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고급카메라(Leica, Hasselblad 등)를 직접 구입할 경우 관세청에서는 우송료를 포함하는 총비용에서 20%를 관세로 여기면 된다는 데 고가카메라를 직접구입하신 경험이 있으신 분의 통관세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cohabe.com/sisa/1804962
미국에서 고가카메라를 직접 구입할 경우
- 영정사진 부탁드립니다 [5]
- 버꾸색뀌 | 2021/01/02 09:57 | 421
- 군부대 근처 모텔비와 피시방 사용료가 오른 이유류 甲 [7]
- 인천suldog | 2021/01/02 08:34 | 927
- 포토클램 삼각대 어떤게 나을까요? [5]
- {(^l^)(^&^):) | 2021/01/01 16:26 | 565
- 새해 보정 요청합니다. [6]
- 9510qwe | 2021/01/01 10:33 | 1615
- 뻘글[2보] 와이프 친정 방문 아직 희망 있어 [17]
- 쟌철수 | 2020/12/31 23:37 | 1672
- 광각과 셀카 용도로 rp 와 아이폰 12 pro 중 뭣이 더 나으려나요? [4]
- 정직근면성실 | 2020/12/31 22:22 | 1260
- 이제 5세 아들 AF도 거뜬합니다! ㅎㅎ Z6ii + 50.2 테스트 [14]
- 캠핑가다 | 2020/12/31 18:26 | 1743
- 연예인들의 이면 [10]
- 화끈한청바지 | 2020/12/31 14:30 | 352
- 저는 내년부터 쌍권총 차고 다닙니다 [8]
- soolee | 2020/12/31 12:17 | 923
- 주차장 빌런들 진짜 많죠 [17]
- ARTDSLR | 2020/12/31 10:26 | 731
- 서지혜.gif [2]
- 기관총을가진사람 | 2020/12/31 08:42 | 1177
- [혐]**절대로 용서할수 없는 집단 들.! [4]
- 깨어있는tk깨시민 | 2020/12/31 01:55 | 1649
일단 신품이고 중고고 우리나라가 제일 싸서, 희귀한 제품이 아니면 메리트가 없습니다.
관세는 CIF 기준이므로 상품, 보험, 운송료가 모두 포함된 가격이 기준입니다.
여기에 관세가 8% 붙고, (기준가+관세) 전체에 부가세 10%가 붙습니다.
관세와 부가세를 합하면 기준가에 18.8%가 추가되는 셈입니다.
대략 20% 라고 보면 되죠.
20% 추가비용을 감수하고 해외에서 구입하느냐 여부는 경우에 따른 판단의 영역이겠습니다만,
비용의 잇점이 아주 크지 않다면 향후 A/S나 (확률은 낮지만) 운송중 파손/분실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고가의 카메라를 해외구입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이베이에서 직구해봤는데 실제로 20% 가까이 세금이 물려서 냈습니다.
물품이 택배회사에 픽업되는 순간부터는 환불과정이 매우 복잡해지는터라 처음 구매시 신중해야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