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의 심판"이라는게 있음
원래 "프랑스 와인이 최고지"라는 마인드가 업계의 기본이었는데
오히려 신대륙 와인의 높은 수준을 증명하고 유럽의 자존심을 구긴 대사건
이와 같은 실험이 2010년대 바이올린에서도 진행되었음.
명품 바이올린의 대명사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과
현대 기술로 만들어진 최신 바이올린을 블라인드 테스트로 검증한 것.
당연히 듣는 사람들은 연주자와 바이올린의 모습을 보지 못하고
또한 연주자가 명품 바이올린을 잡았다는 이유로 인해 감정적으로 연주에 차이를 주지 않도록,
그니까 무의식적으로 더 좋게 연주하지 않도록
대략적인 실루엣은 파악 가능해 연주에는 문제가 없되,
세부적인 형태는 구분 못하는 고글을 착용하여 진행했음.
겸사겸사 연주자들한테도 연주해보니 뭐가 더 좋은지도 설문했고
연주자와 관객 모두 1등으로 고른 것은 현대식 바이올린이었음.
다음은 아예 좀 더 격식있는 콘서트에 가까운 형식으로 진행을 해버림.
위에서 언급된 첫 실험은 가볍게 호텔방에서 진행했었지만
이제는 아예 "실전"에 가까운 환경에서 진행한거
규모도 더 커져서 100여명의 업계 관련인이 동참한
통계적으로 강력한 설득력을 가진 규모가 되었음.
결과는 여전히 신규 바이올린의 신승
신규 바이올린을 선호하는 현상은 압도적이었음.
위 짤을 보면 거의 다 오른쪽에 표식이 있지.
그게 현대식 바이올린을 선호했다는 표시임.
앞에서도 말했듯이 당연하지만 이 실험은 바이올린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실험의 주체 중 한명이었던 joseph curtain 또한 악기 제작자였는데
그동안 "스트라디바리우스 같은 제품 제작"이라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해온 자신의 인생이 부정당하였기에 엄청난 충격에 빠졌지.
"스스로가 허상을 믿고 있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말을 남김.
물론 이런 억단위 명품에 비비거나 뛰어넘는 현대 바이올린들도 비싸기는 함.
몇백은 기본이고 천만단위로 거액에 거래되기도 함.
최상등급은 억을 찍겠지
싸구려 입문용 바이올린들은 당연히 역사적 명품 바이올린에 못 비빔.
하지만 이 명품들이 인정 받아온 수십억 수백억의 가치는
저 몇백억 하는 악기들은 분명 누가 연주 했고 어디서 연주 했는지도 히스토리가 남겨져 있을것 같음
저 몇백억 하는 악기들은 분명 누가 연주 했고 어디서 연주 했는지도 히스토리가 남겨져 있을것 같음
유물이 개쩌는 물건이지만 성능이 현대물건들보다 좋을리는 없지
단순히 좋은 소리와
과거 유명인들에 들었던 좋은 소리라는 차이라는서지
역사성 휘소성 이지 성능이 아니지
사람은 뭔가를 평가할때 순수하게 그 평가의 기준으로만 평가를 하지 못하지 가격, 역사, 희소성, 선입견 전부 포함돼서 선택하다보니 무조건 편견이 생길수밖에 없음 그래서 블라인드 테스트를 평론가들이 하기 싫어하는거고 ㅋㅋ
신승이 아니라 압승인듯
스트라디바리의 소리가 지금 현대인이 듣고 이거보다 요즘게 좋은데?
라고 해도
300년 간의 명장이 연주한 소리가 이런 소리였다는걸 지금도 들을 수 있다는 것에 가치가 깊음...
애초에 청동이나 강철 같은 재질도 아니고 나무인 이상 수십년만 지나도 마모되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