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작용을 하는 식물로
Cistus라는 꽃이 있음
수액의 인화성이 굉장히 강해서 인화점이 고작 35도 밖에 안되는데
서식지가 지중해성 기후인데다가 건조한 여름, 불씨 혹은 정전기로 인화점이 낮은 수액이 발화됨
그럼 주변을 싹 태우지만
정작 자신은 내화성있는 씨앗을 뿌려놓고 태운 재를 양분 삼아 번식함
꽃말은 나는 내일 죽겠지
비슷한 작용을 하는 식물로
Cistus라는 꽃이 있음
수액의 인화성이 굉장히 강해서 인화점이 고작 35도 밖에 안되는데
서식지가 지중해성 기후인데다가 건조한 여름, 불씨 혹은 정전기로 인화점이 낮은 수액이 발화됨
그럼 주변을 싹 태우지만
정작 자신은 내화성있는 씨앗을 뿌려놓고 태운 재를 양분 삼아 번식함
꽃말은 나는 내일 죽겠지
번개를 맞아도 생존이 가능하다니 진짜 신기한 생물이네
연구하면 뭔가 공학적인 발전이 될만한 걸 발견할 수 있을까
미친 식물들
어.
그러니까
섬같이 번식환경 제한만 잘하면
저걸사용해서 번개맞은 목재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말이죠 지금?
사실 저런 거 안해도 번개맞은 목재는 아주 간단한 장치로 만든다
식물을 고요함에 빗대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식물이야 말로 첨단기술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경우가 많지... 그 자리에서 움직일수가 없으니 별의 별 수를 다 쓰더만...
번개를 맞아도 생존이 가능하다니 진짜 신기한 생물이네
연구하면 뭔가 공학적인 발전이 될만한 걸 발견할 수 있을까
미친 식물들
어.
그러니까
섬같이 번식환경 제한만 잘하면
저걸사용해서 번개맞은 목재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말이죠 지금?
사실 저런 거 안해도 번개맞은 목재는 아주 간단한 장치로 만든다
식물을 고요함에 빗대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식물이야 말로 첨단기술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경우가 많지... 그 자리에서 움직일수가 없으니 별의 별 수를 다 쓰더만...
트리 썬더!
그럼 수십번 번개맞앗다는거네 지금까지 와 저걸로 도장파면 짱 비쌀듯. ㅋㅋ
그니까 자신이 생존에 유리하려고
남들은 즉사급 피해입는
화상이나 감전상태를
적응해서 살아남는 생존전략이라고??
개쩌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