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805815

24프레임, 30프레임, 60프레임(슬로우용), 스마트폰 영상을 소스로 편집한다면

프리미어에서 시퀀스는 몇 프레임으로 만드는건가요? 제가 영상에 무지합니다...

댓글
  • 프로지름러 2018/11/07 06:34

    60프레임을 슬로우로만 쓰시겠다면 24나 30프레임을 쓰죠..

    (isw1Ef)

  • hjsh최고 2018/11/07 16:17

    24나 30을 써서 60에서 슬로우 부분만 따오면 되는거군요

    (isw1Ef)

  • 케레인 2018/11/07 11:08

    24나 30으로 쓰면 되지만 이 경우 세팅이 다른 건 영상이 끊겨보이실 겁니다.
    촬영할 때 프레임은 모두 통일해주셔야 합니다.

    (isw1Ef)

  • hjsh최고 2018/11/07 16:18

    실제촬영할때마다 한가지로 통일해야겠네요

    (isw1Ef)

  • 프로지름러 2018/11/07 16:52

    아닙니다.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30프레임이나 60프레임으로 찍은 영상을..
    24프레임 시쿼스에 올린 후 렌더링을 하면..
    30프레임 영상의 경우 6프레임은 버리고 24프레임으로 렌더링이 됩니다.
    60프레임의 영상도 마찬가지로 36 버리고 24프레임으로 렌더링 됩니다.
    하지만 24프레임이나 30프레임으로 찍은 영상을 60 프레임 시쿼스에 올리면..
    말씀하신대로 영상이 끊어져 보이게 됩니다.
    슬로우를 거는 경우..
    60프레임으로 촬영 후 30프레임 시쿼스에 올려서..
    1/2 속도로 슬로우를 걸어주면..
    어짜피 60프레임 중 30 프레임이라는 여유 프레임이 있기 때문에..
    영상이 끊어져 보이지 않고 슬로우를 걸어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부분도 카메라마다 차이가 좀 있는데..
    하이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한 경우 이미 영상에 슬로우가 적용이 된 상태로 저장이 되는 카메라도 있고..
    해당 프레임을 유지한 채 정상적인 속도의 영상으로 저장되는 카메라도 있습니다.
    이미 슬로우가 적용된 채 저장이 되는 카메라의 경우 편집과정에서 따로 속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편집을 할 줄 모르는 사람의 경우 그냥 그대로 쓰면 된다는 장점이 있고..
    프레임을 유지한채 정상적인 속도로 저장되는 카메라의 경우..
    편집을 할 줄 알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속도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죠..
    a7m3나 a9의 경우 두가지 방식 모두 지원하며, 본인이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소니 기종의 경우는 확인해보지 못해서 모르겠습니다.

    (isw1Ef)

(isw1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