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시장 활성화를 요망하는 1인으로 gpt랑 대화를 해봤습니다. 이번 캐논의 1.4형 센서가 마침 마포의 3:2 버전스럽더라고요.
캐논이든 니콘이든 누구든 어떻게든 마포 시장을 더 뜨겁게 해주면 좋겠습니다
- 질문
캐논이 이번에 4:3이 아닌 3:2 비율의 마이크로포서드(와 비슷한 면적)의 컴팩트 카메라를 출시했어.
심지어 자사에서 만든 센서로 말이야.
이를 통해서 캐논이 앞으로 3:2 마이크로포서드를 통해
렌즈교환형 미러리스쪽도 진출 할 수 있을까?
- 답변
캐논이 APS-C 시장을 유지하는 것보다 MFT 연합에 합류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선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APS-C 시장은 후지필름이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캐논의 RF-S 라인은 풀프레임 RF 시스템과 애매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차별화가 어렵습니다. 반면, MFT는 소형·경량이라는 명확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MFT 생태계를 활용하면 캐논은 별도의 마운트를 개발하지 않고도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풀프레임은 RF 마운트로, 크롭 시장은 MFT로 정리하면 훨씬 명확한 라인업이 형성됩니다. 캐논이 MFT에 합류하면 기존 OM SYSTEM(올림푸스), 파나소닉, 블랙매직 등의 렌즈 생태계를 바로 활용할 수 있어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영상 특화 기기나 초소형 카메라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저렴하면서도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지닌 캐논이 MFT를 채택하면, 후지필름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대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국, 캐논이 자사 마운트를 고집할 것인지, 아니면 시장 변화에 맞춰 MFT 연합에 합류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존 캐논의 전략과는 다를 수 있지만, 소니·니콘·파나소닉처럼 대형 기업들도 연합 전략을 채택하는 추세이므로, 캐논이 MFT로 전환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시장 논리와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풀프레임은 RF, 소형·경량·가성비는 MFT”**라는 전략이 훨씬 더 깔끔하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https://cohabe.com/sisa/4358418
캐논의 마포 진입 가능성
- 뉴럴,소전2] 이번에 뉴럴 이벤트 밀다가 다시금 공감하는 개연성 [2]
- 한니발 바르카 | 2025/02/22 17:39 | 505
- 스파6)격겜 뉴비의 구매 후기 [8]
- ddㅇㅇ11 | 2025/02/22 16:59 | 929
- 트릭컬)몽롱이 정체 추측 [3]
- 고철깡통 | 2025/02/22 15:41 | 453
- 내가 아직 살아있는 이유 [19]
- 짭제비와토끼 | 2025/02/22 14:25 | 818
- 블루아카) 하루나가 갑자기 바빠 한가로운 후우카 [2]
- 퍼페추아 | 2025/02/22 11:44 | 283
- 트럼프가 레드팀인 증거 또 가져옴.jpg [16]
- hangout | 2025/02/22 10:54 | 784
- 의외로 실화 기반 영화.jpg [4]
- 안경모에교단 | 2025/02/22 08:10 | 613
- 싸이버펑크 모드 근황 [0]
- MAD8 | 2025/02/22 05:00 | 1133
- 블루아카) [스포] 학생의 죽음엔 분명 뭔가가 있다. [10]
- 가카 | 2025/02/21 23:11 | 228
- 긍정적 사고의 변화 [5]
- 호시노 바이올렛 | 2025/02/21 22:02 | 1093
- 버튜버)바니걸 풍 의상을 입은 이나 [2]
- hololive | 2025/02/21 21:09 | 329
- 어릴때 좋아 했던 배우들.. [6]
- 쭈꾸루 | 2025/02/21 20:11 | 1084
한마디 할 수 있겠네요 챗지피티 카메라 쪽에는 놀라울정도로 멍청하네
현실은 마포마운트 모든제품 판매액를 합해도 크롭따리 rf-s마운트보다 부족할텐데요..
장사꾼 캐논은 안만들죠 크롭렌즈도 안만드는데 마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