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에 우유 타먹는건....음....
자학하지 말고 삽시다.
https://cohabe.com/sisa/4451115
성인에게 우유는 백해무익입니다.
- D6 배터리. 18d 질문 드립니다. [9]
- 갤러리서 | 2025/03/31 17:37 | 835
- 명조) 은근히 돌고있는 젠니 떡밥 [7]
- 구구일오삼구구 | 2025/03/31 14:32 | 955
- MCU) 어벤저스 1은 그 자체로 진입 장벽이 높은 영화라고 하기보다는 [4]
- RussianFootball | 2025/03/31 13:29 | 853
- 트릭컬)다시보니 이해는 가는 세계수 [2]
- 지구별외계인 | 2025/03/31 12:56 | 891
- 명조) 스포) 2.2버전도 번역 찐빠는 남아 있네 [6]
- 츠루마키 코코로 | 2025/03/31 06:58 | 599
- 105n vs 70-200 FL 고민하다가 70-200 FL을 덥석 물었습니다. [9]
- 미루™ | 2025/03/30 22:30 | 760
- 100만원 마이크 성능 [10]
- 5413857777 | 2025/03/30 15:18 | 733
- 일부러 맛없다고 해봤더니 베테랑 사장님 반응 [9]
- 야부키 카나ㅤ | 2025/03/30 14:13 | 1198
- 조선최초의 소방기구를 없앤 왕 [25]
- LDAC | 2025/03/30 13:04 | 920
- 블루아카) 유체역학적으로 완벽한 호시노 [5]
- ホシノ | 2025/03/30 10:56 | 826
아메리카노 보다 라떼가 좋으면 넣어서 마셔도 되죠
담배 같이 진짜 백해무익이라고 할만한 녀석도 아니고
홍차에 우유 찔끔찔끔 타먹고 있음
건강에 좋으라고 먹는 게 아니죠.
맛있어서 먹는 거지
하지만 커피는 블랙. 온리 아메리카노
안드시는 분 많으면 좋죠 먹는 사람에겐 ㅎ
그 우유가 칼슘소화를 더 방해한답니다.원두에 우유먹으면 칼슘을 배로 더 흡수 못하게되는거
모유 함량의 300배인 카세인이 오히려 칼슘 흡수를 방해하게 하는 것이죠.
몰라서 AI한테 물어봤습니다.
.............................
우유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성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유의 효능과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유의 긍정적인 측면
영양소 공급: 우유는 단백질, 탄수화물, 칼륨, 칼슘, 인, 비타민 A, B, D 등 114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제공하는 완전식품으로 불립니다.
면역력 강화: 우유에 함유된 효소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면역력을 강화하여 감염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뼈 건강: 우유는 칼슘 흡수율이 높아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유당과 비타민 D는 칼슘 흡수를 돕고, 락토페린은 뼈를 생성하는 세포를 활성화하고 파괴하는 세포를 억제합니다.
근육 건강: 우유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양질의 단백질을 제공하여 근육량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류신은 근감소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신 건강: 우유에 함유된 트립토판은 세로토닌 생성을 촉진하여 불안감을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울 수 있습니다.
대장암 예방: 우유의 칼슘과 공액리놀레산은 대장암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40세 이상 성인의 경우 우유 섭취가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유 섭취 시 고려사항
유당불내증: 유당불내증이 있는 경우 요구르트 섭취부터 시작하여 우유 섭취량을 점차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동맥경화: 우유에 함유된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 뇌졸중, 심장마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개인별 건강 상태: 특정 질환이 있거나 우유 섭취 후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흠... 이 내용을 보면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진 않은데요
뭐가 맞는 말일까요?
우유의 유해성에 대한 논의는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개인의 건강 상태와 식습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성인에게 우유가 유해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 1. 유당 불내증
많은 성인들은 유당을 소화하는 효소인 락타아제가 부족하여 유당 불내증을 겪습니다. 이로 인해 우유를 섭취하면 복통, 설사, 가스 등의 소화 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당 불내증은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아시아인, 아프리카인에서 더 흔하게 관찰됩니다.
### 2. 알레르기 반응
특히 어린 시절에 우유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도 이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우유 단백질 알레르기는 면역 시스템이 우유 단백질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이로 인해 피부 발진,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호르몬과 항생제
우유 생산 과정에서 사용하는 호르몬과 항생제가 우유에 잔류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질들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호르몬이 포함된 우유를 장기간 섭취할 경우, 호르몬 불균형이나 특정 질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4. 심혈관 건강
우유는 포화지방을 포함하고 있어 과도한 섭취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우유 소비와 심혈관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고지방 우유 제품의 경우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 5. 대장암과의 연관성
일부 연구에서는 우유와 유제품의 소비가 대장암 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는 상반된 결과가 많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결론
우유의 유해성은 개인의 건강 상태, 유전적 요인, 섭취량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유를 섭취할 때는 자신의 몸 상태를 고려하고, 필요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거 담배, 술, 정제탄수화물을 끊으쇼.
카페인이나 짠 음식과 같이 먹어서 그렇다는 얘기는 있네요.
우유 자체가 칼슘 흡수를 방해하는게 아니고요
카세인(Casein)은 우유 및 유제품에서 발견되는 주요 단백질로, 일반적으로 우유의 단백질 성분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이 카세인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성인의 칼슘 섭취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 1. 카세인의 특성
카세인은 우유에서 단백질의 형태로 존재하며, 소화 과정에서 천천히 분해됩니다. 이는 체내에서 아미노산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칼슘의 흡수와 관련된 논란도 있습니다.
### 2. 칼슘 흡수 방해
카세인이 칼슘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는 주장은 몇 가지 기전으로 설명됩니다:
- **소화 과정의 영향**: 카세인은 소화 과정에서 위장에서 응고되어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칼슘이 장에서 효율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pH 변화**: 카세인은 위장 내 pH를 변화시켜, 칼슘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칼슘이 장에서 흡수되는 데 필요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3. 모유와의 비교
모유에는 카세인이 상대적으로 적고, 주로 유청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청 단백질은 소화가 빠르고 아미노산이 쉽게 흡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기에게는 보다 효율적인 영양 공급이 가능합니다. 반면, 우유의 카세인 함량이 높은 제품은 성인이 소화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4. 연구 결과
일부 연구에서는 카세인 섭취가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양한 의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카세인이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고 주장하였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우유와 유제품이 여전히 칼슘의 중요한 공급원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 결론
카세인이 인체의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소화 능력, 식습관, 그리고 전반적인 영양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유와 유제품은 일반적으로 칼슘의 중요한 공급원이므로,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다양한 출처의 칼슘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필요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식단을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