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중국
매우 불편해 하는 것 같네요. ㅋㅋㅋㅋㅋ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43100?rc=N&ntype=RANKING
미국이 한국에 대해 15%의 상호관세를 확정한 이면엔 세계 조선업 판도를 바꿀 계획이 숨어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일 보도했다.
미국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조선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한국이 제안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활용해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꿈꾸고 있다는 것이다.
한미 양국의 이런 합의는 미국 조선 산업을 되살리고 중국의 조선 분야 지배력을 견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SCMP는 "한국 조선산업은 미국 조선 산업을 부활시키고 중국 지배력을 억제하려는 워싱턴의 야망을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위치에 있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중국 관영 영문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30일 자 논평에서 한미 마스가 프로젝트를 겨냥해 "한국이 기술 전문성과 재정 투자를 관세 인하와 교환하는 판돈이 큰 거래"라며 "불확실한 보상과 장기적인 리스크를 안고 있다"고 비난했다.
https://cohabe.com/sisa/4833809
이번 관세 협상에 불만이 많은 측
- 남북 통일 계획을 서서히 준비해야함 [0]
- 전핑콩 | 2025/08/02 01:51 | 450
- 옷의 안쪽을 보여주는 안경 [7]
- 파테/그랑오데르 | 2025/08/02 01:50 | 430
- ㅇㅇㄱ) ???: 채증 그만해 시발 것들아! [0]
- 1543023300 | 2025/08/02 01:50 | 1064
- 이번 ㅇㅇㄱ ㅇㅁㅇ 개인정보 유출 이슈 관련으로 또 조회수 뽑아먹을 사람 [3]
- 라미아에게착정당하고싶다 | 2025/08/02 01:49 | 347
- 수영장 인분 테러 근황.jpg [8]
- 독고라이브 | 2025/08/02 01:48 | 1171
- ㅇㅇㄱ) 떡밥요약 [14]
- valuelessness | 2025/08/02 01:47 | 543
- ㅇㅇㄱ) 침팬치, 이파리들이 그렇게 바라던 양지 진출 성공했네 [7]
- 함떡마스터 | 2025/08/02 01:47 | 431
- ㅇㅇㄱ)이번건은 확실히 ㅇㅁㅇ 구성원들이 [2]
- 십미터로빈후드 | 2025/08/02 01:46 | 1072
- ㅇㅇㄱ)분명 시작은 디맥에 수록된 '단 1곡'때문이었는데 [14]
- 아서 브라이트 | 2025/08/02 01:46 | 839
- 목욕 하는 아기 거북이 mp4 [5]
- 김이다 | 2025/08/02 01:45 | 986
- ㅇㅇㄱ) 개발자모드로 id, key확인하고 리셀러 잡는게 한두번이 아님 [10]
- 평면적스즈카 | 2025/08/02 01:45 | 991
- ㅇㅇㄱ) 상황에 대해서 조금 정리해보자면 [8]
- 카넬라 | 2025/08/02 01:45 | 459
- ㅇㅇㄱ) 살려만다오 [3]
- valuelessness | 2025/08/02 01:45 | 1191
- ㅇㅇㄱ) 신상을 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뿌려놓고 "되팔램용임" 이러는 건 [19]
- Mikuformiku | 2025/08/02 01:43 | 466
- 블루아카) 수이아 손그림 완성 [4]
- 한국 나히다 | 2025/08/02 01:43 | 207
어찌 이찌기들 바램의 반대로 돌아 가는듯...
그러게요. ㅋㅋㅋㅋㅋㅋ
어.. 영어도 존나 못하는 놈 왔네.. ㅋ
열등감 왔냐?
또 또 알지도 못하는 데 끼어든다....
좋은 결과 아니지. 선방했다는거고. 좋은 결과 안나온 이유가 뭘까? 첫번째는 당신같은 작자들때문이야. 조중동과 성조기 흔들면서 관세망하길 바라는 버러지 국민들이 있으면 트럼프는 그걸 이용해. 두번째는 일본이 먼저 이상하게 협상해서 그래. 세번째는 트럼프의 주 타겟은 처음부터 한국 일본이었어. 그러니까 그냥 입 다물거 있어라
현실은 한국도 살리기 힘들 정도로 미국 조선업이 초토화 되어 있어서
조선 분야 1500억 약속한 돈 싸들고 가도 투자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MASGA 성공해도 한국이 이득, 아예 시작도 못하면 투자금 1500억 굳어서 이득.
한국이 조선업 운영 노하우와 조선기술력을 가지고 있다는 게 크죠. 필리조선소가 한화 인수 1년도 안되어서 생산성을 3~5배 증가시킨 사례가 있죠. 생산인력을 거의 그대로 인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