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물체를 볼 때 물체에서 나오는 빛을
눈(렌즈)를 통해 초점을 맞추게 됨
그런데 이걸 단순히 초점으로만 보면 안되고
인식할 수 있는 빛의 삼원색으로 나누면 파란색만 초점이 동떨어져 있음
광학 렌즈계에서는 이러한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인간의 눈은 이런게 불가능함
그래서 인간의 눈은 진화할 때 빨간색과 녹색에 초점을 맞추고
파란색을 흐릿하게 보는 것으로 타협함
실제로 나사의 지구 사진에
"녹색" 만 흐리게 바꾸면 사진의 전체가 흐려짐
그런데 "청색" 은 흐리게 해도 사진이 안흐려진 것 처럼 보임
인간은 파란색을 기본적으로 흐린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파란색을 어느정도 흐리게 해봐야 그걸 인식하지 못하는 것
루리웹의 미래가 흐릿한 과학적인 근거
그래서 블루리웹하면 정신이 헤까닥하는구나
파란하늘이 디폴트다 보니 디폴트가 흐려져도 원래 그런가 생각하는건가?
빛의 삼원색중에 퍼런색은 좀 유독 자연에 넓게넓게 있는편이니까..
왠지 도로로가 존재감 흐릿하더라
산기하네
신기
우와
뭔데 유익해
루리웹의 미래가 흐릿한 과학적인 근거
블루니플...
파란하늘이 디폴트다 보니 디폴트가 흐려져도 원래 그런가 생각하는건가?
굴절율이 다른건 그냥 물리적 특성이고
인간의 눈이 초록색에 민감한건 (초록색을 인식하는 세포가 제일 많고, 그 다음이 빨강) 아마 잎사귀가 주식이던 진화의 결과
왠지 도로로가 존재감 흐릿하더라
그래서 블루리웹하면 정신이 헤까닥하는구나
블루니플 만화가 헤까닥한 이유가 설마...?
뭐야 내 정신 돌려줘요
그래서 내가 류리웹만 하면
정상이아니규나
ㅄ 눈깔
대신에
성능이
개쩌는
두뇌를
드립니
다.
빛의 삼원색중에 퍼런색은 좀 유독 자연에 넓게넓게 있는편이니까..
지식이 늘었다
파란색 색소도 파란빛을 띄는게 거의 없어서 자연에서 구하기 힘들었다던데 파란색쪽 파장같은게 뭔가 있나봄?
리겜 노트 색깔 바꿔야되나...
이거 신기하게도 자동차 컬러에도 그래서 통계자료가 있음.
가장 사고가 많이 나는 차량 컬러 = 파란색
포터가 그래서
저런것도 포함해서 사람 눈깔이 오지게 비효율적이라고 하는구나
오......신기하다
글고보니 맛폰에 다 있는 블루라이트 필터도 이것 때문에 있는건가?
안경쓰면 다 잘 보이는데 청색광 계열만 번지고 잘 안보이고 그럼
아...그래서..
근데 사실 색수차는 원래 ㅈㄴ 보정하기 힘듬
흐릿한 눈의 백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