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미국과 이집트의 단위면적당 농업생산량을보고
역시 토질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작 우크라이나 흑토지대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한국보다도 낮은데 진짜 이유가 뭐냐면
일조량=광합성량이다.
건조기후가 물만 외부서 끌어올수만있으면 유리하다는게
노출되는 태양에너지가 압도적이라
광합성 효율이 압도적인것
우크라이나도 흑토를가지고도 면적당 생산량이 의외로 낮은게
일조량이 위도가 높아서 낮은편이라서 그렇다.
사람들이 미국과 이집트의 단위면적당 농업생산량을보고
역시 토질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작 우크라이나 흑토지대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한국보다도 낮은데 진짜 이유가 뭐냐면
일조량=광합성량이다.
건조기후가 물만 외부서 끌어올수만있으면 유리하다는게
노출되는 태양에너지가 압도적이라
광합성 효율이 압도적인것
우크라이나도 흑토를가지고도 면적당 생산량이 의외로 낮은게
일조량이 위도가 높아서 낮은편이라서 그렇다.
LED 로 보라빛 쏴주면 해결된다는거지?
종합하면 메콩강 유역의 베트남이 좋으려나
거기도 비내리는 날이 많아서 은근히 일조량서 꽤 손해보는편
호오..!
덥겠다..
그럼 사하라에 토질이랑 수량만 해결하면...!
수량이 도저히 해결이 안됨
그정도로 과학이 발전된다면 화성에 멀티 하나 세울각보일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