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보석은 과학적으로보면
천연보석과 달리 불순물이 없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순물질 보석이지만
그래서 가격이 진짜 천연보석과 비교도 안되게 싸구려값으로 팔린다.
과거 장인들이 그토록 추구했던 단하나의 실수도없는 완벽한천이
산업혁명으로 이뤄졌지만
그래서 완벽한 사람손으로 불가능한 작품들이 싸구려로 팔린다.
사진 발명 이전 그림의 목적은 최대한 똑같이 그리는 것이었고
진짜로 사진이 발명되어 원본을 똑같이 옮기게되자
원본과 제일 똑같이 그려주는 사진이
손그림보다 더 싸다?
시계도 과거 시계장인들의 솜씨의 기준은
얼마나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는 기준이 있었지만
인공위성으로 손으로 만든 인공물로는 절대로 따라잡을 수 없는
정밀한 시간 측정장비가 발명되었는데
정밀한 장비가 훨씬 싸다는 모순
갬성비용이지
저번에 보니까 스위스를 비롯한 유럽 명품 시계 산업을 다 더해도 애플워치 시장이 더 크다더라 ㅋㅋ
(대충 1,000 배 비싼 와인이 어쩌구 맛있다고 해봐야 저쩌구)
저건 심지어 비싼게 비교도 안되게 성능이 열등한 경우
이걸 또 명품들이 포장을 해냅니다
갬성비용이지
저번에 보니까 스위스를 비롯한 유럽 명품 시계 산업을 다 더해도 애플워치 시장이 더 크다더라 ㅋㅋ
대중성과 갬성의 사이에서
애플이 태어났다
이걸 또 명품들이 포장을 해냅니다
(대충 1,000 배 비싼 와인이 어쩌구 맛있다고 해봐야 저쩌구)
저건 심지어 비싼게 비교도 안되게 성능이 열등한 경우
불가능한 완벽을 추구하다
완벽이 나오니
이제 불완전이 아름답다도르
구하기힘든 귀한 후추 설탕이
왕들도 쉽게 못먹을만큼 비쌋다가
대량양산되니 싸구려도르
그러기 위한 기술이니까
불완전함에 끌린다기보다도
까놓고 말해 희소성이지 뭐
99% 불완전한게 흔해빠지면 희소한 100%의 값어치가 오르는거고
희소성적인 측면이 생기니까 ㅋㅋ
진짜 정밀한 시간측정 장비는 그 갬성용 명품들보다 쎄지
그냥 우리가 손쉽게 예전에는 상상도 못할 기술의 장치들을 얻을 수 있으니 그것보다 갬성값이 비쌀 뿐
지금도 진짜 최첨단 기술의 값은 갬성값보다 비싸
사치품이니깐
대량생산의 차이도 있는듯
광어 :
다른나라에선 고급 어종인 이몸이
양식되는 한국에선 서민 음식이라고?
ai그림도 이꼴날거 같은데. 결국 감성이라서
애초에 ai그림도 월 몇만원만 내면 무한으로 뽑을 수 있으니, 로컬같은 거 쓰면 아예 공짜로(전기세 제외)뽑을 수 있고.
비슷한 예측으로 완벽한 배양육이 나오면 실제 고기류는 더 비싸질거라고 하지.
대량 생산의 시대
다르게 생각하면 힙스터 비용인가
대량생산 가능성 그 자체로 답이 되는거 아닌가요?
쿼츠혁명으로 스위스시계 산업이 초토화 됐다가 명품전략으로 다시 살아났는데 일부 브랜드의 병맛 소비자 대응으로 다시 점점 하락세....
제품을 산게 아니라 사람의 시간을 샀다는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