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런 영화의 평이 높다니 평론가들은 모두 쓰레기들인거 같아.
선민의식이나 가진 녀석들 같으니.
아무래도 로튼토마토 점수보다는 그 옆에 있는 팝콘 지수를 믿어야겠어.
관객들은 자신들의 기분에 솔직하니까 팝콘 지수가 안 엎어지면 볼만하다는 의미겠지."
"맙소사 보다가 눈을 뽑아버리고 싶었던 개망작들도 팝콘이 안 엎어진게 많잖아?
생각해보니 모든 관객들이 자신에게 정직하진 않지.
특히 팬들은 자신이 원하던 캐릭터가 실사영화화한다는 것 자체만으로 의의를 두는 경우가 많으니까.
그러면 돈을 많이 번 작품을 찾아보는게 안전할까?
결국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을 얼마냐 벌었느냐가 정답이잖아?"
"아니 시발 트랜스포머 사라진 내돈이 2014년 최고의 흥행작이라고?
사람들은 이 속 빈 영화가 4번째가 나올때까지 보러갔단 말이야?
난 돈 내고 영화 보러 가면서 실망하고 싶지 않은데
결국 내가 믿어야하는건 뭐지?"
"그래! 갓영화의 기준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나에게 달린거야!
그건 일반 관객들도, 평론가들도 마찬가지였고.
그들은 자기가 좋게 본 영화를 좋게 평가한거 뿐이고 당연히 그 두 의견이 갈라질 때도 있는거지.
생각해본 애초에 로튼이니 뭐니하는 인터넷의 평론 사이트도 결국 의견의 집합에 불과하잖아.
저 점수들도 결국에는 진짜 점수가 아니라 호불호의 평균 수치에 불과한거야!
그런데도 사람들은 로튼 못 믿는다면서 자기들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영화를 빨고 깔때마다 가져오지!
그러니까 나는 이제부터 나만의 기준으로 명작을 평가하겠어!
내가 재밌게 봤으면 재밌는거지!
그리고 그건 남들도 마찬가지니까 다른 사람한테 왈가왈부하지 않을거야."
"아주 훌륭한 자아성찰 잘 들었습니다 한 게시글 안에서 급격하게 노화하신 어르신 분.
저도 당신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도 세상의 기준이 아니라 저만의 명작 기준이 있답니다!
제 생각에는 다크피닉스가 엔드게임보다 명작인거 같아요!"
그냥 내가 볼때 재미있으면 장땡임
이제부터 서로죽여라...
맞습니다 어르신
저는 겜돌이인데 라오어1편은 별로 명작이 아니죠 진정학 명작은 라오어2라고 생각합니다
다크피닉스와 라제가 갓작이라할때 까지 작성자 묶어놓고 보여주고싶다
이제부터 서로죽여라...
그냥 내가 볼때 재미있으면 장땡임
보기전에 보러갈지 말지 참고로 삼으려는건데 그게 어렵다는거지.
맞습니다 어르신
저는 겜돌이인데 라오어1편은 별로 명작이 아니죠 진정학 명작은 라오어2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어그로일 뿐이잖아
이 개부랄털같은친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