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01809

또다시 돌아온 궁금증 RF200-800에 r10 vs r7

아직도 열심히 새를 찍다 보니.. 계속된 고민이 점점 커져나가기 시작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새를 찍다보면 아무리 환산 1280mm에서도 더 당기고 싶어 사진에서 크롭을 자주하는데, 아무래도 r10의 화소수가 2420 r7의 화소수가 3250 인데..
이론상 1.34배의 화소가 증가하는거다 보니 크롭사진 기준에서 드라마틱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듯 싶어 아직도 r7을 구매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니콘 계열은 고화소 기기로 많이 나와있심히 새를 찍다 보니.. 계속된 고민이 점점 커져나가기 시작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새를 찍다보면 아무리 환산 1280mm에서도 더 당기고 싶어 사진에서 크롭을 자주하는데, 아무래도 r10의 화소수가 2420 r7의 화소수가 3250 인데..
이론상 1.34배의 화소가 증가하는거다 보니 크롭사진 기준에서 드라마틱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듯 싶어 아직도 r7을 구매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카메라 공부를 좀 하다보니 화소수가 높아도 렌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정해져 있다보니 크롭바디에서 풀프 렌즈의 실성능을 다 못끌어낸다는 이론도 보긴 했었는데..
이 기준이면 R7을 간다면 탐조 영역에서 크롭하는 상황에 처한다면 R10에서 바꾼 드라마틱한 변화가 정말로 없을까요..?

댓글
  • EyeToHeart 2025/04/15 16:44

    1200mm 가 후보정으로 극복가능한 좋은화질의 한계입니다
    많이 땡겨도 화질이 안되면 쓸모없어요

    (QfGZFz)

  • ISO800 2025/04/15 17:43

    제가 이쁜 사진을 찍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새들을 찍으면서 동정 부분이 잘 나와야 한다던지, 가락지가 잘 보여야 한다던지 그런걸 좀 주의깊게 보는지라 이게 최대 한계인가 보군요..

    (QfGZFz)

  • EyeToHeart 2025/04/15 17:45

    아.. 그런것은.. 화질과 상관없으니.. 많이 땡겨도 되겠어요.

    (QfGZFz)

  • EyeToHeart 2025/04/15 17:46

    R7 + 200-800 + 2x 해도 가락지 같은것은 잘 보일겁니다.

    (QfGZFz)

  • 너의FF 2025/04/15 17:07

    둘 중 뭘 하시든 큰 차이 없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화질이 중요하다면
    FF 카메라에 RF 800mm F11 이 더 화질은 좋을거 같습니다.

    (QfGZFz)

  • ISO800 2025/04/15 17:44

    어찌보면 확대해서 보이는 가락지나 새들의 동정 포인트 부분을 더 중요시하다보니 차라리 800 f11이 더 좋으려나요..?

    (QfGZFz)

  • 까까라 2025/04/15 17:11

    인스타용이면 크롭만해서 규격맞추면 차이가 좀 있을 것 같네요

    (QfGZFz)

  • ISO800 2025/04/15 17:44

    인스타 용도가 주목적이 아니여서.. 어렵네요..

    (QfGZFz)

  • 건.샤 2025/04/15 17:51

    그런데 말입니다 .
    동정은 뭐고 가락지는 뭡니까 첨듣는말이라 뭔말인지 해설좀 ? ?

    (QfGZFz)

(QfGZF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