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점적 관수'라는 농법인데, 파이프나 호스에서 한 방울씩 한 방울씩 일정하게 물방울을 떨어뜨리며 농사를 짓는 농법임.
농사에 대해서 어느정도 이상은 사람들이라면, 한국에서도 저런 식의 농법을 도입해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도 알 거고.
이스라엘은 심각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서 농사를 지을 때도 물 사용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 때문에 이스라엘이 도입한
농법이 바로 점적 관수였음. 이스라엘은 저런 식으로 물방을을 조금씩 조금씩 떨어뜨려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다는 걸 알게된 거임.
말 그대로 극한의 효율을 추구하는 농법이라고 할 수 있지. 이스라엘은 해수 담수화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겨울에 비가 집중적으로
많이 내리는 우기 때 집집마다 빗물을 최대한 저장해서 생활 용수로도 쓰는 것이 생활화 되어있기 때문에 도입된 농법이라고 할 수 있음.
한국은 물부족 아님
물빨아먹는 괴물이라는 아보카도 같은거엔 못쓰겠군
한국 물부족 국가 프레임은
한참 민영화때
효율성 핑계대면서 민영화 하려는게 아니였냐는 의혹이있음
한국도 물부족인대 농사잘만하는데 뭘
한국은 물부족 아님
한국 물부족 국가 프레임은
한참 민영화때
효율성 핑계대면서 민영화 하려는게 아니였냐는 의혹이있음
수속성 부족국가
아니 한국은 물을 숭배하는 국가야
물빨아먹는 괴물이라는 아보카도 같은거엔 못쓰겠군
그러니까 파이프로 농작물에다 물을 한 방울씩만 떨궈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