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이고 뭐고 태생계급 앞에선 아무 의미도 없다는걸 깨닫고
학벌 사교육 타파하자던 단체가
태생계급 앞에선 사교육이고 학벌이고 뭐고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걸 깨닫고 자진해산함
그게 내년이면 10년 전 일이 됨.
유전자?
학벌?
학습능력?
노력하는 능력?
그 모든걸 다 합쳐도 돈 하나로 찍어누를수 있음
학벌이고 뭐고 태생계급 앞에선 아무 의미도 없다는걸 깨닫고
학벌 사교육 타파하자던 단체가
태생계급 앞에선 사교육이고 학벌이고 뭐고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걸 깨닫고 자진해산함
그게 내년이면 10년 전 일이 됨.
유전자?
학벌?
학습능력?
노력하는 능력?
그 모든걸 다 합쳐도 돈 하나로 찍어누를수 있음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건 노력도 재능도 아닌 자본
재능이 20이면 환경이 60이지
개천에서 용났다가 괜히 있는게 아니지. 진짜 압도적인 재능 없으면 환경 절대 못이김
과거에는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이 있었다고는 해도, 요즘 시대에 통용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으니 뭐..
재능이 20이면 환경이 60이지
그리고 나머지 20은 운이며
100중에서 얼마나 잡을 수 있냐가 노력과 상황에 달린거고
돈도 없는 게 학벌도 없으면 더 서럽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건 노력도 재능도 아닌 자본
일어나라 노예가 되기 싫은 사람아!
과거에는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이 있었다고는 해도, 요즘 시대에 통용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으니 뭐..
개천에서 용났다가 괜히 있는게 아니지. 진짜 압도적인 재능 없으면 환경 절대 못이김
근면하게 일하는 일반인들보다 부자들의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빠르니...
노력과 성실함을 옳다 -> 그 증거로 돈과 재산이 모이는 것이다
에서 어느 시점부터
돈과 재산은 옳다. '노력과 성실함보다'
가 되어버림
걍 이미 가치관 자체가 뒤틀린 거라 답이 없음.
돈이 있으면 이무기가 평생 노력해서 만든 여의주를 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