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19세기 미군 기병대
당시 미군은 남부 북부 할 것 없이 콜트나 르맷에서 생산한 리볼버로 무장하고 있었지만
이 시절의 리볼버는 탄피식이 아니어서 장전이 토나올 정도로 답답한데 한 손으로는 말 고삐까지 쥐고있어야 하니 사실상 전투 중에 재장전할 방법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음
그래서 절대다수의 기병대원들은 리볼버를 두 자루씩 차고 다녔고 그것도 안 된다면 아예 세 네 자루씩 차고 다니는 경우도 흔했다고 함
바로 19세기 미군 기병대
당시 미군은 남부 북부 할 것 없이 콜트나 르맷에서 생산한 리볼버로 무장하고 있었지만
이 시절의 리볼버는 탄피식이 아니어서 장전이 토나올 정도로 답답한데 한 손으로는 말 고삐까지 쥐고있어야 하니 사실상 전투 중에 재장전할 방법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음
그래서 절대다수의 기병대원들은 리볼버를 두 자루씩 차고 다녔고 그것도 안 된다면 아예 세 네 자루씩 차고 다니는 경우도 흔했다고 함
옛날엔 연사력,재장전문제를 여러정 들고다니는걸로 해결하는게 흔했으니...
쌍권총은 아니지만 쌍권총이네
옛날엔 연사력,재장전문제를 여러정 들고다니는걸로 해결하는게 흔했으니...
사실 유럽에서 먼저 시작한거고 거슬러가면 1600년대 까지도 거슬러 가는 거지만
다들 총들고 다니는데도 기병도(세이버)가 애용 받았던 것도 한 손으로 쓰기 쉽다는 이유였다던가
중세 해적식 장전법이네
인권을 챙기는 수단
대화를 이어갈 수 있는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