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7321344
베스트에 '반달곰 복원사업을 진행한 이유'가 올라왔는데,
오마이뉴스의 기사를 인용한 게 어이가 없어서 직접 찾아왔다.
아니, 자료를 인용할 거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인용해야지...
(출저 : https://www.knps.or.kr/history/exhibition/view?eidx=341)
(출저 : https://www.knps.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7020028)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2027년까지 25종 복원
(출저 : https://species.nibr.go.kr/endangeredspecies/rehome/news/news_view.jsp?bbs_sno=395&bbs_man_sno=3)
2017년 시점에서 현재 2024년까지 현재도 이렇게 진행되는 복원사업이고,
수달이나 산양은 복원 사업이 잘 이루어져,
이래저래 많은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멸종위기종 1급에 속해있던 수달은 2027년 때 멸종위기종 2급으로 단계를 낮출 예정이기도 하고.
비슷한 사례로 일본에서도 멸종위기종인 산양을 성공적으로 복원한 끝에, 산양은 더 이상 멸종위기종이 아니게 됐다.
저 베스트에 나오는 이유로 그저 낭만 때문에 복원한 게 아니라,
본디 원래 멸종위기종이었고, 그러니 법 제정이 되었고
멸종위기종 보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그치만 이렇게 먼저 쓰면 베스트 가기 힘든걸요
먼저 돈이나 뜯으려고 한거라구요 라고 한 다음 반박글이 올라와야 일타쌍피라구요
문제점은
복원 까지는 좋은데
이 좁아 터진 땅 덩어리에 민간 피해가 없을껀란 믿음의 문제가
하지만 대다수 유게이들에게 이 글은 관심없다
선동이 이렇게 간단합니다
올
초기엔 잘 안 될 거라고 보고 방심한 것도 있음
인명피해는 커녕 야생에 적응 못할거라 본 거지
실제로 계속 실패를 거듭하다가 어느 시기부터 급격하게 진전을 보였음
대부분 민간피해는 사람이 잘못해서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아..
올
문제점은
복원 까지는 좋은데
이 좁아 터진 땅 덩어리에 민간 피해가 없을껀란 믿음의 문제가
아직까진 거의 없긴 했음. 앞으로가 문제지
ㄹㅇ 무슨 호주도 아니고;;;
대부분 민간피해는 사람이 잘못해서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아..
당장 수달도 피해나온다는데 어쩔수없음
제로섬게임이라
관리를 잘해야는데 관리를 안하는게 문제지.
그래서 그 피해를 어디까지 어떻게 될지 평가하고 분석하는 연구도 당연히 하고 있기야 함.
일본에서는 산양 복원 사업이 너무 성공적이라, 포식자가 없는 바람에 100마리에서 10만 마리까지 증식한 예도 있고...
초기엔 잘 안 될 거라고 보고 방심한 것도 있음
인명피해는 커녕 야생에 적응 못할거라 본 거지
실제로 계속 실패를 거듭하다가 어느 시기부터 급격하게 진전을 보였음
하지만 대다수 유게이들에게 이 글은 관심없다
그치만 이렇게 먼저 쓰면 베스트 가기 힘든걸요
먼저 돈이나 뜯으려고 한거라구요 라고 한 다음 반박글이 올라와야 일타쌍피라구요
선동이 이렇게 간단합니다
다들 맘속에 의문이나 불만이 있을때 누가 주작으로라도 나서면 다들 튀어나오게 돼서
ㅅㅂ 반박한마디라도하면 너도 관계자냐 알바냐고
살인스탭들어오는데 누가 말해 ㅋㅋㅋ
할 수 있으면 하는 게 좋지
수달이는 요새 진짜 는 거 같더라
동네 강가에 있는 조깅 코스에서도 보임...
가끔 걔가 먹방하면 사람들 다 멈추고 구경함 ㅋㅋㅋㅋㅋㅋㅋㅋ
반박글나오면 왠지 소리소문없이 비추쪽이 늘어나더라
역시 입 다물길 잘했어!
근대 인터뷰한 사람이 진행한 사람중 하나라면 완전 날조는 아닌거 아님?
문제는 다른 동물들은 사람을 안찢는다는거임. 곰은 사람을 찢어.
생태복원사업이라고 하는건 좋은데 굳이 맹수까지 복원을 시킬 필요가 있을까싶음
맹수가 없으면 그 밑의 먹이사슬 동물들이 과다하게 번식해서 식물 전멸함
엥간하면 담비나 삵 선에서 커트 가능한 애들이라 굳이 곰까지 할필요는 없었다고 봄.
멸종위기종 이라고 굳이 복원하는 이유를 모르겠는 종들은 좀 있지.
특히 맹수들.
근데 사실 저 공식 입장도 좀 그런게... 곰은 분명 수달이나 산양이랑은 위험도 자체가 다른데...
한경오중에 제일 신뢰도 없는게 오마이잖아
앞에 두갠 그나마 언론틀은 갖추고있는데 뒤에는 기사가 아니라 일기장 투성임 ㅋㅋ
꼴에 언론이라고 출처취급되서 사이버렉카들이
선동하기도 좋은듯 ㅋㅋ
지리산 반달가슴곰은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이지만 현재 복원되고 있는 반달가슴곰은 현지의 반달가슴곰을 복원시킨건 아니라서 천연기념물은 못 됨.
동물들이 멸종 안되었으면 좋겠고
인간에게는 피해 없었으면 좋겠고
두 문제를 같이 해결한다는 것이 어려운 숙제죠
사람을 죽일수있는동물을 풀어놓는게 말이되나 싶다 난
사람들이 동물 사는 곳까지 진출하면서 동물도 사람사는곳까지 오고 그러니까 예전보단 접촉이 더 많아지니까 서로 불편한데... 그래서 그런 선동도 나오는거같음.
호랑이 복원이 안 이뤄지는 이유.
멸종 위기종이 아니라 자연멸종 상황이라.
곰은 찬반 엄청 돌다가 야생 생존개체 확인되고 나서야 복원사업 한거고
여우도 맹수도 아닌데도 복원사업이 추진중단중인 이유가 야생절멸종을 풀어놓는게 맞냐가 가장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