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밑에 보니 금조차도 정부에서 보증해줘야
거래수단이 된다고까지 주장하는 글이 있던데
아무리 그래도 그건 무리수임.
금은 현 시점에서도 정부 화폐가 신통치 않은 경우 충분히 화폐로서 기능함.
당연히 품질 보증이나 그런 거 없는 지금(조각금) 상태로 이용가능하다는 뜻.
유게이들은 아무래도 '한국이라는 선진국'에 살다보니까
정부가 보증하는 화폐나, 정부가 통제하는 시장경제 질서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있어서 그런 얘기들을 하겠지만
한국은 엄연히 200개 국가 중 상위 10위에 들어가는 선진 강대국인지라
믿고 원화를 사용하고, 원화 현금도 안심하고 은행에 예금해 두지만
한국 밑으로 90% 국가들의 화폐들은 한국 원화보다 더 취약하고,
언제 휴지조각될지 몰라서 은행 예금하기도 겁나는 나라가 많음.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했다고 비웃는 엘살바도르만해도
자국 화폐 망해서 포기하고 20년간 달러 빌려다 쓰던 나란데
비트코인 시도해보는 거 전혀 이상하지 않음.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기타 등등
높은 인플레이션과 디폴트를 달고 사는 나라들이면
더더욱 그렇고.
정부가 뭘 보증해주는데?
정부가 보증해주는게 없으니까 '조각 금'으로 물건을 유통하지.
저런 사금조각이야 증량용 잡금속을 섞는게 오히려 더 돈이 드니까 그냥 쓰는거지 kg급 금괴 대량 제조일 경우는 순도에 따라 긴빠이 칠 수 있는 금의 양이 차원이 다르니까 순도를 국가에서 보증하는 게 당연한거고.
이거는 결국 '신뢰'가 금의 가치를 보증해 준다는 의미에서
정부가 보증해 준다는 말의 의미랑 크게 다르진 않지
이거는 결국 '신뢰'가 금의 가치를 보증해 준다는 의미에서
정부가 보증해 준다는 말의 의미랑 크게 다르진 않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회라면 정부에서 '신뢰'를 줘야 하지만
저기는 사람들끼리 '그래도 믿을 수 있지'라는 식으로 형성된거라
정부가 뭘 보증해주는데?
정부가 보증해주는게 없으니까 '조각 금'으로 물건을 유통하지.
정부가 보증해 준다는 게시글의 의미도 결국 '믿음'이 있어야 금도 가치가 있다고 한거니까
금마저도 사람들이 못 믿게 되면 가치가 없긴 하지
저런 경우는 좀 특수한 상황으로 봐야지
한 나라의 정부가 보증해주는것과
전 세계에서 보증해주는 것의 차이
'특수한 상황'이라는 게 한국 기준의 얘기라는 것임.
'금'이 그 나라 화폐보다 더 신뢰성 있는 나라는 굉장히 많음. 후진국들 거의 다 그렇지.
저런 사금조각이야 증량용 잡금속을 섞는게 오히려 더 돈이 드니까 그냥 쓰는거지 kg급 금괴 대량 제조일 경우는 순도에 따라 긴빠이 칠 수 있는 금의 양이 차원이 다르니까 순도를 국가에서 보증하는 게 당연한거고.
이상하게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부와 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너무 굳건함
그게 나쁘다는건 아니지만 역사적으로 국가와 정부의 평균 수명이 그리 길지 않다는것을 너무 망각하는것 같음
금본위제 뚜둥
금의 함량을 보증한다는거 아님?
태국에서 원화가 통할때 받았던 충격이란 지금도 헤아릴 수 없다
수상시장인가 갔는데 거기 아저씨가 유창한 한국말로 아저씨 원화도 돼요 천원 이럴때의 오묘함
근데 저러면 황동같은거 쓰지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