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479583

2400만 화소 카메라의 광각 한계 (feat.chat GPT)

r6m2 바디에 rf 15-35 2.8 렌즈를 물렸을때 결과물을 보면 r5m2와 해상도 차이가 많이 나더라구요
처음엔 제가 다 흔들리게 찍은건지 긴가민가 하기도해서 r5m2와 번갈아가며 같은 1535렌즈를 물리고 테스트를 해보니
아무리봐도 화소 차이인 것 같더라구요 근데 평소에 2470이나 50 또는 85미리 등에서는 확대를 하지않는이상
크게 차이가 안낫는데 유독 15-35 구간대에서 인물이 뭉개지거나 해상도 차이가 심하길래 렌즈 점검까지 받아봤지만 정상이었습니다.
마치 4k 모니터(r5m2)로 보다가 fhd 모니터(r6m2)를 사용하였을때 딱 그 느낌이었는데..
chat gpt에서 물어보니 역시 단순 픽셀 밀도 차이였군요..
???? 1. 픽셀 밀도 자체가 낮음
• 2400만 화소는 센서 크기 대비 픽셀 하나하나의 밀도가 낮아요.
• 센서의 전체 영역을 넓게 활용하는 광각 렌즈(특히 15mm)에서는 넓은 장면을 상대적으로 적은 픽셀로 나눠 찍는 셈이 되죠.
• 그 결과, 디테일이 뭉개지거나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2. 화각이 넓을수록 디테일이 분산됨
• 15mm는 초광각이기 때문에 하나의 장면 안에 많은 요소가 들어와요.
• 예를 들어 같은 2400만 화소 사진이라도:
• 인물 클로즈업: 얼굴에 수천 픽셀 집중
• 광각 풍경: 산/건물/하늘이 다 나눠 가짐
• 이러면 상대적으로 “화질이 떨어진다”고 느끼게 돼요.

???? 3. 광각 렌즈의 주변부 성능 저하
• RF 15-35 F2.8 같은 고성능 렌즈도, 15mm 개방에서는 주변부 선예도가 살짝 낮을 수 있어요.
• 저화소 바디에서는 그 미세한 차이가 더 티 날 수 있어요.
• R5M2 같은 고화소 바디는 그걸 보정해줄 여유 픽셀이 있지만, R6M2는 상대적으로 덜 하죠.
요약하면:
2400만 화소 + 15mm 초광각은 구조적으로 디테일 표현력에 한계가 있음
→ 특히 크롭하거나 확대해서 볼 때, 고화소 바디 대비 차이가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같은 렌즈인데도 R5M2에서 더 “선명하고 디테일한” 느낌이 나는 거예요!

댓글
  • F-22[Raptor] 2025/04/07 19:54

    아...어쩐지 광각에서 해상력이 부족해보였는데
    이유가 있었군요ㄷㄷ

    (QIE4m8)

  • 델타에코 2025/04/07 20:02

    설명 감사합니다

    by SLR공식앱

    (QIE4m8)

  • 빅센 2025/04/07 20:36

    설명 잘 들었습니다.

    (QIE4m8)

(QIE4m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