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재배수량이라면 결국 무게와 같습니다.
같은 부피의 물을 밀어낸 만큼이 배의 무게가 되기 때문입니다.
상선들은 배 자체의 무게보다 짐을 싣을 수 있는 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량톤, 재화톤, 적화톤 이렇게 표현하고 계산하는 거구요.
Blessed2019/08/26 11:13
참고로 1만톤급 군함과 1만톤급 상선을 비교하면 상선이 더 큽니다.
전자의 경우, 배무게+장비/연료/물자무게 의 합이 1만톤이고, 후자는 짐을 싣을 수 있는 무게만 1만톤이라는 의미입니다.
제2019/08/26 11:20
만재배수량은 만재했을때의 무게죠. 배가 항상 만재 상태로 다니는 건 아니고, 경하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Blessed2019/08/26 11:33
네, 경하배수량은 배자체의 무게로 보시면 됩니다.
짐을 싣지 않은 경우는 배가 가벼워지므로 흘수(draft)가 낮아집니다. 짐을 싣지 않은 무게만큼 배가 떠오르는거죠. 즉, 배가 밀어낸 물 부피가 작아지게 됩니다.
경하배수량도 그 상태의 배 무게임은 맞습니다.
ex) 경하배수량 45000톤, 흘수 8m 일때 → 수면 아래 선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가 대략 45000m^3(해수는 밀도가 1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계산)
만재배수량 65000톤, 흘수 10m 일때 → 수면 아래 선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가 대략 65000M^3
두 경우 모두 배수량 = 그 시점의 배무게 입니다.
Diabolique2019/08/26 11:43
만재배수량으로 태클 걸려고 하지 마시고.
처음에 님이 말한 배수량이 곧 무게를 말하는겁니다.
키보드워리어2019/08/26 11:06
뭐 다들 항공모함 크다크다 호들갑인데 웃겨요..진짜 큰 배들은 군함이 아닌 상선인데... 간단한 예로 길거리 돌아다니는 거대한 콘테이너 트레일러들..그 콘테이너를 1만8천개 2만개도 싣고 다니는게 상선들이에요.. 유조선들은 우리나라 기름 하루치 소비량의 기름을 배에 싣고 다니구요..항공모함은 그 상선들 옆에가면 버스랑 SUV 사이즈 차이닙니다.
호도slr2019/08/26 11:10
오?...
뇐네2019/08/26 11:14
맞음 유조선 상선이 더 큼. 해양플랜트도 엄청큼.
가스Knight2019/08/26 11:19
Prelude FLNG, 길이 480m 정도됨
귄터반트2019/08/26 11:21
그럼 본인이 상선 글 쓰면 되는데 왜 댓글로 이러는지..
A//E2019/08/26 11:22
맞아요 상선이 훨씬 거제에 피항간적 있었는데 우리배 통통배 만들더란.. 우리배 100미터는 넘는배였는데...
rion~♡2019/08/26 11:29
니미츠급 되면 하나에 도시가 움직이는 거라서요. 승무원이라든지 물량. 탑재 전투기등. 고 모든걸 합해서 이야기 하는 거조. 단순 무게 보다.
미즈씨2019/08/26 11:36
미국 최신예 항모(함재기 미포함) 한 척 건조비가 대형 유조선 100척 건조할 비용임...
위도우메이커♥2019/08/26 11:06
막짤......쳐다 보기 무섭겠다는.......
ㅎnㅂrㄹrㄱl2019/08/26 11:07
얼마 안들어가네요..
내몸에꿀2019/08/26 11:09
마지막짤보니까 대충 알겠네요
blanca7772019/08/26 11:10
문제는 저 항모는 증기 캐터펄트도 없는 중형항모 ㄷㄷㄷ
Lixit2019/08/26 11:15
아 영국놈들 조그마한 항모구나..
countryroad2019/08/26 11:24
진짜 무섭네요.. 저런 항모2대만 오면 왠만한 국가는 지도상에서 사라질듯;;;
Meeo2019/08/26 11:25
2만TEU급 컨테이너보단 많이 짧네
[K-7]GS450H2019/08/26 11:25
타봤는데 진짜큽니다
길 잃어요..
USS midway
느림보(Slowman)2019/08/26 11:26
해군 형제가 같은 항공모함에서 근무하면서 3년간 서로 몰랐다고..
초록풍선™2019/08/26 11:32
물속에 가라앉으면 일본은 물에 잠길수도...
▶◀woo2019/08/26 11:44
제가 항모에 자주 올라갔었는데,
첨에만 좀 커보이지, 자주가보니 그닥...사람 심리가 원래 그런듯
밥도 자주 먹었는데,
항모식사는 정말 맛있어요. 고기 뷔페 잔치.
ㄷㄷㄷㄷㄷㄷ
65,000톤은 무게가 아니라 배수량.....
배수량은 그 배가 물을 밀어내는 양이란 말이고
그것이 곧 그 배의 무게인데여??
만재배수량이라면 결국 무게와 같습니다.
같은 부피의 물을 밀어낸 만큼이 배의 무게가 되기 때문입니다.
상선들은 배 자체의 무게보다 짐을 싣을 수 있는 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량톤, 재화톤, 적화톤 이렇게 표현하고 계산하는 거구요.
참고로 1만톤급 군함과 1만톤급 상선을 비교하면 상선이 더 큽니다.
전자의 경우, 배무게+장비/연료/물자무게 의 합이 1만톤이고, 후자는 짐을 싣을 수 있는 무게만 1만톤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재배수량은 만재했을때의 무게죠. 배가 항상 만재 상태로 다니는 건 아니고, 경하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네, 경하배수량은 배자체의 무게로 보시면 됩니다.
짐을 싣지 않은 경우는 배가 가벼워지므로 흘수(draft)가 낮아집니다. 짐을 싣지 않은 무게만큼 배가 떠오르는거죠. 즉, 배가 밀어낸 물 부피가 작아지게 됩니다.
경하배수량도 그 상태의 배 무게임은 맞습니다.
ex) 경하배수량 45000톤, 흘수 8m 일때 → 수면 아래 선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가 대략 45000m^3(해수는 밀도가 1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계산)
만재배수량 65000톤, 흘수 10m 일때 → 수면 아래 선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가 대략 65000M^3
두 경우 모두 배수량 = 그 시점의 배무게 입니다.
만재배수량으로 태클 걸려고 하지 마시고.
처음에 님이 말한 배수량이 곧 무게를 말하는겁니다.
뭐 다들 항공모함 크다크다 호들갑인데 웃겨요..진짜 큰 배들은 군함이 아닌 상선인데... 간단한 예로 길거리 돌아다니는 거대한 콘테이너 트레일러들..그 콘테이너를 1만8천개 2만개도 싣고 다니는게 상선들이에요.. 유조선들은 우리나라 기름 하루치 소비량의 기름을 배에 싣고 다니구요..항공모함은 그 상선들 옆에가면 버스랑 SUV 사이즈 차이닙니다.
오?...
맞음 유조선 상선이 더 큼. 해양플랜트도 엄청큼.
Prelude FLNG, 길이 480m 정도됨
그럼 본인이 상선 글 쓰면 되는데 왜 댓글로 이러는지..
맞아요 상선이 훨씬 거제에 피항간적 있었는데 우리배 통통배 만들더란.. 우리배 100미터는 넘는배였는데...
니미츠급 되면 하나에 도시가 움직이는 거라서요. 승무원이라든지 물량. 탑재 전투기등. 고 모든걸 합해서 이야기 하는 거조. 단순 무게 보다.
미국 최신예 항모(함재기 미포함) 한 척 건조비가 대형 유조선 100척 건조할 비용임...
막짤......쳐다 보기 무섭겠다는.......
얼마 안들어가네요..
마지막짤보니까 대충 알겠네요
문제는 저 항모는 증기 캐터펄트도 없는 중형항모 ㄷㄷㄷ
아 영국놈들 조그마한 항모구나..
진짜 무섭네요.. 저런 항모2대만 오면 왠만한 국가는 지도상에서 사라질듯;;;
2만TEU급 컨테이너보단 많이 짧네
타봤는데 진짜큽니다
길 잃어요..
USS midway
해군 형제가 같은 항공모함에서 근무하면서 3년간 서로 몰랐다고..
물속에 가라앉으면 일본은 물에 잠길수도...
제가 항모에 자주 올라갔었는데,
첨에만 좀 커보이지, 자주가보니 그닥...사람 심리가 원래 그런듯
밥도 자주 먹었는데,
항모식사는 정말 맛있어요. 고기 뷔페 잔치.
미군?? ㄷ ㄷ ㄷ ㄷ ㄷ
퀸 엘리자베스호? 다큐 봤는데 저걸 기름으로 운행한다는게 더 대단한듯 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