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보물 393호 전등사 종. 우리나라와 제작 방식이 확연히 다른 종이며 기록에 의하면 중국 송나라의 종이라고 함. 어떻게 우리나라에 건너온건지는 불명.
2.보물 668-4 호인 권응수 장군의 유물 장검. '권응수 장군의 유물'이란 이름으로 등록된 세트에 포함된 아이템으로 권응수란 장군이 임진왜란때 일본 장수에게 뺏은 일본도.
3.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베를린 올림픽 당시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 우승의 부상으로 받은 것으로 손기정 선수가 써봤더니 안들어갔다고.. 서양인들은 두상이 작았던듯... 현재는 박물관에 기증됨.
4.보물 635호 경주 계림로 보검 . 경주에 계림로라는 도로가 있는데 그곳 공사하다가 땅에서 파낸 검.... 딱 보기에도 우리나라 물건은 아닌걸로 보이며 아마도 신라시절 바닷길을 통해 들어온게 아닐까 추측중...
실제로보면 사람이 절대 쓰지 못할 수준임.. 그 소두로 유명한 비스트의 머시기도 못씀 ㅎㅎ장식용 아닐까?
역사학자:어 시발 송나라 제작기법인데 왜 이 종이 한국에 있지?
대장장이:모드 다운받았어 등신들아
저 투구는 단두형 장두형의
차이에서 오는 두상때문에 안들어간걸까
아니면 뭔 소년병 용 이었나
ㅇㅇ 일제시대에 부평에 병기 공장이 있어서 중국이나 한국에서 징발한것들 녹여서 병기로 만들었음
그리고 저 종은 지금 인천시립 박물관에서 전시중
아 예비군 투구 인가보네
사진은 비쥬얼 가수 김범수
저 투구는 단두형 장두형의
차이에서 오는 두상때문에 안들어간걸까
아니면 뭔 소년병 용 이었나
고대인들은 못먹어서 머리가 작았을수도 있을듯
실제로보면 사람이 절대 쓰지 못할 수준임.. 그 소두로 유명한 비스트의 머시기도 못씀 ㅎㅎ장식용 아닐까?
비스트의
토마스 ??
.
그냥 머리에 얹는 사료도 엄청 많던데
그런 종류였던거 아닐까?
아 예비군 투구 인가보네
사진은 비쥬얼 가수 김범수
김종민인줄
다들 저게 투구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안 하나보네. 마음이 순수해서.
역시 범수형이야
마지막 검은 저기에 찔려죽어도 약간 납득하면서 죽을거 같음
종은 부평 갔으면 녹여서 총알로 만들었냐?
ㅇㅇ 일제시대에 부평에 병기 공장이 있어서 중국이나 한국에서 징발한것들 녹여서 병기로 만들었음
그리고 저 종은 지금 인천시립 박물관에서 전시중
막짤 길가메시 보물 같아
4번 저 칼은 아랍이나 마야문명쪽 느낌이다..
동유럽이나 아랍쪽이래
이번 중앙아시아 유물전에 나왔던데.
정확한 기록은없고 그냥 덜렁하고나와서 추측성이 많은데
유럽에서 아라비아상인이 구한걸 중국으로 가져오고 그게또 우리나라로
수출되온거라는 말이있드라
역사학자:어 시발 송나라 제작기법인데 왜 이 종이 한국에 있지?
대장장이:모드 다운받았어 등신들아
중국 기법의 도자기가 한국에서 쏟아지는 게 일상인데 신기할 게 있음?
쿠팡으로 샀는디...
4번째는 아즈텍 마야 이쪽같은데
맞나..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나왔던거 같은데
그당시 중앙아시아쪽이랑 교류가 있었다는 적은 자료중 하나...
반대로 우리나라 보물이 해외에서 발견된 사례도 있었는데...
헝가리에서 땅 팠는데 도자기 우루루 나와서 뭔가 조사 하니깐 신라 도자기들이 나왔다는 이야기도 들었었고...
뭔.. 지구 반대편 무역도 하지도 않은 헝가리에서 이게 왜 나와?! 했던것도 기억이...
우리나라 문화재가 외국에서 보물로 취급받는 사례는 무진장 많음. 일본도 그렇고, 직지도 그렇고
무역 했어
고려. 신라에는 아라비아 애서 온 상인들도 많았다.조선에 오면서 대외무역을 전부 중국에 의존하면서 줄어든거지
마지막고 존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