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887721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


시작은 하나의 의문에서 시작했다.


'왜 슈로는 책에서 나왔는데 엘다인이 아니지?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png


현재 책에서 나온 존재로 확인된 건 넷.


그림 교주, 벨라, 슈로, 그리고 나중에 나온 디아나(왕년).


일단 그림 교주는 제외한다.


에르핀의 그림 일기에서 나온 탓인지 묘사가 처참하여 제대로 된 생명체 근처에도 가지 못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엘다인과 관련 없는 게 또 아닌게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2.png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3.png


죠안을 깨운 게 송진으로 만든 세계수 문양이었던 걸 생각하면


죠안에게 엘다인 힘을 주기 위한 심부름꾼, 혹은 연결고리로 사용된 거 같다.



그럼 남은 건 슈로, 벨라, 디왕.


이중 벨라와 디왕만이 세계수의 힘을 받은 엘다인이다.


이는 책에서 나왔을 때 세계수의 힘이 간섭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어째서 슈로만 엘다인이 아닌 걸까?


여기서 한 가지 가설을 내려보았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4.png


후드 쓴 인물이 세계수의 힘으로 책 속의 존재들을 꺼냈다 → 진실


슈로는 뱀의 준동에서 나왔다 → 진실


후드 쓴 인물이 뱀의 준동에서 슈로를 꺼냈다 → 거짓


무슨 소리냐고?


간단하다.


우로스를 다른 책에서 꺼냈다면 모순은 사라진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5.jpg


벨라는 도서관에서 만났던 우로스가 지금 슈로와 다르다고 증언한다.


물론 당시 벨라는 외형보다는 존재로서 사물을 판단하던 상태였고,


마카샤의 증언에 의하면 슈로가 처음 나왔을 땐 뱀의 모습이었을거다라고 했으니


모습이 달라졌다고 느낀 건 당연할지 모른다.


그런데 완전히 별개의 인물이었다면?




이 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있었다.


하나는 뱀의 준동에서 나온 슈로.


하나는 후드의 인물이 꺼낸 '엘다인 우로스'.


우리는 우로스 입장에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6.jpg


우로스는 운명이 고정된다는 걸 알고 있었다.


자신이 돌아오는 것까지는 확정이지만, 그 뒤에 파멸하는 것도 확정이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우로스는 마카샤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파멸하게 될 우로스의 대역'을 준비한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7.png


벨라가 만난 우로스는 '수인 마을로 간다'고 말했지만,


바로 떠난 벨라와 달리 우로스는 떠나지 않고 도서관에 머물렀다.


우로스에 대한 책을 찾아내고, 후드의 인물처럼 그 안의 우로스를 꺼내기 위해.


책 속의 인물을 꺼내는 게 세계수의 힘으로만 가능하다면, 세계수의 힘을 받은 엘드-아인, 엘다인도 가능할지 모른다.


셰럼이 처음 발견한 책속의 존재들은, 우로스가 자신도 같은 일이 가능할지에 대한 실험의 결과물이라는 의심이 생긴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8.jpg


우로스는 결국 뱀의 준동을 찾아내고, 거기서 슈로를 끄집어낸다.


그리고 자기 대신 파멸할 운명을 맞이하게 하기 위해 밖으로 내보냈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9.png


본인은 따로 숨어 기회를 엿보면서.





하지만 이 가설엔 심각한 결점이 있다.


이건 뱀의 준동 이외의 '우로스를 기록한 책'이 있어야 성립이 가능하다.


우로스를 기록한 책으로 확인된 건 현재 셋이다.


마카샤가 쓴 '뱀의 준동'.


에피카가 쓴 '세상을 삼킬 뻔한 뱀'.


그리고 우로스 본인이 쓴 '지배자의 자격'.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0.jpg


마카샤는 디아나가 우로스의 기록을 철저하게 지우고 다닐 것이라 예상했다.


그래서 마녀 도서관 깊숙이 숨겨놓은 뱀의 준동이 마지막에 남을 기록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는 차마 에피카 기억의 흔적을 지울 수 없었는지 세상을 삼킬 뻔한 뱀을 남겨두고 본인이 보관했다.


그리고 우로스가 쓴 지배자의 자격은...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1.jpg


엘리아스 오디세이아 이후 디아나에게 들켜서 갈기갈기 찢어졌다고 하지만...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2.png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3.png


트롤 기질이 다분했던 그 시절 티그답게,


본인도 모르는 사이의 무찔렀던 우로스 부활 재료를 본인이 다시 모으고 있었다.


이후 교주에게 혼나고 압수당했다.


그렇다면 이 지배자의 자격으로 우로스를 부활시킨 걸까?


안타깝게도 시기가 맞지 않는다.



찢어진 지배자의 자격 페이지가 다시 모인 시점은 란 스토리.


즉, 죠안 사태가 끝난 이후다.


그렇다면 이 가설은 사장되어야 하는가?


꼭 그렇지만도 않다.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4.png


후드의 인물은 에르핀의 일기장을 마음대로 마녀 도서관까지 가져왔었다.


세계수의 힘을 가진 게 맞다면 마음만 먹어도 위치 따윈 상관 없이 원하는 물건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엘리아스 바깥에서 가져왔다면 어떨까?




(트릭컬) 가설: 그날 도서관에는 두 명의 우로스가 존재했다_15.png


분명 있지 않은가.


철저하게 우로스의 기록을 지우던 디아나의 손으로도 닿을 수 없는 안개 밖으로 도망쳐


우로스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도 남을 만한 자들이....








왜 슈로는 엘다인이 아닌 걸까라는 고민에서 떠오른 가설을 적어봄.



댓글
  • 딮퍼플 2025/08/19 20:15

    그럴듯 한데 우로스가 또있으면 스토리 겁나 복잡해질듯 근데 맨 아래 장면은 어디서 나옴?

    (gitma6)

  • 프롬 망자 2025/08/19 20:16

    디왕 테마극장 시작 부분이었을걸

    (gitma6)

  • zoo779 2025/08/19 20:20

    님 글 보고나니깐 나도 하나 떠오른 게 반대로 우로스가 슈로로 부활한 게 맞고 기록의 우로스를 흑막이 창조한거라면?
    슈로는 자연 탄생한 존재니 엘다인의 힘이 깃들지 않았고 기록의 우로스는 창조된 존재니 왕년의 디아나와 같은 엘다인 판정인거지

    (gitma6)

  • Lime Leaf 2025/08/19 20:45

    슈로의 구원이 우로스의 부활후 파멸 회피로 이어지는 건 분명해 보이네. 어차피 우로스도 교단 사도가 될 테니까... (정말?)

    (gitma6)

(gitma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