머지가 낮은거고
졔들은 쌀을 개조진게 큰거임
구조가 다른데 뭔소리하는지
경제 잘 모르면 글 쓰지 말았으면함
틀린 말이야? 아니면 작성자가 문제야? 비추랑 분리수거 왜케 많아?
경제력도 중요하고 자급율도 중요함
걍 비추가 일상일뿐
애초에 식량은 대체재가 많아 식량의 절대량이 부족하지 않은 이상 특정 종목의 가격이 오른다 해도 대체할 방법은 많다.
대체재가 많다고 주식을 바꾸지는 않겠지
식량 자급율 타령하는데.
세계 정세가 어지러워져서 수입길 막히면
농사를 낫이랑 호미 갖고 지을거야?
어차피 농기계 돌릴 기름 수입이 안되면
식량 자급율 ↗박는건 똑같은데 왜 그렇게 집착하는지...
못 사는 나라는 생존 문제인 거 맞긴 함.
당장 우크라이나 전쟁통에 그쪽 수입 식량에 의존하던 가난한 나라들은
우리 입장에선 '소폭의 가격인상'도 그네들에겐 훨씬 크게 느껴지는 액수라
타격이 상당했고, 지금도 어려움이 이어지는 거로 암.
필리핀 사례가 식량안보론에서 많이 쓰이는데
사실 필리핀이 식량 자급률 낮아졌다고 갑질 당한 적 없고
그저 국제식량가가 높아지는 시기에 상대적으로 외화가 부족한 필리핀이 힘들어 졌을 뿐
식량자급률이 100%든 0%든 해외에서 식량을 수입하는 비용은 같음
애초에 막대한 곡물수출국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세계 곡물가가 들썩이는데 우리나라 식량문제는 별 타격을 안 입었던 게...
우리나라는 경제 체급이 높다고 거기서 들어오는 곡물들이 사료용이었기 때문.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