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142149

1960년대, 미공군이 만든 77톤의 유인 거대로봇 "비틀"


c0066396_49c226b392a20.jpg

 

 

1950~60년대. 원자력은 현실로 이루어진 꿈의 에너지 기술이었고

냉전시대 초기 돈놀이에 맛들린 미군은 소련을 직접 타격하기 위한

"핵추진 항공기" 를 개발하려 했다.

 

 

 

609d4e04070a690018af5133.jpg

 

하지만 핵추진 항공기에는 큰 단점이 있었으니

 

1. 장거리 폭격기는 커야 한다

2. 큰 폭격기에는 큰 원자로가 들어가야 한다.

3. 큰 원자로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려면 더 두꺼운 차폐가 필요하다.

4. 더 두꺼운 차폐는 무겁고 크다.

5. 더 무거운 폭격기를 위해서는 더 큰 원자로가...

 

 

unnamed.jpg

 

이런 이유로 핵추진 항공기는 개발이 점점 늦어지고 있었으나

지상에서는 다른 개발이 차근차근 이루어지고 있었다.

 

 

38020_56030_1617.jpg

 

원자력이 꿈의 에너지라는 것과 별개로

방사능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던 시대.

 

"핵추진 항공기가 하늘에서 큰일이 나는건 어쩔 수 없다지만

항공기의 정비나 수리를 할 때, 아니면 지상에서 방사능이 유출되면?"

 

 

 

 

미공군.png

 

로봇을 만들어서 혹시나 하는 사태를 대비하면 되잖아?

 

그런데 핵추진 항공기는 쥰네 크고 방사능도 쥰네 클텐데요?

 

그럼 로봇도 쥰네 크게 만들면 되잖아

 

 

8g6unr3jqk111.jpg

 

그렇게 만든게 핵추진 항공기 정비용 로봇.

일명 "비틀" 이었다.

 

미공군과 미국 GE가 3년의 시간동안

현재가치로 170억원을 들여 만든 77톤의

유인탑승형 거대로봇

 

 

Cockpit-beetle.jpg

 

파일럿을 보호하기 위한 70cm 두께의 강철과 특수강화유리 차벽을 가진 조종석에는

작은 TV와 에어컨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비틀이 정식으로 공개되고 미국에서는

비틀은 "국가적 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능 로봇이며

유출된 방사능을 제거하고 유출사고의 피해자를 구할 수 있는 존재" 라고 홍보했다.

 

 

origin.jpg

 

 

하지만 정작 비틀의 공개시연 4일간

비틀은 크고 작은 12번의 고장을 일으켰고

 

그 말은 즉,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넘쳐난다는 뜻이었다.

 

 

 

message-editor_1508442011182-aoudua526.jpg

 

 

하지만 비틀은 대량생산도, 그리고 개량도 받지 못했다.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핵추진 항공기의 개발을 중단한 것이 원인이었다.

 

"비틀은 어디에 쓰나요?"

"비틀은 핵추진 항공기의 유지보수에 사용합니다."

"하지만 핵추진 항공기는 만들어지지 않는데요?"

"아! 그렇다면 비틀은 아무것도 아니군요."

 

 

1__1ngxmyWoV2CIk_Ac1mL6A.jpeg

 

결국 비틀과 미국의 핵추진 항공기의 연구는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폐기처분 되었다.

 

 

1516124460833.jpg

mkrzysztofowicz-20150306-100758-.jpg

 

하지만 비틀의 희생인 헛되지 않았다.

비틀의 로봇팔은 추후 원격수중조작기에 발명으로 이어지면서

미해군의 유인해저잠수정 DSV 앨빈으로 이어졌다.

 

DSV 앨빈의 가장 큰 업적은 바로 타이타닉호의 탐색과

그 사진의 촬영이었다.

 

 

댓글
  • 공기 청정기 2021/09/06 13:08

    보면 뭐든 연구하면 목표달성 못해도 연구 결과는 이리저리 써먹더라고...

  • 토나우도 2021/09/06 13:09

    그러면 우리나라가 K11 실패한건
    나중에 어디다 써먹을수는 있겠네?

  • Timber Wolf 2021/09/06 13:09

    관공..... 어찌하여 팔만 돌아오셨소........

  • 공기 청정기 2021/09/06 13:13

    ㅇㅇ 미국도 복합소총 개발하다 결국 그거 각개해서 써먹는데 우리도 그런식으로 할것같음. 애초에 예산 배정하는사람들도 바보는아니라 연구 할때보면 목표달성못해도 연구자체로 뭐를 얻을수있나보고 허가해주더라


  • 공기 청정기
    2021/09/06 13:08

    보면 뭐든 연구하면 목표달성 못해도 연구 결과는 이리저리 써먹더라고...

    (fECpFa)


  • 토나우도
    2021/09/06 13:09

    그러면 우리나라가 K11 실패한건
    나중에 어디다 써먹을수는 있겠네?

    (fECpFa)


  • 공기 청정기
    2021/09/06 13:13

    ㅇㅇ 미국도 복합소총 개발하다 결국 그거 각개해서 써먹는데 우리도 그런식으로 할것같음. 애초에 예산 배정하는사람들도 바보는아니라 연구 할때보면 목표달성못해도 연구자체로 뭐를 얻을수있나보고 허가해주더라

    (fECpFa)


  • Timber Wolf
    2021/09/06 13:09

    관공..... 어찌하여 팔만 돌아오셨소........

    (fECpFa)


  • ㄹㄹㅇㄹㄹ
    2021/09/06 13:15

    1950년대에 로붓.. 대체 시대를 얼마나 앞서 나가있었던거냐 오히려 지금시점에 안드로이드가 안나온게 신기할정도네 ㄷㄷ

    (fECpFa)


  • 루리웹-8172138311
    2021/09/06 13:18

    (fECpFa)


  • 유과
    2021/09/06 13:17

    오타가 너무 많은데

    (fECpFa)

(fECp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