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824799

림즈 X-T3 하프케이스

X-T3를 두 번째 들여왔습니다.
X-H1하고 X-T3를 비교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제각각이고 저도 둘을 동시에 비교는 안 해봐서 궁금했는데,
마침 와이프가 방진방적되고 딸내미 찍을 때 예쁘게 나오는 카메라 사달라고 해서....
마침 하프케이스 페키지가 있길래! 보통 같으면 케이스따위 금방 만드는 거라 만들어쓰겠지만 림즈꺼라..
네.. 그래서 예판 이후 두 번째 신품으로 질렀습니다. ㅡㅡ;;
이 케이스 나온지 좀 된거 같은데 포럼에는 아직 소식이 없길래 가죽쟁이 입장에서 소개해봅니다.
273029BD_E4A7_44F8_B56B_E69308BBFEB5.jpeg
케이스 씌워도 H1이 훨씬 큽니다. 크롭 주제(?)에 덩치는 왠만한 풀프레임 미러리스보다 크죠.
반대로 말 하면 X-T3는 케이스를 장착하고도 꽤나 슬림합니다.
27E7F7D9_8ABD_4B3F_9796_940F95A28BE1.jpeg97AA41B3_7A64_4B19_A028_6B612AA11357.jpeg
림스케이스의 장점은 바닥이 통짜 알루미늄 이라는겁니다. 정확한 소재 번호는 기억이 안 나지만 꽤나 가볍고 튼튼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있는 하프케이스들의 바닥은 순수 가죽으로 만들거나, 웹텍스와 본텍스 같은 단단한 종이 느낌의 보강재, 아크릴, 3D프린터 사출물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합니다.
도브테일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격없이 삼각대에 장착되는 내구성 좋은 유일한 케이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국,내외를 찾아봐도 이런 일체형 타입은 전무한 수준입니다. 일부 보강한다고 되는 이야기가 아니죠. 그야말로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죽 소재는 이탈리아 바달라시 카를로의 미네르바 복스(소가죽)로 역시 국내외 고급 하프 케이스(공장, 공방 모두 합쳐서)라고 하는 질 좋은 녀석입니다.
바달라시 테너리(가죽제조사)의 가죽으로 국내에 유명한 가죽은 푸에블로, 아트왁스, 아하브 정도가 있고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가죽 중에는 중간 정도 가격대의 가성비 좋은 가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두배이상 비싼 가죽들도 많습니다만, 제작 원가가 산으로....)
내부는 인조 스웨이드 처리로 바디 스크래치가 나지 않도록 제작 되어있고, 가죽부는 두껍지 않게 제작되어 X-t3의 바디라인을 해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디자인은 제 취향은 아닙니다. ^^
8799A666_6B4E_45F7_9252_E688A2D30FD6.jpeg74528CA6_52A7_49C2_B45F_088455B11FD1.jpeg
좌측 포트 부분은 X-T3에 와서 USB-C단자로 변경되어 기능성이 향상되었고 이로인해 후지측에서는 덮개를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 했습니다.
창의적인 사진 활동에 있어 제약이 없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포트 사용 및 덮개 분리에 불편함이 없습니다.
기계를 이해하고 제대로 제작 되는 제품이 가지는 디테일입니다. 저가 중국산 케이스들은 어떨런지 모르겠습니다만 바디 보호가 최 우선, 이후 기능성이 기본인 케이스에서는 당연히 고려 되어야 할 부분이기에 딱떨어지는 라인이 참 좋습니다.
310F83B3_EA5F_471B_9ED0_0FDBB8117228.jpeg
좌측은 제가 전에 샘플링 했던 X-T3 케이스입니다.
비교샷을 찍은 이유는 림스의 경우 손바느질이 아닌 머신 스티치(미싱)임에도 재단면에서 스티치 라인 간격이 균일하며 실 장력또한 그러한 걸 볼 수 있습니다. 가죽 제품을 제작 하는 입장에서 볼 때 스티치 라인이 불규칙 하거나 꺾이는 부분에서 수준차이를 발견하는데 림스는 공산품 중 상당한 완성도라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2B55138_B922_48E9_AB6A_12401A175B22.jpeg
뒷면의 경우도 LCD틸팅에 방해되지 않도록 좀 더 적극적으로 틸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좌측하단~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습니다.
제작자의 관점에서 볼 때 좀 더 안정적인 건 하단 전체가 넓은 타입인데, 써보면 즉각적인 틸팅이 불편할때도 있어서 타협된 모습으로 보입니다.
DA8B38AB_F60B_4114_B084_934AA1553872.jpegD4A7A59F_4861_497D_A26B_5CFC9B09AC3C.jpeg
전체적으로 핏은 좋은편입니다.
플라스틱으로 성형 된 케이스가 아니기에 쓸수록 바디에 좀 더 밀착되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금보다 더 훌륭한 핏감을 보여주게 될겁니다.
가격은 인터넷 검색해보니 10만원대인데 소재, 핏, 디자인, 기능성을 볼 때 개인적으로 굉장히 저렴하다고 생각됩니다.
국,내외 다른 제작자들과 이야기 해봐도 다들 림즈의 가격은 무섭다고 합니다. ㅎ
특히 도브테일 일체형 케이스는 제가 알기로 유일하며(알미늄 통짜 프레임) 요즘은 수제라고 해도 과거처럼 바닥을 박스 스티치 방식이 아닌 접합방식이나 일반 새들스티치로 제작하는 경향이 국,내외에서 관찰되기에 바닥과 본판의 결합 방식을 두고 논란도 무의미 합니다.
간단하게 소개해봤습니다.
- 직접 구매한 것이므로 순수 제 맘대로 글 썼습니다.
- 이제 전 이걸 분해해서 개조할겁니다. ㅋ(가죽 교체 ㅋ)

댓글
  • 탱고리더 2018/11/24 20:01

    공산품과 수제품의 장점을 적절히 조합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10만원대의 쇼핑몰 판매 제품들은 뭔가 조금 아쉬웟거든요
    특히나 하판 재질들이 좀 더 단단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HbFqWD)

  • 파인크래프트 2018/11/24 20:09

    요즘은 중국산 싸구려들도 가격 상당한걸 볼때(직구가 답인 세상 ㅋㅋ)
    림스를 대적할 회사는 세계적인 하프케이스 제작 업체들 외엔 없는 것 같아요.
    특히 가성비를 생각하면 ...
    제작자인 저도 림스꺼 사서쓰는게 훨씬싸서.. 그리고 이렇게 단단한 바닥을 만들 방법이 없기 때문이죠 ㅎ
    아크릴이나 삼디프린터로도 택도 없고 ㅋ

    (HbFqWD)

  • another-세상 2018/11/24 20:30

    T3보다는 라이카 버전 lx100-2가 더 나을거 같은데..... t3로 카메라 처음쓰시면.... 힘들실거같은데 ㄷㄷㄷ

    (HbFqWD)

  • 파인크래프트 2018/11/24 20:31

    덕후 마누라로 몇년인데요 ㅋ
    렌즈 설계 이론도 빡삭한 사람이에요 ㅋ
    그래서 와이파이 무섭...

    (HbFqWD)

  • 승형이 2018/11/24 21:01

    음.림스케이스가 생각보다 퀄리티가좋은것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알류미늄 소재를쓰는 하프케이스를 좋아하지않는데 활용성이좋아보입니다 ㅎ

    (HbFqWD)

  • 파인크래프트 2018/11/24 21:07

    공장식 제품이라 그렇지 소재나 완성도는 어지간한 공방형 케이스보다 좋을겁니다. ㅋ
    특히 머신스티치이지만 중국산처럼 장력 안 맞는 부분도 거의 없고, 어설픈 목타로 찢어진 자국 남은 손바느질 보다 나은편이고요. ㅎ
    말씀대로 알미늄 플레이트에 대한 건 사람마다 의견이 다를 것 같습니다.
    전 보통 L플레이트를 즐겨 쓰는게 도브테일때문이라 완전 만족스럽네요 ㅎ

    (HbFqWD)

(HbFqW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