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루리웹산 밈들 번역에 쓴다고 하면 여기서도 기겁할 사람 한 둘이 아니기도 하고
그리고 생각보다 인터넷 밈의 수명은 엄청 짧은 편임. 1년은 커녕 6개월도 안 가서 이게 뭔 소리야 소리 안 들을 거면 장기적으로 보는 라이브서비스 게임에선 밈을 번역이나 대사에 쓰는 건 최대한 피하는 게 나은 선택임
당장 루리웹산 밈들 번역에 쓴다고 하면 여기서도 기겁할 사람 한 둘이 아니기도 하고
그리고 생각보다 인터넷 밈의 수명은 엄청 짧은 편임. 1년은 커녕 6개월도 안 가서 이게 뭔 소리야 소리 안 들을 거면 장기적으로 보는 라이브서비스 게임에선 밈을 번역이나 대사에 쓰는 건 최대한 피하는 게 나은 선택임
당장 이번 데드풀 울버린에서도
킹리적 갓심 이라는 표현 자막에 나온거 겁나 거슬린다고 욕 오질나게 먹었었는디
최신 유행이랍시고 가져왔지만
조금만 지나면 오히려 촌스럽고 철지난 가벼운 물건 취급 당하기 좋음
밈을 쓰는 쪽이 아니라 밈을 만드는 쪽이 되어야지 게임 같은 창작물은
굳이 밈이 허용될 만한 건 원본에서도 밈 쓰는 것뿐이라 생각함
당장 이번 데드풀 울버린에서도
킹리적 갓심 이라는 표현 자막에 나온거 겁나 거슬린다고 욕 오질나게 먹었었는디
밈스러운 말장난을 번역하는지라 이해는가더라
물론 처음들었을때 뭔가 싶긴했지만
굳이 밈이 허용될 만한 건 원본에서도 밈 쓰는 것뿐이라 생각함
최신 유행이랍시고 가져왔지만
조금만 지나면 오히려 촌스럽고 철지난 가벼운 물건 취급 당하기 좋음
밈을 쓰는 쪽이 아니라 밈을 만드는 쪽이 되어야지 게임 같은 창작물은
대충 날 물로 보지마.드래곤볼
드래곤볼 구판 번역들이 그 예시지
캐릭터가 가벼운 캐릭터면 모르겠는데
보통은 인터넷 밈 안쓸거같은 애들이 많은데 쓰면 분위기만 이상해짐
라이브게임뿐만 아니라 만화, 게임, 라노벨등 전반에 걸쳐서 밈이나 유행어는 안 쓰는게 낫다.
드래곤볼 봐라.
역전재판 비공식 한패 지금보면 못알아듣는 밈이 태반
원문도 한국인이 이해 못하는 유행어라 현지화 필요한 거 아닌 이상에야 굳이 쓸 필요 없지.
밈 사용법은 트릭컬처럼
과거에 있던 작품 중 번역으로 밈쓴거 지금와서 보면 겁나 촌스러움.
원문이 북미발 밈이라면 현지화 과정에서 비슷한걸 가져다 쓸수는 있다고 보는데, 솔직히 이거도 어지간하면 지양하는게 좋긴함
비슷한 논리로, 클래식은 살아남았으니 클래식임. 반짝 하고 그만둘 거 아니면, 그런 순간적인 반짝임에 집착해서 좋을 게 하나 없음. 때 지나서 촌스러워질 뿐임.
노래조차 피드 알고리즘 어쩌고 하는거
몇년 지나면 싸이월드 미니홈피마냥 낡게 들릴걸
딱 본문같은 사례로
인터넷 밈으로 도배하다시피하는 게임 번역도 있는데
캐릭터 자체가 2ch(4chan, 5ch아님)밈 엄청 써대서
20년 전 밈을 대체 어디서 어떻게 발굴해와서
번역에 써먹는건지 감탄스러운 부분이 꽤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