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823862

조리개 값이 바뀌면 초점도 다시 잡아야 하는지요?

조리개 값이 바뀌면 초점도 다시 잡아야 하는지요?
예를 들어 삼각대에서 f1.2에서 초점을 맞추고 f8로 변경하면 다시 초점을 맞춰야 하나요,
아니면 초점을 한 번 맞추고 삼각대에 세우면 초점을 변경하며 촬영해도 핀은 잘 맞는지요?

댓글
  • Daksal.TM 2018/11/23 20:58

    네 조리개 변경해도 잘 맞습니다.

    (OJTPNA)

  • gogo99 2018/11/23 21:03

    감사합니다 ㅎㅎ

    (OJTPNA)

  • 체리맛사탕 2018/11/23 20:59

    아니오. 다시 잡을 필요 없습니다.
    렌즈는 조리개 최대개방상태에서 초점을 잡은 다음 셔터버튼을 눌러야 설정한 조리개값에 맞춰 조리개를 조입니다. 조리개값을 어떻게 설정하든 초점 잡을때 조건은 같아요.

    (OJTPNA)

  • gogo99 2018/11/23 21:13

    감사합니다 ㅎㅎ

    (OJTPNA)

  • PictureGraphy 2018/11/23 21:11

    간단히만 답변드리면, '다시 잡을 필요 없습니다' 이고
    조금 토를 붙이자면,
    초점은 어차피 최대개방 상태에서 잡습니다.
    촬영할 때, 설정해주신 조리개 값으로 조리개날이 움직이면서 촬영되는거라
    조리개값을 변경해주신다고 하셔도, 최대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셔터를 누르는 순간 해당 조리개값으로 조여졌다가 다시 최대개방상태로 돌아옵니다.
    ps. 글을 쓰다가 발견했는데, 수동렌즈를 쓰시면 제 위에 글 다 날려버려야겠구요.
    조리개값을 조여서 초점 잡은 다음에 개방을 하시면 핀이 나갈 가능성이 크죠.
    조리개값을 조였을 경우는 초점 맞는 영역이 커지는데,
    그 상태에서 개방을 하면, 그 영역 중 상당수가 아웃포커싱되니
    조리개를 조인 상태에서 초점을 맞추시면, 나중에 개방 시에 어디에 초점이 맞는지
    알 수가 없을텐데요.

    (OJTPNA)

  • gogo99 2018/11/23 21:25

    7개중 4개가 수동 3 개가 지동인데
    테스트 챠트 찍는데
    수동으로 찍은 게 핀이 안 맞다라고요 ㅜ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ㅎㅎ

    (OJTPNA)

  • gogo99 2018/11/23 21:45

    한 가지 더 궁금한 게
    제 사무식이 f1.4에서 핀이 나갓는데
    자동렌즈에서 그런 원리로 초점을 맞추면
    전 구간에서 핀이 나가야 하는 거 아닌지요?

    (OJTPNA)

  • PictureGraphy 2018/11/23 21:48

    어차피 최대개방 상태에서 핀을 잡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말씀하신 것과 반대가 되죠.
    위에 댓글에 예를 들어주신 건,
    조리개를 조여서 핀을 잡은 다음에 촬영 시 개방하는 거고
    자동렌즈(사무식) 같은 경우는 최대개방에서 핀을 잡고 촬영 시 개방or조리개 조이는 거니까요.

    (OJTPNA)

  • DJ. 나스 2018/11/23 21:57

    그러나 근거리에서 조이면 오이는 설계 구조상 핀이 미세하게 나가요..
    그게 eos R에서는 극복이 되나 모르겠는데
    조리개 조여진상태에서 초점 검출하는
    소니 어댑터 조합은 극복이 됩니다.

    (OJTPNA)

  • 암흐 2018/11/23 21:59

    몇몇 렌즈는 변하긴 해요

    (OJTPNA)

  • 핫픽셀블라드 2018/11/23 22:02

    아뇨. 해당 조리개로 설정하고 잡아야 합니다.
    위상차 센서의 특성인지는 모르겠는데, 소니 렌즈 중 일부는 그래서 펌웨어 업데이트로 광량이 충분해다면 조리개 조인 상태에서 초점을 잡도록 변경되었습니다

    (OJTPNA)

  • 사람이문제다 2018/11/23 22:08

    조리개 보단.. 일단 초점 수퍼임포즈였나. 그 머시기 af 측거점이 어떻게 어디로 되있는지 함 보셔야되지 않을까여

    (OJTPNA)

(OJTP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