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으로 읽은게 대략 10년전이라 내 기억으로는 주식임
근데 안전빵으로 한다고 여러곳에 분산투자한게 기억난다
huytco2021/05/13 21:34
그건 펀드 유행할때 후속작으로 나왔던거 아닐까
Mystica2021/05/13 21:35
ㄴㄴ
저거 투자 시작을 용돈 모아서 펀드에 넣는 걸로 함.
강남보스2021/05/13 21:33
미국장은 정답아지... 12살 용돈으로 코카콜라만 꾸준히 사도 배당이 얼마냐..
TG볼프강라이브러리언2021/05/13 21:33
그래도 다른 권장 도서에 비하면 저 책 정도면 괜찮은 책 같은데. 난 어릴 때부터 문학은 고전 취향이라 그런지 권장 도서에 그냥 고전으로 절반은 채워도 될 것 같은데 의외로 별로 없더라. 개인적인 생각으로 기본 이상의 문화 교양이나 역사 상식 정돈 고전 정독으로 채울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야. 장미의 이름(근데 이건 너무 어렵다...) 한 번 읽으면 기독교나 르네상스 시대 관련해서 빠삭해지는 거처럼
익명-zcxMjA52021/05/13 21:34
초딩때 도서관에 저거랑 비슷하게 가다 선물거래 사기당하고 돈 날려먹는 소설도 있더라
가짜인생2021/05/13 21:34
읽어보면 그냥 어린이들에게 경제관념이나 경제지식 조금 가르쳐주는게 끝인데 학부모나 사람들 인식에는 마치 어릴때부터 부자가 되어가는 씨크릿마냥 관념이 박혀있었음 나도 초딩때 저거 읽었는데 어린 나이에도 읽으면서 근대 이게 부자가 되는거랑 대체 몬상관이지????하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음
시공사태2021/05/13 21:35
사실 저기 나온 방법들이 죄다 아메리카식이라 한국에서 그대로 따라하기에는 무리가 조금 있음
평소에 아껴쓴다 합리적 소비 뭐 이런거 빼고
부동산을 사기엔 돈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스물네살에 악기가 된 키라
안정적인 개미 공급을 위한 기관들의 프로파간다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
가정폭력 아동학대 열차사고 등등으로 구성된 이 책도 추가 좀
데스노트로 한탕 했네
예비 주갤럼이었구만 기래
데스노트로 한탕 했네
안정적인 개미 공급을 위한 기관들의 프로파간다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
부동산을 사기엔 돈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그것은 맞는말
요즘은 중학생정도 되는 자식들한테 경제관념 알려준다고 주식 공부시키는 부모도 많더만
20대에 부자되는법
용돈과 새뱃돈을 모아서 만든 2억을 들고 부동산을 합니다
그냥 결혼해서 애 낳으면 부자(父子)가 될 수 있음.
가정폭력 아동학대 열차사고 등등으로 구성된 이 책도 추가 좀
뽀르뚜까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읽은지가 너무 오래라 여기 나오는 포르투갈 사람이 실존인물인지 환상속 인물인지 조차 흐릿하다
그리고 아홉살 인생도
안읽어봤다!
스물네살에 악기가 된 키라
https://youtu.be/3HZ4A-Ihpnk
결국 바카로이드 엔딩인가 ㅠㅠ
생각해보니 이거볼때부터 주식에 관심이 생긴거같다
어린이 도서관 추천도서 중에 아직도 기억하는 명작은 꿀벌의 친구. 애니메이션도 있지.
근데 저건 펀드시키지 않았었냐
마지막으로 읽은게 대략 10년전이라 내 기억으로는 주식임
근데 안전빵으로 한다고 여러곳에 분산투자한게 기억난다
그건 펀드 유행할때 후속작으로 나왔던거 아닐까
ㄴㄴ
저거 투자 시작을 용돈 모아서 펀드에 넣는 걸로 함.
미국장은 정답아지... 12살 용돈으로 코카콜라만 꾸준히 사도 배당이 얼마냐..
그래도 다른 권장 도서에 비하면 저 책 정도면 괜찮은 책 같은데. 난 어릴 때부터 문학은 고전 취향이라 그런지 권장 도서에 그냥 고전으로 절반은 채워도 될 것 같은데 의외로 별로 없더라. 개인적인 생각으로 기본 이상의 문화 교양이나 역사 상식 정돈 고전 정독으로 채울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야. 장미의 이름(근데 이건 너무 어렵다...) 한 번 읽으면 기독교나 르네상스 시대 관련해서 빠삭해지는 거처럼
초딩때 도서관에 저거랑 비슷하게 가다 선물거래 사기당하고 돈 날려먹는 소설도 있더라
읽어보면 그냥 어린이들에게 경제관념이나 경제지식 조금 가르쳐주는게 끝인데 학부모나 사람들 인식에는 마치 어릴때부터 부자가 되어가는 씨크릿마냥 관념이 박혀있었음 나도 초딩때 저거 읽었는데 어린 나이에도 읽으면서 근대 이게 부자가 되는거랑 대체 몬상관이지????하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음
사실 저기 나온 방법들이 죄다 아메리카식이라 한국에서 그대로 따라하기에는 무리가 조금 있음
평소에 아껴쓴다 합리적 소비 뭐 이런거 빼고
??? : 그래, 우리가 키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