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간 소금에 절인 붕어를
잘 세척해서
1~2일정도
냄새를 없애기위해
야외에다 건조 시킴
이후 갓지은 밥을 준비해서
밥을 잘 쑤셔 넣어줌
고슬고슬한 밥은 발효를 위한것
헤이안 시대 (794~1185/1192 )
붕어에 밥을 잘 쑤셔넣은뒤
밥과함께 1년간 잘 발효시키면..
이렇게 됨
잘 숙성된 후나스시는
밥은 덜어내고
잘썰어서
한입먹으면!
(밥을 먹이삼아 다양한 미생물을 만들어내서 시큼한 향기가 나는데 그때문에
후나스시는 지옥같은 향기에 천국같은 맛을 지녔다고도 함)
--
검색해보면
맛있다는 사람도 있고
입에 넣자말자
냄새때문에 못먹겠다는 사람도 있고 ㅇ
열도의 홍어네
저음식은 각 지방마다 내려오는 음식인듯
우리나라도 그렇듯
진짜 불호 확 갈리겠네
수트르뢰밍같은건가
평생 홍어, 수르스트뢰밍, 취두부 등 냄새나는 음식만 먹고 살기 (50억원 줌)
vs
그냥 살기
뭐 고르냐?
전통음식은 대개 삭힌게 하나씩은 있네
저음식은 각 지방마다 내려오는 음식인듯
우리나라도 그렇듯
진짜 불호 확 갈리겠네
수르수트뢰밍하고 비슷한 계열인가
난 그냥 연어초밥이랑 광어초밥으로 만족해
수트르뢰밍같은건가
열도의 홍어네
후나즈시 같아
전통음식은 대개 삭힌게 하나씩은 있네
대표적인 보존방식 중 하나니까
이제 냉장고 덕분에 음식을 보존하기 위해 발효할 필요는 없지만 발효 과정에서 특유의 향과 맛이 나오니까
물론 심한 것들은 발효된 게 아니라 썩은 게 아닐까 싶을 정도이긴 하지만 이것도 맛들린 사람들이 찾아서 명맥을 유지하는 것 같음
두리안같은 존재인가
삭힌 홍어랑 비슷한건가
우리나라에선 저걸 식혜라고 부르기로 합의했지?
식해
어느나라나 생선 발효시킨건 냄새가 끝장나는구나
일단 과정만 봐도 겁나 번거롭구먼
평생 홍어, 수르스트뢰밍, 취두부 등 냄새나는 음식만 먹고 살기 (50억원 줌)
vs
그냥 살기
뭐 고르냐?
홍어같은거 좋아해도 평생은 애바아니냐
저거 비린내 개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