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킨은 번역지침서를 내면서 각 단어를 현지의 언어로 로컬라이징하도록 했는데
그 결과 "프로도 배긴스"는 "골목쟁이네 프로도" 가 되었다.
사실 근데 이마저도 번역지침을 어긴 것인데
번역지침을 엄밀히 지킨다면 프로도의 이름은 "골목쟁이네 똑똑이" 가 되어야 맞다.

하지만 그렇다고 주인공 이름을 똑똑이로 개명하는건 좀 그렇고 그렇다고 번역지침을 무시할수는 없으니 타협한 것이 골목쟁이네 프로도.
사실 이건 모든 언어의 고유명사들은 근본적으로 기본적인 단어들의 합체로 이름을 짓는데, 한국의 경우에는 그 자리를 한자가 대체했다.
쉽게 말해 "홍길동" 이란 이름은 "넓고 큰네 길한 아이" 라는 의미를 갖고있지만 아무도 이렇게 인식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맥락이고,
영미권에는 "스틸" 같은 성씨가 있지만 한국에는 "강철" 라고 읽는 성씨가 없는 대신 "김(金)"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거기에 유럽은 대부분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가 많아 그 나라에서 쓰이는 버전의 고유명사로 번역하기만 해도 됐다.
하지만 반지의 제왕 일행을 죄다 한자명으로 음차하면 웬 무협지가 되버릴거고, 그렇다고 무시하면 지침을 어기는 문제가 생겨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빌헬름 폰 호엔촐레른" 이란 이름을 톨킨식 번역지침으로 영어로 번역할 경우
"윌리엄 오브 하이헤아힐" 정도가 된다
어감이 나쁘지 않아 이렇게 번역해도 아무 문제 없지만, 이걸 한국어로 번역시
"높은 높은 언덕네 투구" 라는 괴상망측한 이름이 되어버린다
셰익스피어도 창흔들꾼 정도가 될 거고...

그래서 사실 어떤 방식으로 번역한다 하더라도 톨킨의 원 의도와는 어긋나버리게 된다.
톨킨 본인에게 상의했다면 타협안이 나왔을지도 모르지만 이미 죽은 지 오래라...
아아아아주 초창기때 골룸이 딸꾹이라고 나온 적 있다지
"소린 오아켄시엘드"
어차피 톨킨은 한국어란게 있는지도 몰랐을건데 뭘
죽었다니
발리노르로 가셨어
부활시켜
'중원의 제3기'
아아아아주 초창기때 골룸이 딸꾹이라고 나온 적 있다지
난 꿀꺽이란 명칭으로 배웠어.....
"소린 오아켄시엘드"
눈 아프다
시엘드는 너무한데 ㅋㅋㅋ
어차피 톨킨은 한국어란게 있는지도 몰랐을건데 뭘
언어학자라 알긴알았을껄
죽었다니
발리노르로 가셨어
부활시켜
똑똑이와 돌쇠가 반지를 버리러가는 모험이었군...
떼이이잉...언어학자여도 인구어족 기반이시라 ..동양감수성이 부족하시구만..!
중국애들은 이름 뭐라고 짓냐 ㅋㅋ
그야 번역의 번역인데 오역이 생길수밖에 없지(?)
허마이오니
'중원의 제3기'
스트라이더 아라고른
솔직히 그래서 골드샤이어를 황금골이라고 굳이 바꾼 것도 난 좀 이상하다고 생각함
그건 와우라 톨킨 번역지침서랑 상관없음
ㅇㅇ 그냥 비슷한 주제라 주저리해봤음
창흔들꾼은 존나 창남같잖아
호빗들과 이렇게 번역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톨킨도 똑같이 합의했다니 우리도 그렇게 한 걸로 해.
명사를 너무 현지화 시킬 필요는 있나 싶음 해당지역의 언어 문화를 존중하는 지침이긴 한데 드워프 깐프 이런 것들은 명사화 된 존재들 이잖아 지명도 그렇구
반지의 제왕은 톨킨이 번역했다는 설정이라 제시된 명사조차 번역한 결과라 좀 다르지
그래도 성큼걸이를 스트라이더, 난쟁이가 드워프, 요정을 엘프로 번역하면 맛이 안 살아...
무협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스트라이더를 지지한다.
비읍이라고 하오