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308643

영화) "현실적임"과 "그럴싸함"을 다루는 관점에 대해


img/25/02/03/194cb12790757ae5f.png



영화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그럴싸함"은 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주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종종 영화 속에서 진짜 전문가들의 시선으로 보면 어설프거나 논리적으로 성립되지 않는 장면들이 많다.

문제는, 이제는 단순히 영화 속에서 "그럴싸한 느낌"만 있으면 되는 시대가 아니라는 점이다.

인터넷과 정보 공유가 발달하면서, 일반 관객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빠르게 퍼진다.

이런 시대적 변화는 창작자들이 작품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img/25/02/03/194cb189f6b57ae5f.png





img/25/02/03/194cb1545d557ae5f.jpg

예를 들어, 아이언맨에서 슈트가 조립되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현실적인 기계 공학을 참고한 듯한 정교한 설계"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엔지니어들의 시선에서 보면 "저렇게 움직이는 부품들은 실제로 동작할 수 없으며, 그럴싸한 눈속임일 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객들은 처음에는 영화 속 기술을 신기해하지만, 이런 분석을 접한 뒤에는 "아, 결국 판타지였구나" 라고 새로운 관점이 생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장면이 영화적으로 실패한 것은 아니다.


영화는 애초에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감을 주는 환상을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로 [레디 플레이어 원]의 레이싱 히든 코드 장면도 있다.

"앞으로만 달려가야 하는 레이싱 게임에서, 정작 클리어 방법은 전속력 후진으로만 해금된다" 가 파격적인 반전으로 작용하지만

게임 개발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건 말이 안 되는 설정이다.

현실의 게임 QA 팀에서는 수많은 예외 케이스를 검증하기 때문에, 게임 출시 하루 만에 이런 비밀이 밝혀질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 장면도 게임적으로는 말이 안 되지만, 영화적으로는 충분히 흥미로운 장치로 만들수는 있다.







img/24/07/28/190f90ad58c57ae5f.jpg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려 했던 영화들도 예외가 아니다.

[아바타2]의 미래형 전투기 디자인은 "100년 후 실제 전투기 디자인과 비슷할 것 같다"는 반응을 얻었지만,

실제 군사 전문가들의 시선에서 보면 어디까지나 "패션 고증"일 뿐이다.

그럴싸해 보일 뿐이지, 실제 전투기 설계와 전술적 활용도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SF 장르에서 수도 없이 반복된다.

스타워즈 시리즈의 메카 디자인도 공업디자인 전공자를 둔 덕에 그럴싸한 군사적 리얼리티를 가졌다는 평가를 받지만,

군사 전문가들이 보기에는 "픽션은 픽션, 실제 전장에서 사용하기엔 비효율적인 구조"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img/24/07/28/190f90e045b57ae5f.jpg

이런 흐름은 단순히 SF나 액션 장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범죄도시4에서 얼굴 인식 기술이 경찰 수사에 활용되는 방식도 "범죄자를 색출하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라는 식으로 받아들여지지만,

현실적인 경찰 대응 방식에서는 "그냥 이륙부터 막고 잡으면 장땡"이라는 반박이 나오는 식이다.


즉, 영화 속에서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 특정한 절차를 생략하거나 연출적으로 각색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제는 그러한 요소들이 쉽게 "현실적으로는 틀린 묘사"라는 지적을 받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는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고민을 던진다.






img/25/02/03/194cb174aee57ae5f.png

어디까지 현실성을 반영하고, 어디까지 영화적 허용을 해야 하는가?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관객이 "이건 그냥 영화니까"라고 너그럽게 받아줄 것인가?

과거에는 창작자들이 스토리를 전개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현실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전문가들이 영화의 고증 오류를 쉽게 분석하고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결과, "그럴싸한 연출"을 유지하려는 창작자의 노력과, 이를 "현실적으로 틀렸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들 사이의 간극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창작자들은 세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img/25/01/30/194b2eca06157ae5f.png


첫째, 가능한 한 현실성을 높이고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방법.

둘째, 일부 설정의 오류를 감수하고 "이건 영화니까"라는 입장을 유지하는 방법.

셋째, 아예 특정 분야의 현실성을 포기하고 "우리는 리얼리즘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방향을 명확하게 정하는 방법.







img/24/07/28/190f912bc7c57ae5f.jpg

예를 들어, 태양의 후예 같은 드라마는 군사적 현실성을 고려하지 않고

"우리는 멜로드라마를 만들었지, 군사 다큐멘터리를 만든 게 아니다"라는 입장을 취했다.









반면, 인터스텔라 같은 영화는 물리학적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과학자들과 협업하며 최대한 현실에 가까운 묘사를 하려고 했다.

이처럼 창작자가 작품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어느 정도까지 현실성을 반영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img/24/07/28/190f90eb40d57ae5f.jpg

결국, 영화가 대중에게 "그럴싸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분석이 쉽게 퍼지는 시대에서는 그 "그럴싸함"을 유지하기 위해 더욱 치밀한 고증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는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과제가 되었으며, 앞으로 영화와 게임의 스토리텔링 방식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댓글
  • SEADOGGO 2025/02/03 18:22

    이거마따

  • LoliVer 2025/02/03 18:21

    본문의 말이 맞는 거 같기도 하고 아닌 거 같기도 하고 긴가민가하네
    하나의 장르로서 확립됐고, 그 장르적 문법이라는 게 소비자들과도 합의가 된 상황이면 현재에도 여전히 그렇게까지 치밀할 필욘 없다고 생각함
    탑건도 극중에 묘사된 작전이 말도 안 된다고들 하지만, 왜 그런 작전을 영화에서 보여줘야 했는지는 관객들을 충분히 설득시켰던 케이스고

  • noom 2025/02/03 18:25

    아이언맨 슈트의 디테일은 멋지게 챙겨야하지만. 타노스와 아이언맨 사이의 처절한 순간이 오갈때 "왜 수천만광년 너머 외계인이 영어를 쓰지?" 같은건 따지는놈이 피곤한거다 같은?

  • 딸깍딸깍 2025/02/03 18:26

    별로던데?


  • LoliVer
    2025/02/03 18:21

    본문의 말이 맞는 거 같기도 하고 아닌 거 같기도 하고 긴가민가하네
    하나의 장르로서 확립됐고, 그 장르적 문법이라는 게 소비자들과도 합의가 된 상황이면 현재에도 여전히 그렇게까지 치밀할 필욘 없다고 생각함
    탑건도 극중에 묘사된 작전이 말도 안 된다고들 하지만, 왜 그런 작전을 영화에서 보여줘야 했는지는 관객들을 충분히 설득시켰던 케이스고

    (FtIEjQ)


  • noom
    2025/02/03 18:25

    아이언맨 슈트의 디테일은 멋지게 챙겨야하지만. 타노스와 아이언맨 사이의 처절한 순간이 오갈때 "왜 수천만광년 너머 외계인이 영어를 쓰지?" 같은건 따지는놈이 피곤한거다 같은?

    (FtIEjQ)


  • LoliVer
    2025/02/03 18:27

    그치, 그 정도 합의는 관객들도 돼 있는 상태라고 보거든
    좀 더 매니악하게 들어가면 건담에서 미노프스키 입자 같은 편의주의적인 설정을 넣는 거나, 각종 미소녀 수집 겜에서 여성만 전쟁병기가 될 수 있다는 설정을 넣는 것도 사실 메카물, 미소녀 수집 게임이라는 장르에 당위를 부연하기 위한 몸비틀기라는 걸 소비자들이 합의를 하니까 굳이 거기다 딥하게 태클을 넣진 않는 식으로

    (FtIEjQ)


  • SEADOGGO
    2025/02/03 18:22

    이거마따

    (FtIEjQ)


  • 딸깍딸깍
    2025/02/03 18:26

    별로던데?

    (FtIEjQ)


  • 루리웹-797080589
    2025/02/03 18:27

    그럼 뻔뻔하게 우라늄으로 만든 건담같은거 나와도 됨?

    (FtIEjQ)


  • Arche-Blade
    2025/02/03 18:28

    저건 매체적특성보다는 장르적특성을 더 따라감
    역사물이나 하드sf물에서는 그럴싸함보다 고증을 더 중시하게되고
    그렇지않은 장르는 그럴싸함으로도 소비자가 그걸 그럴수있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큼
    즉 장르자체가 핍진성보다 현실성에 더 무게를 둘수록 고증에 집중하게 되는거

    (FtIEjQ)


  • IWBTB솔그린
    2025/02/03 18:28

    태양의 후예에서 천막조차 안치고 수술하는 장면은 그 때 간호학 배우지조차 않은 나조차도 뭐하는 미친 장면이지? 하고 경악하는 수준이었음

    (FtIEjQ)


  • onlyNEETthing
    2025/02/03 18:29

    창작자들이 "대중"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임
    본문에서 예시를 든 태양의 후예는
    인구의 반이 군대를 다녀왔다는 점을 망각하고 경례장면을 그렇게 만드는 바람에 아직도 조롱당함

    (FtIEjQ)


  • 님도굴러요
    2025/02/03 18:29

    ?? : 우주에서는 레이저 소리가 안나는데요?
    조지 루카스 : 내 우주에선 된다

    (FtIEjQ)

(FtIEj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