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37275

수십억짜리 초명품 바이올린은 어떻게 다를까



img/25/04/27/19676ca71ed55578f.jpg





"파리의 심판"이라는게 있음


원래 "프랑스 와인이 최고지"라는 마인드가 업계의 기본이었는데


전문가들 모아다가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보자


오히려 신대륙 와인의 높은 수준을 증명하고 유럽의 자존심을 구긴 대사건














img/24/12/27/19407f0952e55578f.jpg



이와 같은 실험이 2010년대 바이올린에서도 진행되었음.


명품 바이올린의 대명사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과

현대 기술로 만들어진 최신 바이올린을 블라인드 테스트로 검증한 것.













img/24/12/27/19407f3689e55578f.jpg



당연히 듣는 사람들은 연주자와 바이올린의 모습을 보지 못하고
















img/24/12/27/19407f3eda555578f.jpg



또한 연주자가 명품 바이올린을 잡았다는 이유로 인해 감정적으로 연주에 차이를 주지 않도록,

그니까 무의식적으로 더 좋게 연주하지 않도록



대략적인 실루엣은 파악 가능해 연주에는 문제가 없되,

세부적인 형태는 구분 못하는 고글을 착용하여 진행했음.




겸사겸사 연주자들한테도 연주해보니 뭐가 더 좋은지도 설문했고










img/24/12/27/19407f8883e55578f.jpg




결과는 놀랍게도 현대 바이올린의 압승.


연주자와 관객 모두 1등으로 고른 것은 현대식 바이올린이었음.




관객과 연주자 모두 바이올린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기에 알못이라는 변명도 안 됨












img/24/12/27/19407fafeea55578f.jpg





다음은 아예 좀 더 격식있는 콘서트에 가까운 형식으로 진행을 해버림.




위에서 언급된 첫 실험은 가볍게 호텔방에서 진행했었지만


이제는 아예 "실전"에 가까운 환경에서 진행한거




규모도 더 커져서 100여명의 업계 관련인이 동참한 

통계적으로 강력한 설득력을 가진 규모가 되었음.













img/24/12/27/19407fbd33155578f.jpg





결과는 여전히 신규 바이올린의 신승



신규 바이올린을 선호하는 현상은 압도적이었음.



위 짤을 보면 거의 다 오른쪽에 표식이 있지.

그게 현대식 바이올린을 선호했다는 표시임.














img/24/12/27/1940800d93a55578f.jpg



앞에서도 말했듯이 당연하지만 이 실험은 바이올린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실험의 주체 중 한명이었던 joseph curtain 또한 악기 제작자였는데


그동안 "스트라디바리우스 같은 제품 제작"이라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해온 자신의 인생이 부정당하였기에 엄청난 충격에 빠졌지.


"스스로가 허상을 믿고 있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말을 남김.












img/24/12/27/1940807a94a55578f.jpg



물론 이런 억단위 명품에 비비거나 뛰어넘는 현대 바이올린들도 비싸기는 함.


몇백은 기본이고 천만단위로 거액에 거래되기도 함.

최상등급은 억을 찍겠지



싸구려 입문용 바이올린들은 당연히 역사적 명품 바이올린에 못 비빔.






하지만 이 명품들이 인정 받아온 수십억 수백억의 가치는


사실 그 본질이 성능이 아니라 역사적 가치에 있었다는게 이 실험의 핵심이지



댓글
  • 그냥번호-6285598117 2025/04/27 19:36

    저 몇백억 하는 악기들은 분명 누가 연주 했고 어디서 연주 했는지도 히스토리가 남겨져 있을것 같음

  • 그냥번호-6285598117 2025/04/27 19:36

    저 몇백억 하는 악기들은 분명 누가 연주 했고 어디서 연주 했는지도 히스토리가 남겨져 있을것 같음

    (qms60c)

  • 반다비 2025/04/27 19:37

    유물이 개쩌는 물건이지만 성능이 현대물건들보다 좋을리는 없지

    (qms60c)

  • 익명-TA3NTU4 2025/04/27 19:37

    단순히 좋은 소리와
    과거 유명인들에 들었던 좋은 소리라는 차이라는서지

    (qms60c)

  • 익명-DE2ODA2 2025/04/27 19:38

    역사성 휘소성 이지 성능이 아니지

    (qms60c)

  • Touo 2025/04/27 19:38

    사람은 뭔가를 평가할때 순수하게 그 평가의 기준으로만 평가를 하지 못하지 가격, 역사, 희소성, 선입견 전부 포함돼서 선택하다보니 무조건 편견이 생길수밖에 없음 그래서 블라인드 테스트를 평론가들이 하기 싫어하는거고 ㅋㅋ

    (qms60c)

  • 포푸라 2025/04/27 19:39

    신승이 아니라 압승인듯

    (qms60c)

  • 하이드로펌프코 2025/04/27 19:40

    스트라디바리의 소리가 지금 현대인이 듣고 이거보다 요즘게 좋은데?
    라고 해도
    300년 간의 명장이 연주한 소리가 이런 소리였다는걸 지금도 들을 수 있다는 것에 가치가 깊음...

    (qms60c)

  • 별들사이를 걷는거인 2025/04/27 19:41

    애초에 청동이나 강철 같은 재질도 아니고 나무인 이상 수십년만 지나도 마모되지 않나

    (qms60c)

(qms6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