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관리들은 상사, 중오절 등 몇몇 공휴일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10일 출근마다 1일 휴무였음
근데 제사 한번 하면 2~5일의 급가, 지금으로 치면 공가를 받음.
1년에 제사가 10번이다? 최소 20일, 최대 50일의 공가가 생기는거임
그렇다. 제사는 휴가였던 것이다.
물론 내 주관적 생각임. 반박시 니말이 맞을거임 아마
조선시대 관리들은 상사, 중오절 등 몇몇 공휴일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10일 출근마다 1일 휴무였음
근데 제사 한번 하면 2~5일의 급가, 지금으로 치면 공가를 받음.
1년에 제사가 10번이다? 최소 20일, 최대 50일의 공가가 생기는거임
그렇다. 제사는 휴가였던 것이다.
물론 내 주관적 생각임. 반박시 니말이 맞을거임 아마
근데 관리 잘해봤자 5천여명을 제외하곤 죄다 꼴깞 떨었다는 얘기임
어디 관직도 안해서 평생 휴가인놈들이
똥먹는데카레얘기하지마
2025/02/15 05:48
근데 관리 잘해봤자 5천여명을 제외하곤 죄다 꼴깞 떨었다는 얘기임
어디 관직도 안해서 평생 휴가인놈들이
겸둥현진
2025/02/15 05:56
조선시대라면.. 주말이란 개념이 없었을테니.. 저거 받아야 주말 쉬는 느낌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