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GDP 증가 그래프. 1970년에 미국의 GDP가 1조 달러를 돌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이것이 미국 정부가 NASA에 투입했던 예산. 인류가 달에 다녀온 1969년에 NASA에 배정된 국가 예산이 최고점을 찍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일단 1969년 저 시절에 왜 사람이 달에 다녀올 수 있었냐면 미국은 같은 라이벌이자 초강대국이었던 소련과의 체제 경쟁이 한창이었기 떄문임.
즉, 냉전이 한창 진행 중이어서 라이벌인 소련과의 체제 경쟁에서 이기는데 혈안이 되어있었던 게 당시의 미국 정부였던지라 가능했던 거지.
게다가 저 시절에는 국가 예산의 3~5%에 달하는 예산을 말 그대로 NASA에 쏟아부었던 시기인데, 말이 3~5%이지 국가 예산으로 따지자면
결코 적은 액수의 예산이 아니었음. 한 마디로 미쳤던 것이고 소련과의 체제 경쟁에서 이길 수만 있다면 왠만하면 용인되던 시절이라 가능했던 거지.
역설적으로 보자면, 달에 다녀온 이후로 미국 정부는 우주 개발 계획에 더 이상 매력을 느끼지 못했음. 쉽게 말해서 현자 타임이 오게된 것인데
이것은 화성으로 갈 수 있는 우주 개발 연구가 더 이상 진척되지 못하게 됐음을 의미함. 그래서 지금까지도 화성에 인류를 못 보내는 것이지.
만약에 1969년이 지나 1990년대까지도 미국과 소련과의 우주 개발 경쟁 과열이 계속되었다면 이 때 사람을 화성에 보냈을 수도 있었을 것이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미국 국민들 사이에서도 NASA에 국가 예산 쏟아붓는 게 돈 낭비라는 인식도 엄청나게 퍼지기 시작한 것도 크게 한 몫 했고.
즉 소련이 부활하면 인류는 화성에 갈 것이오!
굳이 끝도 없는 우주 개발하느니 쉽게(?) 손닿는 지구상을 노리는게 맞지
먹고 살기도 힘든데 현시점에선 가봐야 의미말곤 별 거도 없으니 뭐
화성 갈끄니까~
우주개발부터가 냉전의 유산이긴하지
먹고 살기도 힘든데 현시점에선 가봐야 의미말곤 별 거도 없으니 뭐
우주개발부터가 냉전의 유산이긴하지
중국이 화성을 노린다면 이제 미국에서 화성로켓 만드는걸 볼수 있다는거네.
즉 소련이 부활하면 인류는 화성에 갈 것이오!
창작은 고통의 연속! 즉 계속되는 고통은 창작을 낳지!
굳이 끝도 없는 우주 개발하느니 쉽게(?) 손닿는 지구상을 노리는게 맞지
화성 갈끄니까~
솔직히 지금으로선 허공에 돈부어대는격인대, 기술이 비약적으로 진보된 이후에나 좀 할만하지 지금당장은 뭐...
화성에 다이아산맥이라도 묻혀있으면 경쟁붙을거같은데
금이면 몰라도 다이아면 안가지
다이아 아주 흔한 광물이고 관상빼고 쓸데도 없는걸
화성에 가는 방법. 최강의 정력제가 화성에 있다고 하면 대 화성시대가 열리다
그래도 우주 개발 자체가 무의미한건 아니였음 부산물도 많이 나왔으니
기껏 달까지 갔더니 빨갱이들은 우주정거장이나 띄우고
궤도권 장악으로 목표가 바뀌게 되었다...?
우주개발이라는게 ㄹㅇ 100년 200년 뒤를 보고 해야되는 사업인데 당장 지금 세금내고 있는 국민들이 달가워할리는 없지 ㅋㅋㅋㅋ
화성에는 솔직히 새로운 터전 정도의 가치뿐임
제일 살만한 행성인건데 굳이 저거 빼면 개발할 이유가 그닥.....
중국아 힘내!
니들이 미국 자극해야해!
그렇기도 하지만 달에 유인 보내는 거하고 화성에 유인 보내는 거하고는
난이도 차가 좀 많이 난다고도 하더라
물론 기술의 발전만큼 필요 예산도 껑충뛰긴 했지만
NASA가 판매한 원천 기술이 들어간 장비가 한국의 콩국수 집에서 발견되는 것도 저렇게 예산이 깎여버린 탓.
그리고 NASA가 뭔가 자기네들이 조금이라도 엮일 만한 일엔 안 불러도 찾아가는 관종이 된 것도 어떻게든 NASA 홍보를 해서 1달러라도 예산을 더 타 내려는 노력의 일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