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485166

Z9와 CFExpress에 대한 각종 실험을 통한 결론

여러가지 테스트를 통해 스스로 얻어낸 결론을 주욱 적어보았습니다.
기술적 이해도의 부족 또는 정보 부족으로 인해 잘못된 판단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시고 읽어주십시오.
테스트 중 신상이면서 비쌌던 마이크론의 최신 SSD인 2450이 발열로 완전 사망하였습니다.
삼가 고SSD의...
SSDs.png
테스트했던 SSD들입니다. 도시바 BG4 512GB (2230)이 사진에 빠져있습니다.
20220603_043546.png
외장케이스에 PC용 2280사이즈 SSD를 넣어서 CFexpress type A와 B로 쓸 수 있게 해주는 어댑터입니다.
원래 중국내에서 품질이 좋은 카메라용품과 배터리 등을 많이 내놓는 Zitay라는 메이커의 제품이 유일했는데, 최근 어딘가에서 이를 카피하여 비슷한 가격인 14~17만원 정도에 팔기 시작했는데 원가율 감안했을 때 조만간 가격은 붕괴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장케이스 없는 CFE to NVMe타입 어댑터는 3~4만원 정도)
O1CN01014Z842A7V2OO8fSI_!!21138156.jpg_400x400.jpg
소니바디의 경우 SD와 CFExpress의 인증여부를 체크하기 때문에 V30이내의 모드만 지원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Type A to Type B 어댑터를 사용하면 캐논,니콘,소니 모두와 CFE type B리더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삽입부의 클리어런스가 좋아서 빈번하게 삽입,탈착을 하더라도 DIY케이스처럼 접촉불량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IMG_0869.PNG
빌리1에서 공지해놓은 내용입니다.
8K RAW는 Kioxia(도시바) BG4 1TB를 권장한다고 하며, 다른 브랜드들도 같은 내용을 내걸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로 인하여 BG4 1TB를 이베이 등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가끔 보이는 것도 $500~600을 붙여놓고 있습니다.
BG4 512GB에서는 8K30P N-RAW 보통 화질까지는 문제 없이 녹화가 되었고, 모든SSD중 가장 발열도 적었습니다.(60P는 쓰기성능이 못 따라감)
Toshiba_BG3_form_factors.jpg
CFExpress Type B는 2230, A는 1620 사이즈 SSD이며, 1620의 경우 칩내에 컨트롤러까지를 포함하는 원칩설계라서 외부에서의 추가적 커스터마이즈의 여지가 없습니다.
사전 정보
최근의 카메라들은 4K동영상의 일반화로 인해 초당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커서 이미지프로세서의 발열이 극심하며 배터리와 센서, 저장부의 발열도 크게 올라간 상태.
현재 4K촬영시 발열에서 자유로운 이미지프로세서는 파나소닉의 비너스엔진, 니콘의 엑시드7(Z9) 정도이며, 소니의 Bionz XR도 저화소인 A7S3를 제외하면 발열문제를 격고 있음.
--------------------
결론 먼저 쓰자면....
1. CFE는 스냅 연사와 H.265나 ProRes HQ 까지의 저장에 적합하며, Raw파일 저장에는 맞지 않는다.(앞으로 1~2년이후 까지는)
2. 동영상이 메인이면서 CFE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확실한 AS가 보장되는 브랜드와 경로를 선택하자. (DIY의 2~3배 가격도 감내할만 하다)
3. 비용과 RAW 동영상 양립에는 외장형 어댑터가 필수이다. (소니 제외)
이유
3.CFE에는 보통 우리가 PC에서 사용하는 SSD의 디램리스 버전이 사용됨.
4.SSD는 PC제조자 또는 사용자가 추가적 방열 대책을 한다는 전제로 성능 위주 세팅으로 출하.
5.일반 SSD로 DIY시 동영상저장시 발열통제가 안 되어 파손 위험성 높음.
6.기성품 CFExpress 카드의 경우 큰브랜드들은 발열 기준을 높인(강화한) 펌웨어를 넣어서 판매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성능하락이 발생하여 8KRAW와 같은 높은 초당전송율을 유지하기 어려움.
반복적 테스트 결과
7.DIY CFE에서 장시간 반복기록시에도 발열 문제가 없는 안정적 라인은 초당 400Mbps(=50MB)정도이며, H.265 4K120P (=8K30P) 가 그 한계선 (V60~V90급 SD메모리 대비 매리트는 없다)
8.마이크론의 최신 SSD (PCIE4.0x4)인 2450이 8K60P N-RAW Normal까지 녹화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10분 전후에서 손을 못 댈 정도로 뜨거워지면서 드로틀링으로 녹화가 멈추었고, 4~5회 반복 테스트하다가 사망.
9.Kioxia(도시바) BG4 512GB는 8K30P N-RAW Normal녹화가 되며 발열도 가장 적었음.
RAW촬영 및 편집시의 현실적 문제들
10. 1TB당 8K60P High 19분 녹화 -> 복사부터 편집, 백업까지 시스템 사양과 시간적 오버헤드가 너무 큼.
20220602_052735.png
11. Z9의 가장 빛나는 결과물은 8.3K오버샘플링ON 상태의 4K60P로, H.265로 저장시 대다수의 DIY CFE에서 문제 없이 반복 녹화가 가능
외장SSD 어댑터 이용시 결과
크루셜 P5plus 1TB: 8K60P N-RAW High에서 복잡한 컬러와 화면으로 전송량 상승하여 녹화중단되는 현상이 한 번 있었음.
삼성 980 PRO 1TB: 모든 모드에서 아무 문제 없이 녹화되나, 실내온도 높아서 드로틀링으로 녹화중단 현상 한 번 있었음.
SX8200, 950 PRO, SN 530 (2280)은 쓰기속도 부족하여 녹화 중단됨.
* 여름철 8K60P N-RAW HIGH의 완벽한 기록을 위해서는 980 PRO + 외장어댑터 + 소형팬 또는 가끔씩 부채질해줘야 겨우 클리어됩니다.
* Prograde digital에 8K60P N-RAW HIGH의 장시간 녹화까지도 완벽 커버가 되는지 문의하였으나 답변이 없습니다.;;;

댓글
  • ㄱ하니 2022/06/03 07:51

    전 잘모르지만 여러가지 테스트결과의 노고에 추천합니돠~

    (QL4HMa)

  • [내나여]쑹쑹쑹쑹 2022/06/03 08:12

    좋은 정보 감샤합니다ㄷㄷㄷㄷ

    (QL4HMa)

  • 뚝배기브레이커 2022/06/03 10:03

    CFE 카드인 상태로 TRIM이나 GC가 되나요? 신텍 구형이라 분해가 안돼서 궁금합니다

    (QL4HMa)

  • [Z6]나는윈드 2022/06/03 10:13

    이젠 cfe a 까지...나오는군요..ㅋㅋ

    (QL4HMa)

(QL4H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