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782265

렌즈 mm에 따른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언제나 질문만 드리고 있는 초보진사 입니다.ㅎㅎ
렌즈의 화각?이 mm별로 나뉘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 35mm / 50mm / 85mm 등등)
날씨, 환경, 나와 피사체와의 거리(1m), 조리개값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50mm로 찍는 것과 85mm로 찍는 것의 가장 큰 차이는 사진에 담기는 피사체의 크기가 다르다는거잖아요?
그럼 50mm로 찍히는 피사체의 크기를 85mm로 찍고 싶다면 피사체로부터 그만큼 뒤로 물러나면 되고,
반대로 85mm로 찍히는 피사체의 크기만큼을 50mm로 찍는다면 그만큼 피사체로 다가가면 되는게 맞죠??
단렌즈의 경우 이렇게 발줌으로서 조절을 하면 되는건데 굳이 35mm / 50mm / 85mm 로 바꿔가며 촬영을 해야하는
이유랄까요?! 굳이 렌즈를 화각 별로 구비를 해서 촬영을 해야 하는 차이가 있을 만큼 화각 별 렌즈의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ㅎㅎㅎㅎ
50mm 렌즈가 있는 중에 35mm와 85mm렌즈 뽐이 사알짜악 있는데 35mm or 85mm 렌즈로 찍을 걸 50mm 끼고
발줌으로 앞으로, 뒤로 이동해가며 찍으면 되지 않나..싶은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 ^^;;
원초적인 궁금증일 순 있으나 고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 (HYtoBz)

  • 하호히히하호 2018/10/17 16:02

    스르륵에서 유명하신 걸로 알고 있는 마루토스님께서 답글을 이렇게나 빨리 달아주시다니..ㅎㅎ
    위 링크에서처럼 화각은 다르되, 사진에 담긴 피사체의 크기가 같은건 렌즈 mm수가 늘어날 수록 피사체와 거리를 그만큼 더 멀리 하면서 찍은게 맞는건가요??
    렌즈 mm 차이에 따라 왜곡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도 처음 알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HYtoBz)

  • 마루토스 2018/10/17 16:30

    저기에 배경에서 발생하는 아웃포커싱과 원근감 왜곡감도 넣어야 합니다.

    (HYtoBz)

  • 정종혁 2018/10/17 16:03

    원근감은 발줌으로 안됩니다
    화각만 본다면 크롭해도 되겠죠

    (HYtoBz)

  • 하호히히하호 2018/10/17 16:11

    원근감이라는게..나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말씀하시는건가요? *.*
    사진 찍을 때 50mm렌즈로 1m 떨어진 피사체를 찍어 담는 것과 85mm렌즈로 1.5m 떨어져서
    찍는거에 사진 결과물이 같다면 굳이 mm별로 렌즈를 교체해가며 찍을 필요가 있는가 싶어서요~ㅎㅎ

    (HYtoBz)

  • 奎규 2018/10/17 16:09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

    (HYtoBz)

  • 하호히히하호 2018/10/17 16:14

    이 차이 말고는 다른건 없는걸까요??
    피사체와 같은 거리에서 찍었을 때 렌즈의 mm가 다르면(50mm를 기준으로 했을 시)
    35mm면 피사체가 나와 더 떨어져 있는 것처럼,
    85mm면 피사체가 나와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사진이 찍히는 것 외에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ㅎㅎㅎ
    마루토스님이 남겨주신 링크에서 보면 mm별로 왜곡 차이가 있는건 처음 알았네요!

    (HYtoBz)

  • (HYtoBz)

  • 태양아빠♡ 2018/10/17 16:49

    와 이동영상 보니깐 확 와닿네요 덩달아 배워갑니다 ㄷㄷㄷㄷ

    (HYtoBz)

  • 끼이끼이 2018/10/17 16:59

    1. 원근왜곡
    2. 동일한 피사체 기준 망원일수록 배경이 덜 찍힘 (배경압축)
    3. 동일한 조리개 기준 망원일수록 배경흐림이 큼

    (HYtoBz)

  • 끼이끼이 2018/10/17 17:00

    그리고 진리의 케바케 사바사.. 취향차이가 독보적으로 0순위입니다.

    (HYtoBz)

(HYto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