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153648

세계 게임산업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였던 게임



세계 게임산업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였던 게임_1.jpg


바로 2011년에 나온 MMORPG 스타워즈 구공화국


왜 중요하냐면 엄청난 기대속에서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우)를 대체할 새로운 MMORPG로서 자리매김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구공화국은 발매 초기의 와우와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는 여러 이점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전세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인지도 높은 스타워즈 세계관을 소재로 사용하며,


RPG의 명가이자 그 당시 매스이펙트 2로 전성기를 구가하던 바이오웨어가 개발하고,


싱글플레이 RPG로서 인기가 높던 구공화국의 기사단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


EA의 전폭적인 재정지원 하에 그 당시에는 전세계에서 가장 개발비가 큰 비디오게임이란 루머까지 돌았고,


EA가 인수합병을 통해 다른 스튜디오에서 많은 MMO 개발경력이 있는 개발자들을 데려오기까지 했다.


모든 퀘스트에 성우녹음을 해놓겠다고 공언한 것은 덤.



세계 게임산업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였던 게임_2.jpg

하지만 왠만한 게이머들이라면 이미 다들 알고있듯이,


이 게임이 와우를 능가하는 MMORPG가 되어 새로운 업계 트렌드세터가 되는데는 실패했다.


물론 게임 자체는 나쁘지 않았고 그만큼 나름 튼실한 플레이어층을 보유하게 되지만,


기대했던 만큼 와우를 능가하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는데는 실패한것이다.



세계 게임산업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였던 게임_3.jpg


이때까지만 해도 MMO 장르에서는 항상 와우를 능가할 도전자가 한해에 한개씩은 나오는 편이였으며,


MMO 장르의 팬들도 와우를 능가할 무언가 새로운 것을 기대하면서 새로운 게임에 무지막지하게 몰려왔다.


하지만 누적된 실패들 끝에 구공화국의 기사단조차 와우킬러로서 성공하는데 실패하자,


게임사들과 투자자들은 더 이상 MMORPG에 투자하는 것에 회의적이 되며,


결국 점점 대형 게임사들의 MMORPG 신작들이 줄어들면서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실패로 점철된 크라우드 펀딩 MMORPG 열풍으로 이어지게 된다.



2020년대 들어서는 MMORPG 장르 자체가 사양세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인데,


이런 쇠락기의 첫신호가 이 게임이였던 셈.

댓글
  • 사라다이 2025/11/24 20:24

    MMORPG가 기능을 판매 하는게 아니라는걸 체감하기 시작한 시점이라 생각함.
    기존 서비스 게임ㅇ은 어차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에 기능적 차이를 벌리기도 애매한대
    누적된 컨탠츠 + 기존 컨탠츠에 익숙함을 이기기 쉽지 않더라.

  • Lussaphi 2025/11/24 20:24

    솔직히 구공화국 시네마틱 트레일러 보면 스타워즈 뽕, 제다이 뽕 존나 차는데
    인지도가 영 떨어지는 게 아쉬워

  • 사라다이 2025/11/24 20:26

    스타워즈면서 스타워즈가 아닌 애매함이 문제였지 않을까 싶음.
    국내는 정발 안함 + 패키지 게임은 한글화도 안함 조합으로 인지도가 나락이고.

  • 사라다이 2025/11/24 20:24

    MMORPG가 기능을 판매 하는게 아니라는걸 체감하기 시작한 시점이라 생각함.
    기존 서비스 게임ㅇ은 어차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에 기능적 차이를 벌리기도 애매한대
    누적된 컨탠츠 + 기존 컨탠츠에 익숙함을 이기기 쉽지 않더라.

    (dZoHB3)

  • 사라다이 2025/11/24 20:24

    거기에 후발 주자들이 애매하게 컨탠츠 소비를 우려해서 너무 컨탠츠를 늘려 놨음.
    선발주자는 되려 완화를 했고.
    이러니 신작에 가는게 더 애매해 지더라.

    (dZoHB3)

  • Lussaphi 2025/11/24 20:24

    솔직히 구공화국 시네마틱 트레일러 보면 스타워즈 뽕, 제다이 뽕 존나 차는데
    인지도가 영 떨어지는 게 아쉬워

    (dZoHB3)

  • 사라다이 2025/11/24 20:26

    스타워즈면서 스타워즈가 아닌 애매함이 문제였지 않을까 싶음.
    국내는 정발 안함 + 패키지 게임은 한글화도 안함 조합으로 인지도가 나락이고.

    (dZoHB3)

(dZoH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