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히 연구해서, 서문부터 연구 목적을 밝히고 있는 "현대적 논문" 이라는 거죠.
훈민정음을 두고 잡소리 지껄이는 것들은 진짜...
퍼런하늘2025/07/30 20:49
중국을 아닥하게도 만드시고....
maharaja822025/07/30 21:31
딴거 다 넘보는 중국이 한글만을 못넘보는 근거
발명 의도와 결과 영향이 한 문단에 압축된 완벽한 서문
천재는 어렵고 장황한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님
한 단어 한 글자도 바뀌어서는 안되는 완전 무결한 말을 하는 사람임
맨스플레인2025/07/30 21:55
근데 현대적 작법(???????)으로 바꿔 놓은게 더 문제.
전체가 한자어에 조사만 한국어임. 오히려 알아 듣기 더 힘듬.
나랏말싸미 -> 조선어 달아 -> 구조적 차이.
뒷문장에서 우리 말은 " 삼는다 " , "이러한" , "수 있도록 하는 것" 세 군데 밖에 없음.
세종대왕님이 너 같은 넘들 때문에 한글을 만드신 거라고...
Guybrush2025/07/30 22:50
연구에 그치지 않고 개발까지 했는데
R&D 자금이 이것만 준다고!?
울토끼만세2025/07/31 01:52
저 아래 ` 저 발음이 지금까지 남아있었다면....
영어발음 할때 많은 도움이 되었을텐데....
조선시대 통역이나 유생들의 영어발음을 듣고
영어권 선교사들이 많이 놀랐다고 하더군요
최초의 아래 ` 는 여러모로 아까운 탈락자인거 같아요
물새군2025/07/31 09:50
해례본을 최대한 순우리말로 바꿔봤습니다.
우리나라 말소리가 중국 말소리와 달라서 한자 글씨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
그래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백성들 중에 자기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다.
이에 나는 백성을 위해 스물여덟 글자를 새로 만들었다.
이 글자들은 누구나 쉽게 익혀 일상에서 편히 쓰도록 하려는 뜻이 있다.
ESTJ2025/07/31 13:20
이런 내용에 영어로 abstract 니, best practice 라느니...
에휴... 영어 보자마자 그냥 내렸어요...
철저히 연구해서, 서문부터 연구 목적을 밝히고 있는 "현대적 논문" 이라는 거죠.
훈민정음을 두고 잡소리 지껄이는 것들은 진짜...
중국을 아닥하게도 만드시고....
딴거 다 넘보는 중국이 한글만을 못넘보는 근거
발명 의도와 결과 영향이 한 문단에 압축된 완벽한 서문
천재는 어렵고 장황한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님
한 단어 한 글자도 바뀌어서는 안되는 완전 무결한 말을 하는 사람임
근데 현대적 작법(???????)으로 바꿔 놓은게 더 문제.
전체가 한자어에 조사만 한국어임. 오히려 알아 듣기 더 힘듬.
나랏말싸미 -> 조선어 달아 -> 구조적 차이.
뒷문장에서 우리 말은 " 삼는다 " , "이러한" , "수 있도록 하는 것" 세 군데 밖에 없음.
세종대왕님이 너 같은 넘들 때문에 한글을 만드신 거라고...
연구에 그치지 않고 개발까지 했는데
R&D 자금이 이것만 준다고!?
저 아래 ` 저 발음이 지금까지 남아있었다면....
영어발음 할때 많은 도움이 되었을텐데....
조선시대 통역이나 유생들의 영어발음을 듣고
영어권 선교사들이 많이 놀랐다고 하더군요
최초의 아래 ` 는 여러모로 아까운 탈락자인거 같아요
해례본을 최대한 순우리말로 바꿔봤습니다.
우리나라 말소리가 중국 말소리와 달라서 한자 글씨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
그래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백성들 중에 자기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다.
이에 나는 백성을 위해 스물여덟 글자를 새로 만들었다.
이 글자들은 누구나 쉽게 익혀 일상에서 편히 쓰도록 하려는 뜻이 있다.
이런 내용에 영어로 abstract 니, best practice 라느니...
에휴... 영어 보자마자 그냥 내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