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039548

이미지 센서 발전 방향?

제가 문과라 엉뚱한 발상일수도 있습니다만,
이미지 센서가 빛의 세기를 기록해서 영상으로 바꿔주는 역활을 하는걸로 압니다.
시대는 발전했는데, 노출 방식은 여전히 셔속, 조리개, ISO에 의존하는데요.
HDR같은 방식이 아닌, 각 픽셀당 빛의 양을 판단해서 피사체 가장 어두운 부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노출을 맞추고, 예를들어 맑은 하늘 부분의 픽셀들만 강제로 일찍 전기 신호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노출을 감소 시키는 기술은 꿈이라고 봐도 되나요?
예를들어,
맑은 하늘 역광을 배경으로 인물에 1/250 셔속으로 노출을 맞추면, 인물은 사용자가 설정한 셔속인 1/250초가 적용이 되지만 하늘은 카메라가 판단해서 해당 픽셀들은 1/1000 셔속에서 신호를 끈다던가식으로 RAW 데이터 자체를 저장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문송합니다.

댓글
  • 세르개이 2021/06/24 18:06

    나쁘지 않은 발상인데요.
    센서가 빛의 밝기에 따라 받아 전압으로 바뀌는 구조인데 일정 전압 이상이 들어오면 해당 픽셀의 전하를 막았다고 칩시다
    그럼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동일하게 아주 약간 덜 하얘지는 효과 외엔 기대하기 힘들듯 하네요.
    글쓴이가 원하는 결과를 기대하려면 일정 영역을 나누어 동일한 만큼만 노출을 줄여야 하는데,
    그 기준을 카메라가 맘대로 잡을 수 없으니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입니다.

    (IinuBR)

  • 아히둡™ 2021/06/24 18:11

    뭐 언제가는 가능할 듯 한데... 이미지센서 값이 엄청 비쌀 듯요..

    (IinuBR)

  • ssilva 2021/06/24 18:43

    프로세싱 연산이 ㅎ ㄷ ㄷ 해야 할거 같은데요

    (IinuBR)

  • M-hexa 2021/06/24 19:06

    글로벌 셔터에서는 될 것 같기도 한데
    픽셀마다 측광장치를 달면 수광능력과 화질이 훅 떨어지지 않을까요. 처리속도가 더 문제고..
    DR 향상이나 hdr이 더 저렴하지 않을까요.

    (IinuBR)

  • ★하은이아빠☆ 2021/06/24 19:23

    그게 안되니까 HDR처럼 여러장 찍어서 영역별로 합성해주는 기술이 있는거 아닐까요? 스마트폰처럼 작은 센서가 달린 기기들은 거의 실시간으로 연사시켜서 합성해주는데, 큰 센서 달린 카메라들은 아직 삼각대에 고정하지 않는 이상 한계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인물사진만 찍는 저로서는 바디에 있는 HDR 기능을 써먹을 기회조차 없는. ㅜㅜ

    (IinuBR)

  • ★하은이아빠☆ 2021/06/24 19:27

    니콘 바디에서는 액티브 디라이팅 기능이 노출차를 줄여주긴 하던데, 이 기능이 좀더 발전하면 말끔하시는 영역별 노출 보정이 실시간으로 딱 되는 기능이 들어갈지도 모르겠네요.^^

    (IinuBR)

  • D1X/로맨티스트 2021/06/24 19:57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는 듯...
    뭔가 조금씩 부족할 때가 오히려 더 재미있어요~

    (IinuBR)

  • gsxr1300r 2021/06/24 22:12

    머지 않아 말씀하신 기능이 나오지 싶습니다.
    아래와 같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보면 비싸긴 해도 우리 생애엔 만들어지지 싶습니다.
    제일 먼저 해결돼야 하는 기능은
    센서에서 각 픽셀들을 읽는 방식이 지금의 픽셀들에 대한 순차적인 읽기 방식에서 모든 픽셀들을 각각 따로따로 읽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래야 각 픽셀들에 저장되는 빛들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서 말씀하신 기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카메라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들는데 드는 비용이 저렴해질 때까지 기다리면 될 것 같습니다.
    이후엔 인공 지능을 이용해서 각 픽셀들이 받아들일 빛들의 양을 정확하게 정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것 또한 카메라에 들어갈 정도로 성능 좋은 프로세서가 만들어지면 해결되지 싶습니다.

    (IinuBR)

  • ★하은이아빠☆ 2021/06/24 23:31

    글로벌 셔터에서 더 발전하면 되겠네요.^^
    저는 캠코더에 들어가는 내장형 ND필터가 사진용 카메라에도 들어가면 좋겠다는 생각인데, 말씀을 읽고나니 글로벌 셔터가 발전하면 픽셀들이 각자 알아서 빛의 양을 조절해주면 그자체가 ND기능을 하는거니까 영역별 노출 보정 기능도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ND기능을 할수도 있게 하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IinuBR)

(Iinu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