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F100-400mm F5.6-8 IS USM 렌즈는 화각별로 조리개 F5.6에서 F8까지 변하는 가변 조리개 렌즈입니다.
가변조리개 렌즈에 있어 화각별 최소 조리개 수치는 매우 중요한데 얼마만큼 조리개 5.6을 버텨 주느냐가 매우 궁금 하실 겁니다. 일단 렌즈 스팩 부터 보시겠습니다.

전반적인 RF100-400mm F5.6-8 IS USM 렌즈의 스팩에 대해 한번 보시면 다들 이해 하실테구요 다만 위에 언급한 화각별 조리개 수치에 대한 데이터는 나와 있질 않네요. 그래서 직접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일단 100mm 와 400mm의 최대 광각, 최대 망원 화각 차이 부터 보시겠습니다.
먼저 100mm 입니다. 경주 가면 흔하게 보는 안내 표지판입니다. 뭐라 써 있을까요?

고분이다 보니 올라가지 말라는 얘기군요. 400mm로 보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엔 불국사에서 만난 잉어입니다. 100mm로 보면 저멀리 잉어 한마리가 보이네요.

400mm로 땡겨 보니 열심히 밥먹고 있는 모습을 확인 가능합니다.
생태 사진은 최소한 400mm는 되야 뭐가 좀 보이는 구나 하는데 이런 면에서 RF100-400mm F5.6-8 IS USM렌즈의 화각의 400mm는 매우 중요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화각별 조리개 수치 변화를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이번엔 두물머리로 가볼게요.

두물머리에서 RF100-400mm F5.6-8 IS USM 100mm 결과물입니다. 이때 조리개 수치는 F5.6입니다.

계속 5.6을 유지하다가 113mm에서 6.3으로 변합니다. 즉 100~113mm는 5.6

156mm에서 조리개 7.1로 변화됩니다. 113~156mm 는 조리개 6.3

259mm에서 드디어 조리개 8.0을 찍습니다. 156~259mm는 조리개 7.1

사진은 300mm 결과물이고 259~400mm 구간은 조리개 8.0

400mm 조리개 8.0

이제 이런 수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눈에 보기 편하시죠? 이 표만 체크하고 계시면 RF100-400mm F5.6-8 IS USM 의 가변 조리개 수치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실수 있을 겁니다.

화각별로 결과물을 연결해 보았습니다. 그럼 두물머리 스냅샷 몇장 보시고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 보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을 통해 RF100-400mm F5.6-8 IS USM렌즈 대여와 원고료를 지원 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넵 항상 응원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딱 궁금했던 부분이였는데 감사합니다.
넹 가변조리개 렌즈다 보니 구간별 조리개 수치 자료가 있어야 할거 같아서요.
100-400 구입에 도움이 되네요. 공홈 접속중!!!
넹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