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93222

역대 바둑 랭킹.jpg

5a642c112b329_1022092_0.jpg
thumb-5a642c112b329_1022092_1_800x516.jpg


택이 넘사벽 ㄷㄷㄷ

댓글
  • 4수자리 2018/01/21 17:43

    이거 그 영상 있는데 밑에서 이창호기사 퐈하하학 올라와서 장기집권하는 영상...

    (kDclR4)

  • 리브랜딩 2018/01/21 19:24

    https://youtu.be/oRvlyEpOQ-8

    (kDclR4)

  • 멍멍하는냥이 2018/01/21 23:49

    Cho chikun 이 조치훈이구나 일본사람중에 저런 사람도 있나 하고 찾아봄

    (kDclR4)

  • 예날 2018/01/21 23:58

    저기 제가 이해를 못해서 그러는데. 택이 넘사벽이라는건 누굴 두고 하는 말이에요? "택" 이라는  이름의 기사가 있는건가요?

    (kDclR4)

  • 우유좋아 2018/01/22 00:32

    전성기 이칭호 vs 알파고 붙여봤으면 좋겠다.

    (kDclR4)

  • 헌혈 2018/01/22 01:33

    구리 불쌍...
    이창호, 이세돌을 만나서 1인자 한 번을 못 찍었네

    (kDclR4)

  • VVan 2018/01/22 05:52

    이창호가 박보검의 얼굴을 하고 있었으면 한국 바둑의 인기는 또달라졌겠죠...

    (kDclR4)

  • 멸공의제논 2018/01/22 06:12

    알파고가 없네?

    (kDclR4)

  • H.Runge 2018/01/22 06:28

    차마 주인공(일본인)을 우승시킬 수 없었던 고스트 바둑왕... (1998~2003 연재)

    (kDclR4)

  • 이카리군-怒 2018/01/22 11:22

    이창호님 ㄷㄷ
    바둑이 아무리 한중일 삼국전이라지만 저 정도면
    다른 운동선수급으로는 무하마드, 조던, 펠레, 우즈급은 되겠죠?ㄷㄷㄷ

    (kDclR4)

  • storycube 2018/01/22 12:15

    사실 가장 불쌍한 건 구리...
    중국 내에서 1인자였는데... 세계 2인자만 10년 가까이...
    조훈현은 제자한테 진 게 좀 불쌍하지만 그래도 1인자라도 해먹다 내려갔지... 구리는 한번도 1등이 되질 못했어요...
    것도... 이창호 내려갔는데 이세돌한테 다시 털림...
    씨에허나 콩지에 조차도 반짝이나마 이름을 올리기라도 했는데...
    이창호와 나이가 비슷했고 중국 내 2인자였던 창하오는 아예 3위 안에 이름도 못 올림,.

    (kDclR4)

  • 천조국수장 2018/01/22 12:24

    솔직히 알파고는 기술의 집약체이기 때문에 1:1이 아닌 다대:1로 붙혀야 된다고 봄. 외우고 있는 기보숫자, 연산력등이 인간과 비교가 안될텐데... 근데 그런 알파고 상대로 1승을 하신 이세돌 당신은 대체 ....

    (kDclR4)

  • 허브차 2018/01/22 12:29

    이창호 기사님 산후조리원 우리 옆방에 계셨어요... 조리원동기..ㅎㅎ 사인도 받았어요..^^ 나중에 알았지만 나이가 같아서 놀랐네요. 저보다 어린줄 알았는데..

    (kDclR4)

  • 쿵떡쿵떡! 2018/01/22 13:12

    30대 넘어서도 세계권에 여전히 이름올리고 있는 이창호가 진짜 미친듯

    (kDclR4)

  • 난사랭 2018/01/22 13:50

    이제 저자리는 계속 알파고 아니..알파x에게로./...

    (kDclR4)

  • 아르마딜로 2018/01/22 14:13

    15,16,17
    확실히 게지가 유명했지...

    (kDclR4)

  • 멋진좋은남자 2018/01/22 14:32

    저는 어려서 그런지 바둑얘기만 나오면 스타크래프트가 떠올라요. 스타도 머릿싸움이거든요. 물론 컨트롤적인 변수가 많이 있지만 그 점을 빼고 피지컬 따지지않고 할 수 있는게 바둑인것을 보면 왜 역사가 그리 깊은지 알 수 있을것같아요.

    (kDclR4)

  • 아는누나남친 2018/01/22 15:16

    고스트 바둑왕을 보신 분 이라면 '봉수'라는 것을 아실겁니다.
    아주 오랜 시간동안 바둑을 둘 때, 식사나 수면 등 불가피한 목적을 위하여 대국을 잠시 중단하여야 하는 경우,
    다음 수를 두는 기사가 장시간 생각할 수 있어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기사는 미리 둘 곳을 정하여 종이에 기록 후 봉인하고 대국을 중단합니다.
    다시 대국이 재개되었을 때 봉수하였던 곳에 착수하고 대국을 진행 합니다. 두 기사 간 대국의 공정성을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현대 바둑에서는 시간을 정하여놓고 초읽기까지 해 가며 속기바둑을 두는 것에 익숙한 데 비해
    과거 일본에서는 바둑을 승부라기 보다는 하나의 예술로 여겨 시간에 많은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몇일에 걸친 대국이 허다했죠... 속기전 위주의 현대 바둑에서 일본 바둑이 쇠락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보는 사람도 많습니다.
    해당 영상만 보아도 초반에는 일본 기사들이 바둑계를 좌지우지 하다가
    조훈현과 네웨이핑 이후로 이창호-조훈현-유창혁 9단 트로이카가 대활약 하는 1990년대 중반부터는 거의 사라져 가는 것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일본 바둑이 근대 바둑의 발전에 영향을 끼친 성과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
    21대까지 이어진 바둑 가문 본인방가(家) 및
    다케미야 마사키, 사카다 에이오, 오청원 등 기라성 같은 기사들이 이룬 근대바둑의 발전 또한 대단한 업적이라 생각 합니다.
    현재에는 역으로 너무 바둑 자체가 속기전 위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습니다.

    (kDclR4)

  • Gadin.K 2018/01/22 15:53

    한국과 중국의 바둑은 스피디한 세상에 맞추어 바둑 제한시간을 각자 4시간에서 2시간 1시간으로 점점 줄여나가고 있고 게다가 국내 기전도 많이 없어진 상태 입니다. 일본은 지금도 여전히 8시간 바둑. 이틀걸이 대국이라고 하죠. 유명한 언론사를 비롯 대단한 기전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상금 규모도 어마어마해서. 국제대회 상금보다 국내대회 상금이 많으니 프로 입장에서 국내기전에 신경을 더 쓰죠 게다가 나름 8시간 바둑으로 궁극의 수를 추구한다는 자부심도 있을 법 합니다.
    한 때 일본의 조훈현이 이창호에게 이틀걸이 대국을 제안했는데 아쉽네요... 진검 승부를 펼쳐봤더라면...

    (kDclR4)

(kDclR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