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사이비종교들이 건축 양식을 죄다 불교식으로 한거랑 연관시켜보면
통치 체제는 유교지만, 사실 정신 세계나 종교적 세계는 불교가 커버쳐주는 부분이 많지 않았을까 싶음.
아디아2019/08/21 07:33
유교가 종교로써의 기능은 미비하니까
악어와 악어새 같은 느낌 아니었을까
이난쟁2019/08/21 07:31
두부 먹어야돼서가 아니었나
눈물의 곡절2019/08/21 08:04
세조는 동복형제까지 죽여가면서 왕위에 오른놈이라 뒤가 구리니까 불교에 더욱 매달림 ㅋㅋ
달의두뇌2019/08/21 07:29
역시 세종이야
이난쟁2019/08/21 07:31
두부 먹어야돼서가 아니었나
보드카!!2019/08/21 07:31
조선 후기에 사이비종교들이 건축 양식을 죄다 불교식으로 한거랑 연관시켜보면
통치 체제는 유교지만, 사실 정신 세계나 종교적 세계는 불교가 커버쳐주는 부분이 많지 않았을까 싶음.
아디아2019/08/21 07:33
유교가 종교로써의 기능은 미비하니까
악어와 악어새 같은 느낌 아니었을까
아후우읏2019/08/21 07:35
그건 어쩔수가없지ㅋㅋㅋ유교는 종교라기엔 괴력난신이라고 해서 사후에 대한 건 취급도 안했으니까
보드카!!2019/08/21 07:36
ㅇㅇ 아마도?
공자가 응 괴력난신 껒여 한 뒤로 원시 유교에선 그런거 발달 안 했지만
불교 들어오고 유불도가 쓰까지는 과정도 겪었고, 그 과정에서 유교와 불교가 나름대로의 생존점을 찾아나간 결과가 그런거 아닌가 싶음.
보드카!!2019/08/21 07:36
뭐 아예 취급 안 한건 아니지. 당장 제사만 봐도.
아후우읏2019/08/21 07:38
음.. 그건 유교 특유의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의미라고 생각해서 사후세계관이랑은 조금 다르다고 봄
뭐 그냥 내 개인적인 생각이라ㅎㅎ;;; 내 말이 옳다는건 아니고 그냥 그렇게 생각함
보드카!!2019/08/21 07:40
혼은 하늘로 가고 백은 땅에 남아서 자손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사고 자체가 굉장히 현실적인 버전의 사후세계관 아닐까 ㅋㅋㅋ
아 뭐 유교가 강하다는게 아니라, 그런 사후세계관 같은게 아예 없었으면 불교하고 키배에서 처발렸을 거라서, 어떻게든 유교 속으로 가져올 수밖에 없었거든.
아후우읏2019/08/21 07:42
그것도 그렇게 볼수도 있겠다
흐룃2019/08/21 07:31
세종은 저런걸 즐김. 즐기는 자는 못이김.
B.D.2019/08/21 07:54
하지만 고기를 먹지 못하게하면?
치르472019/08/21 07:55
태종 : 내가 죽어도 세종은 고기 먹게 해라
(태종의 장례식)
신하 : 전하, 제발 고기좀 드소서
적카다2019/08/21 07:55
올 ~ 오늘은 불교로 입을 털어볼까 ~
어케해2019/08/21 07:56
고기먹지말라고 한 애와 특별한 개인면담이 있겠지
칼 리코2019/08/21 08:00
즐기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고...쨌든 왕노릇이나 똑바로 하란 말입니다.
Silmarill2019/08/21 08:00
세종: 토론회참석하면 능력이 좀 되는놈이니 관뚜껑에 못질할때까지 나랑 일하자?
2D라면거유폭유만인정2019/08/21 08:05
그것보다
일하다보면 뭐든 일보다 잼나서가 아닐까?
거부기2019/08/21 07:53
몇 백년동안 있었던 국교인데, 비록 유교국가라더라도 손쉽게 처내기가 힘들지
거부기2019/08/21 07:55
유교가 아니라 성리학
익스펜더블2019/08/21 07:54
통치 이념하고 개인 신념하고는 별개니까. 세종대왕도 정책상으로는 억불했지만 정작 본인은 궁궐안에 내불당 지을정도엿음.
익스펜더블2019/08/21 07:56
그만큼 고려말-조선초에 들어왔던 성리학적 이념이 아직 자리를 잡기 전이었단 말이기도 했고,
성리학은 그냥 통치수단이지 강제수단이 아니라는 반증이기도 하고.
꼴랑 50년뒤인 중종때 조광조는 성리학 아니면 다 이단 취급을 엄청강요해서 결국 목이 날아갔지만.
익명-jI2NDc12019/08/21 07:55
세조가 대표적인 불교 신봉 왕이었더랬지. 근데 조카한테는 왜그러셨으요....
게임몽상가2019/08/21 07:55
불교 교리 자체는 나쁜게 아닌데.
그걸 이용하는 사람이 나쁜거지.
아무리 좋은 것도 쓰는 사람이 악용하면 변질되기 마련. (부정과 부패)
유기농슈크림2019/08/21 07:55
딱히 건수가 있는건 아니라서 조지긴 힘듬
할려면 하지만 굳이 왕이 잔혹하다는 평을 얻을필요는 없지
OneTwoDaisy2019/08/21 07:57
세종 : 자 알아들었으면 레포트 10장 써오고 토론준비 해오세요. 물론 평소 하던 일은 다 해야합니다.
ToughZealot2019/08/21 07:59
세종은 특히나 형이 스님이라 더 압박이 심할뻔 했는데 저렇게 극복하네.
눈물의 곡절2019/08/21 08:04
세조는 동복형제까지 죽여가면서 왕위에 오른놈이라 뒤가 구리니까 불교에 더욱 매달림 ㅋㅋ
갤리선2019/08/21 08:11
그건 아님 세조는 불교을 좋아하기만 했음
빛금2019/08/21 08:05
갓종대왕 행님ㅋㅋㅋㅋㅋㅋ
신하들 제발 그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갤리선2019/08/21 08:05
라고하나 조선왕조실록에 세조는 처음부터 불교을 좋아함
사죄은 개뿔
갤리선2019/08/21 08:07
게다가 죽인 형제들에 대한 미안함도 없고 자기를 비판했다고 마을의 백성들을 학살한 놈이기도 하지(피끝마을 사건)
세종은 저런걸 즐김. 즐기는 자는 못이김.
조선 후기에 사이비종교들이 건축 양식을 죄다 불교식으로 한거랑 연관시켜보면
통치 체제는 유교지만, 사실 정신 세계나 종교적 세계는 불교가 커버쳐주는 부분이 많지 않았을까 싶음.
유교가 종교로써의 기능은 미비하니까
악어와 악어새 같은 느낌 아니었을까
두부 먹어야돼서가 아니었나
세조는 동복형제까지 죽여가면서 왕위에 오른놈이라 뒤가 구리니까 불교에 더욱 매달림 ㅋㅋ
역시 세종이야
두부 먹어야돼서가 아니었나
조선 후기에 사이비종교들이 건축 양식을 죄다 불교식으로 한거랑 연관시켜보면
통치 체제는 유교지만, 사실 정신 세계나 종교적 세계는 불교가 커버쳐주는 부분이 많지 않았을까 싶음.
유교가 종교로써의 기능은 미비하니까
악어와 악어새 같은 느낌 아니었을까
그건 어쩔수가없지ㅋㅋㅋ유교는 종교라기엔 괴력난신이라고 해서 사후에 대한 건 취급도 안했으니까
ㅇㅇ 아마도?
공자가 응 괴력난신 껒여 한 뒤로 원시 유교에선 그런거 발달 안 했지만
불교 들어오고 유불도가 쓰까지는 과정도 겪었고, 그 과정에서 유교와 불교가 나름대로의 생존점을 찾아나간 결과가 그런거 아닌가 싶음.
뭐 아예 취급 안 한건 아니지. 당장 제사만 봐도.
음.. 그건 유교 특유의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의미라고 생각해서 사후세계관이랑은 조금 다르다고 봄
뭐 그냥 내 개인적인 생각이라ㅎㅎ;;; 내 말이 옳다는건 아니고 그냥 그렇게 생각함
혼은 하늘로 가고 백은 땅에 남아서 자손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사고 자체가 굉장히 현실적인 버전의 사후세계관 아닐까 ㅋㅋㅋ
아 뭐 유교가 강하다는게 아니라, 그런 사후세계관 같은게 아예 없었으면 불교하고 키배에서 처발렸을 거라서, 어떻게든 유교 속으로 가져올 수밖에 없었거든.
그것도 그렇게 볼수도 있겠다
세종은 저런걸 즐김. 즐기는 자는 못이김.
하지만 고기를 먹지 못하게하면?
태종 : 내가 죽어도 세종은 고기 먹게 해라
(태종의 장례식)
신하 : 전하, 제발 고기좀 드소서
올 ~ 오늘은 불교로 입을 털어볼까 ~
고기먹지말라고 한 애와 특별한 개인면담이 있겠지
즐기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고...쨌든 왕노릇이나 똑바로 하란 말입니다.
세종: 토론회참석하면 능력이 좀 되는놈이니 관뚜껑에 못질할때까지 나랑 일하자?
그것보다
일하다보면 뭐든 일보다 잼나서가 아닐까?
몇 백년동안 있었던 국교인데, 비록 유교국가라더라도 손쉽게 처내기가 힘들지
유교가 아니라 성리학
통치 이념하고 개인 신념하고는 별개니까. 세종대왕도 정책상으로는 억불했지만 정작 본인은 궁궐안에 내불당 지을정도엿음.
그만큼 고려말-조선초에 들어왔던 성리학적 이념이 아직 자리를 잡기 전이었단 말이기도 했고,
성리학은 그냥 통치수단이지 강제수단이 아니라는 반증이기도 하고.
꼴랑 50년뒤인 중종때 조광조는 성리학 아니면 다 이단 취급을 엄청강요해서 결국 목이 날아갔지만.
세조가 대표적인 불교 신봉 왕이었더랬지. 근데 조카한테는 왜그러셨으요....
불교 교리 자체는 나쁜게 아닌데.
그걸 이용하는 사람이 나쁜거지.
아무리 좋은 것도 쓰는 사람이 악용하면 변질되기 마련. (부정과 부패)
딱히 건수가 있는건 아니라서 조지긴 힘듬
할려면 하지만 굳이 왕이 잔혹하다는 평을 얻을필요는 없지
세종 : 자 알아들었으면 레포트 10장 써오고 토론준비 해오세요. 물론 평소 하던 일은 다 해야합니다.
세종은 특히나 형이 스님이라 더 압박이 심할뻔 했는데 저렇게 극복하네.
세조는 동복형제까지 죽여가면서 왕위에 오른놈이라 뒤가 구리니까 불교에 더욱 매달림 ㅋㅋ
그건 아님 세조는 불교을 좋아하기만 했음
갓종대왕 행님ㅋㅋㅋㅋㅋㅋ
신하들 제발 그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라고하나 조선왕조실록에 세조는 처음부터 불교을 좋아함
사죄은 개뿔
게다가 죽인 형제들에 대한 미안함도 없고 자기를 비판했다고 마을의 백성들을 학살한 놈이기도 하지(피끝마을 사건)
정말 시발롬이었군
거기다가 난 호불의 군주이다고 하는등 단순히 세조는 불교만 좋아했음
세종 : 이상하다.. 전에 불교토론배틀 재밌었는데 왜 다시 안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