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수수료는 개개인이 협의한 사적계약이고
최저임금은 노조,정부측이 멋대로 올리고
업종무관 지역무관 강제하는건데 그 차이도 몰라요? ㅎㅎ
2%가 우습습니까? 남의 돈으로 웬 생색
연말정산 문제로 난리떨던건 몇%가지고
난리친거였죠? ㅎㅎ
요구욕구2018/07/15 20:05
더 큰 본질적인 이슈를 보자는거죠 사적 계약으로 아무 문제없다 하면 임대료 구조도 뭐라할수 없는거죠 사회구조를 이야기하는데 사적계액이라고 다 끝나나요? 그럼 어떠한 갑질계약도 사적 계약이니 뭐라 하면 안되죠
brinicle2018/07/15 20:30
2년간 임대료 상승 했습니다
슈렉팩커드2018/07/15 19:53
결국 본사의 갑질은 어쩔 수 없으니, 알바에게 갑질을 하겠다...이거네요.
hyoun2018/07/15 20:01
편의점의 경우, 본사납입금에 물건 도매 대금이 포함되어 있다면, 오히려 납득할 수준 아닌가요???
이이다쿄야2018/07/15 20:10
프차 비용 40프로 정도 물건도매비용 60프로 정도될걸요 별로수긍되는 수치는 아닙니다 프차 성장률보면요...
양들의도토리묵2018/07/15 20:23
그러게요.... 재료비 로열티라고 써있는거 보니 저정도면 뭐 괜찮은듯 한데요
Soldeus2018/07/15 20:14
저걸보면 답나오네 윗대가리를 쳐야지 왜 밑바닥에서 아둥바둥사는애들끼리 쌈을 만들어 ㅋㅋ 본진는 냅두고 업한짓거리들 하고 있네
풀먹는호랭이2018/07/15 20:22
본사에 도대체 무슨수로 지랄지랄 할 수 있는거죠??정부에서해줘야죠. 최저임금도 정부에서 올려준 것처럼, 본사 수수율도 정부에서 조정해줘야 하는거 아니에요??-무슨수로 가맹점주가 본사를 상대로 지랄지랄하수 잇는거죠?
허버트2018/07/15 20:23
아무래도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죠 이건 점주하고 관련없지요
꼬치어묵2018/07/15 20:33
헌재 자영업윽 상당수가 가맹점이니 물론 필요하긴 합니다.
그러나 최초 태생이 동내빵집을 자본으로 밀어버린 것이 프랑스 빵집이라, 물론 동내슈퍼를 밀어버린 것도 편의점이고...
개인적으로 크게 공감하긴 힘들죠.
허버트2018/07/15 20:22
아직도 시급 1만원에 점주를탓하는 인간들보면 참....
본사수익을 줄여서 인간비 충당이 맞고 본사를 조져야하는 공감대가 형성돼야함
호삼사이드2018/07/15 21:10
점주가 뭉쳐서 본사와 싸워야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는데
점주들이 임금탓만함
rpmer2018/07/15 20:22
저걸알면서 최저임금 높다고 떠드는거임....방향이 잘못됐네...
꼬치어묵2018/07/15 20:24
프랑스빵. 3~4년에 한번씩 인테리어 공사를 새로 해야한다고 들은적 있습니다. 결국 점주가 3~4년 모은 돈 알뜰하게 발라가는 구조(넌 영원한 내 호구야)
지식e2018/07/15 20:24
자기 갑질당하는건 아무말 못하면서 화풀이로 자기가 알바에게 다시 갑질하는거임 ㅋㅋㅋ 진짜 양심도 없고 머리도 없고
50엔조기은퇴가목표2018/07/15 20:25
안하면 되는데 왜 하는지도 신기함
결국 가맹본부만 살찌우는데...
노조만들어서 대항이라도 하던지
니콘]현서비2018/07/15 20:26
프랜차이즈 업체는 처음부터 시작을 하면 안되는건데
많이들 하시더라구요 ㅠㅠ
링군™(ring君™)2018/07/15 20:29
프랜차이즈 안해보고 저런 단순도표로 비교할수있는게 아님
본사 로열티는 같은 회사라도 계약종 따라 다름
초기투자비 적으면 점주몫이 적고 인테리어비용 보증금, 임대료나 부수적인 비용도 본사랑 나눠서 냄
반대로 초기투자비 많은종이면 저 그래프는 전혀 안맞음
프차5년하고 개인샵 8년째임
각각 장단점이 있으나
본사는 1점이라도 더 출점하는게 이득
최저임금이랑 비교할 자료가 되냐?
chirico2018/07/15 20:29
동네마트하는 자영업자입니다. 편의점 통계는 저게 진짜라면 물건값이 30%가 안 된다는 건데... 보통 마트의 경우 물건 값의 20-25% 정도 마진인데(이 안에 인건비 임대료 전기세 수수료 매장 운영비 포함) 이상하군요...
+스타일리셔스DK+2018/07/15 20:30
근데 한국 프랜차이즈들 욕만 할수 없는게,,, 아니 저래도 하겠다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성업중이죠. 첨에 다 설명 듣고 이것저것 준비하면서 다 알아놨을꺼 아님? 우리나라는 프랜차이즈를 너무 믿음. 옆나라만 가도 100년 장사하는 장인집들이 많은 반면 우리는 프랜차이즈만 느는이유. 개업하고 싶은 사람들이 쉽게 아무 생각업이 일단 열고 보고 싶음. 그리고 난중에 잘 안되면 그때 여론에 뭍어 가는거죠. 인건비!~!!! 빾!!!!!!! 하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업자득
지식e2018/07/15 20:32
기술과 능력은 없고, 한줌의 돈으로 노력없이 쉽게 돈벌고 싶다는거죠
+스타일리셔스DK+2018/07/15 20:33
그러게요.... 자기들이 저런조건으로 하겠다 해놓고 이제와서 못하겠다...라.... 그럼 만약 프랜차이즈 계약 끝나고 그거 하면서 쌓인 노하우로 자기가게 차리면 좋을텐데 또 그러면 프랜차이즈 할때 보다 돈이 안들어오는거 같을테니 그럼 또 빽~~~~~ 하겠져
핫픽셀블라드2018/07/15 20:34
재료비 + 가맹점료니 높을 수 밖에 없긴 하져 ㄷㄷ
그래도 저건 너무 높네요
꼬치어묵2018/07/15 20:55
단일 품목으로 비교하긴 뭐하지만 멜론맛 아이스크림의 경우 편의점 1000원 슈퍼 500원(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이니 재로값의 비중은 생각외로 상당히 낮을 것 같습니다.
와 에펠탑 빵집 진짜 .......
불란서 수도 빵집 말씀이십니까?
반 이상을 가져 가는데 알바비가 주적처럼 떠드는건 가맹주들의 알바겠구만
절반넘게 가져간다는게 저기에 원가가 포함되는거 아닌가요? 재료비...
본사를 조져야;;
30%만 가져가도 엄청난건데~~~
하지만 본사에는 찍소리못하는데...
저중 2년동안 29% 급등한게 최저임금 외에
뭐가 있죠? 본사 로얄티나 카드수수료를 29%
올랐다면 뉴스 나오고 청와대 청원 올라오고
본사, 카드사들 공정위 수사대상 되지 않았을까요?
29프로 늘어봤자 저기 그래프상에는 2프로 늘어나겠네요.. 겨우벌어먹는 사람 2프로에 난리칠 일인지 잘먹고잘사는 본사에서 몇십프로 가져가는게 문제인지 샹각해봅시다
본사 수수료는 개개인이 협의한 사적계약이고
최저임금은 노조,정부측이 멋대로 올리고
업종무관 지역무관 강제하는건데 그 차이도 몰라요? ㅎㅎ
2%가 우습습니까? 남의 돈으로 웬 생색
연말정산 문제로 난리떨던건 몇%가지고
난리친거였죠? ㅎㅎ
더 큰 본질적인 이슈를 보자는거죠 사적 계약으로 아무 문제없다 하면 임대료 구조도 뭐라할수 없는거죠 사회구조를 이야기하는데 사적계액이라고 다 끝나나요? 그럼 어떠한 갑질계약도 사적 계약이니 뭐라 하면 안되죠
2년간 임대료 상승 했습니다
결국 본사의 갑질은 어쩔 수 없으니, 알바에게 갑질을 하겠다...이거네요.
편의점의 경우, 본사납입금에 물건 도매 대금이 포함되어 있다면, 오히려 납득할 수준 아닌가요???
프차 비용 40프로 정도 물건도매비용 60프로 정도될걸요 별로수긍되는 수치는 아닙니다 프차 성장률보면요...
그러게요.... 재료비 로열티라고 써있는거 보니 저정도면 뭐 괜찮은듯 한데요
저걸보면 답나오네 윗대가리를 쳐야지 왜 밑바닥에서 아둥바둥사는애들끼리 쌈을 만들어 ㅋㅋ 본진는 냅두고 업한짓거리들 하고 있네
본사에 도대체 무슨수로 지랄지랄 할 수 있는거죠??정부에서해줘야죠. 최저임금도 정부에서 올려준 것처럼, 본사 수수율도 정부에서 조정해줘야 하는거 아니에요??-무슨수로 가맹점주가 본사를 상대로 지랄지랄하수 잇는거죠?
아무래도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죠 이건 점주하고 관련없지요
헌재 자영업윽 상당수가 가맹점이니 물론 필요하긴 합니다.
그러나 최초 태생이 동내빵집을 자본으로 밀어버린 것이 프랑스 빵집이라, 물론 동내슈퍼를 밀어버린 것도 편의점이고...
개인적으로 크게 공감하긴 힘들죠.
아직도 시급 1만원에 점주를탓하는 인간들보면 참....
본사수익을 줄여서 인간비 충당이 맞고 본사를 조져야하는 공감대가 형성돼야함
점주가 뭉쳐서 본사와 싸워야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는데
점주들이 임금탓만함
저걸알면서 최저임금 높다고 떠드는거임....방향이 잘못됐네...
프랑스빵. 3~4년에 한번씩 인테리어 공사를 새로 해야한다고 들은적 있습니다. 결국 점주가 3~4년 모은 돈 알뜰하게 발라가는 구조(넌 영원한 내 호구야)
자기 갑질당하는건 아무말 못하면서 화풀이로 자기가 알바에게 다시 갑질하는거임 ㅋㅋㅋ 진짜 양심도 없고 머리도 없고
안하면 되는데 왜 하는지도 신기함
결국 가맹본부만 살찌우는데...
노조만들어서 대항이라도 하던지
프랜차이즈 업체는 처음부터 시작을 하면 안되는건데
많이들 하시더라구요 ㅠㅠ
프랜차이즈 안해보고 저런 단순도표로 비교할수있는게 아님
본사 로열티는 같은 회사라도 계약종 따라 다름
초기투자비 적으면 점주몫이 적고 인테리어비용 보증금, 임대료나 부수적인 비용도 본사랑 나눠서 냄
반대로 초기투자비 많은종이면 저 그래프는 전혀 안맞음
프차5년하고 개인샵 8년째임
각각 장단점이 있으나
본사는 1점이라도 더 출점하는게 이득
최저임금이랑 비교할 자료가 되냐?
동네마트하는 자영업자입니다. 편의점 통계는 저게 진짜라면 물건값이 30%가 안 된다는 건데... 보통 마트의 경우 물건 값의 20-25% 정도 마진인데(이 안에 인건비 임대료 전기세 수수료 매장 운영비 포함) 이상하군요...
근데 한국 프랜차이즈들 욕만 할수 없는게,,, 아니 저래도 하겠다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성업중이죠. 첨에 다 설명 듣고 이것저것 준비하면서 다 알아놨을꺼 아님? 우리나라는 프랜차이즈를 너무 믿음. 옆나라만 가도 100년 장사하는 장인집들이 많은 반면 우리는 프랜차이즈만 느는이유. 개업하고 싶은 사람들이 쉽게 아무 생각업이 일단 열고 보고 싶음. 그리고 난중에 잘 안되면 그때 여론에 뭍어 가는거죠. 인건비!~!!! 빾!!!!!!! 하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업자득
기술과 능력은 없고, 한줌의 돈으로 노력없이 쉽게 돈벌고 싶다는거죠
그러게요.... 자기들이 저런조건으로 하겠다 해놓고 이제와서 못하겠다...라.... 그럼 만약 프랜차이즈 계약 끝나고 그거 하면서 쌓인 노하우로 자기가게 차리면 좋을텐데 또 그러면 프랜차이즈 할때 보다 돈이 안들어오는거 같을테니 그럼 또 빽~~~~~ 하겠져
재료비 + 가맹점료니 높을 수 밖에 없긴 하져 ㄷㄷ
그래도 저건 너무 높네요
단일 품목으로 비교하긴 뭐하지만 멜론맛 아이스크림의 경우 편의점 1000원 슈퍼 500원(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이니 재로값의 비중은 생각외로 상당히 낮을 것 같습니다.
ㅠ ㅠ 폐기율은 계산안하시네요 ... 순익에서 폐기율 계산은 안해주셧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