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fni.nimh.nih.gov/pub/dist/doc/program_help/3dClustSim.html
(예시짤)
첨단 뇌측정장비인 fMRI의 버그 '3dClustSim'
2016년에 버그가 있다는게 발견됐는데 그동안 버그가 있는 상태에서 4만건 이상의 논문에 fMRI가 사용됐으며 당시 기준 15년간 잘못된 측정을 해왔다고 밝혀짐.
16년도 5월에 버그 픽스를 위한 패치 혹은 업데이트가 끝났다고 함.
결론적으로 오랫동안 수많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한 최악의 프로그래밍 버그.
버그인지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했었는데 70%로 오류나왔다고 함.
오류 내용은 질병이 있건 없건 있다고 측정나왔다고함.
치명적이네
기존 논문들은 다 폐기되는건가.
그나마 둘 다 있다고 나왔으니 불행 중 다행이지 다 없다고 나왔어봐...
저런 경우는 하트블리드가 아니라 브레인블리드인가
어쩌면 저 장비오류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갔을 지도 모르겠네
치명적이네
기존 논문들은 다 폐기되는건가.
그래서 나왔던게 죽은 물고기 mri라 아마 그렇게 큰 영향은 없을꺼라고 믿어본다...
적어도 재심사는 받아야겠지.
저런 경우는 하트블리드가 아니라 브레인블리드인가
심각하네
그나마 둘 다 있다고 나왔으니 불행 중 다행이지 다 없다고 나왔어봐...
다른곳이 아픈건데 저거 때문에 잘못 치료했을 수도 있지않을까
그나마 없다고 나오지는 않아서 다행인가.
음.. 그러니까 뇌를 관측하는 용도의 장비가 사실은 오류투성이 였다는 얘기야?
어쩌면 저 장비오류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갔을 지도 모르겠네
없다는것보단 낫네
저번에 댓글엔 기기 자체는 문제없는데 결과값을 시각화하는 프로그램에서 에러가 터져서 저랬다더만
사실 없다고 나왔으면 그건 그것대로 훨씬 빠르게 문제를 발견했을 가능성도 높긴 함.
뻔히 증상이 보이고 다른검사로 다른건 다 아니라고 나온다면 기계가 잘못 측정했을수밖에 없으니까...
아니야 장비오류가 아니라 논문쓸때 데이터 돌리는 분석프로그램이 문젠데 그것도 아주 예전에 패치됐고 패치되기전에 엔간한 결과들은 저걸로 드라마틱하게 결과가 뒤집히지 않음.
그리고 저걸쓰는건 대부분 진단/처치용이 아니라 연구용이야 진단쪽이랑은 상당한 벽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